$\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의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use Factors of the Visually Disabled in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5 no.3, 2011년, pp.141 - 162  

오선경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모든 주민에게 지식정보와 평생교육을 제공하고 정보접근을 도와주며 정보격차를 줄여주는 중추적인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특히 지역사회의 지식정보 취약계층으로 간주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상당히 부실하고 시각장애인도 공공도서관을 거의 이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인식도를 다각도로 조사 분석하여 상관성이 높은 공통된 요인을 추출하고 왜 그러한 결과가 나타났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정보접근 및 이용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공공도서관의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public libraries lack the adequate services for the visually disabled, and therefore the visually disabled rarely use public libraries. This study aims to secure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usage rights for the visually disabled, and to suggest solutions in order to vitalize their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공공도서관의 범주에 장애인 도서관을 포함시키고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를 설립 · 운영하여 지원과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생활밀착형 공공도서관을 통한 장애인의 정상화와 사회통합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비이용 이유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 · 분석한 다음에 비이용 요인을 추출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제안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인식도를 다각도로 조사 · 분석하여 상관성이 높은 공통된 요인을 추출하고 왜 그러한 결과가 나타났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정보접근 및 이용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공공도서관의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장애인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시각장애인은 시기능의 현저한 저하 또는 소실에 의해 개인생활 또는 사회활동에 제약이 있는 사람으로 고령화, 만성질환, 각종 재해, 교통사고 등에 따라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물리적으로 이동하거나 어떤 활동을 하고자할 때 많은 부분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고 의존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사회에서 소외되고 사회참여의 기회도 적어지게 되어 지식정보접근권에 대한 제약과 차별이 발생하게 된다.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이유로 설립 운영되고 있는가?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모든 주민에게 지식정보와 평생교육을 제공하고 정보접근을 도와주며 정보격차를 줄여주는 중추적인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특히 지역사회의 지식정보 취약계층으로 간주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상당히 부실하고 시각장애인도 공공도서관을 거의 이용하지 않고 있다.
시각장애인이 일상에서 요구하는 정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의 정보는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각장애인이 일상에서 요구하는 정보는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다양하다. 가장 중요한 관심은 치료와 재활 등 장애를 극복하는 것과 생활 및 자립과 관련된 취업에 관한 정보라 할 수 있다(한형수 2002, 171). 그리고 건강안정, 복지혜택, 노후대책 정보를 필요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중구. 1966. 도서관 비이용자의 진단과 지도. 교육연구논문집, 2: 120-125. 

  2. 고근재. 2007.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 적용실태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3. 국립중앙도서관. 2007a.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 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2007b.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중장기 발전계획.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국립중앙도서관. 2009.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6. 文昌龍. 1992. 大學圖書館 非利用 要因에 관한 硏究: 理工系 分野 敎授를 中心으로.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 

  7. 변용찬, 김성희, 윤상용, 강민희, 최미영, 손창균, 오혜경. 2009. 2008 장애인 실태조사 요약본. 서울: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오선경. 2010. 시각장애인의 정보요구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1(1): 97-126. 

  9. 이성일. 2007.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장애인 디지털정보서비스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0. 이익섭. 2010. 독서장애인 독서활동 지원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서울: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11. 이해균. 2006. 장애인 독서환경 개선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2. 日本障害者リハビリテ?ショ?協會 2006. 害者施策?合調査 2005: 生活環境?及び 情報?コミュ?ケ?ショ? に?する 調査報告書. 東京: 日本障害者リハビリテ?ショ?協會. 

  13. 윤희윤. 2007.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협력망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4. 최서윤. 2008. 장애인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실내디자인학과. 

  15. 한윤옥. 1980. 學敎圖書館의 非利用問題에 對하여. 한국비블리아, 제4집: 143-169. 

  16. 한형수. 2002. 도시장애인의 사회복지욕구분석과 그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15집: 155-181. 

  17. Berelson, B. 1949. The Library's Public: A Report of the Public Library Inqui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8. Bruce, I., McKennell, A., & Walker, E. 1991. Blind and Partially Sighted Adults in Britain: The RNIB Survey. London: HMSO 

  19. 윤희윤. 2007.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협력망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 Campbell, David E., & Shlechter, Theodore M. 1979. "Library design influences on user behavior and satisfaction." The Library Quarterly, 49(1): 26-41. 

  21. Flowers, Louise. 1995. "Analysis of eight selected Victorian public library survey of nonusers." Australasian Public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s, 8(1): 14-21. 

  22. Hider, Philip. 2008. "Use and nonuser of an Australian regional public library." Australasian Public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s, 21(1): 33-39. [online]. [cited 2009.8.21]. . 

  23. Lange, J. M. 1988. "Public library users, nonusers, and type of library use." Public Library Quarterly, 8(1/2): 49-67. 

  24. Madden, M. 1979. "Library user/nonuser lifestyles." American Libraries, 10: 78-81. 

  25. McNicol, Sarah. 2004. "Investigating non-use of libraries in the UK using the mass-observation archive."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36(2): 79-87. 

  26. Morrill, Joshua H. 2007. The Wisconsin Library User(and Non-User) II: Outcomes of a Second Statewide Survey(2003-2007 comparisons). Madison: Morrill Solutions Research. 

  27. Oder, Norman. 2008. "New Outreach to the 24-40 set?" Library Journal, 133(15): 15-6. 

  28. Rountree, Elizabeth. 1979. "User and nonusers disclose their needs: New Orleans public library survey." American Libraries, 10: 486-487. 

  29. Sin, Sei-Ching Joanna, & Kim, Kyung-Sun. 2008. "Use and non-use of public libraries in the information age: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library services variable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0: 207-215. 

  30. Tolbert, Susan L. 1993. Use of Public Libraries by the Elderly: A Review of Literature. [online]. [cited 2009.8.24].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