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활성화 방안
A Study on Enhancement of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in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0 no.4, 2009년, pp.353 - 379  

강숙희 (시립인천전문대학 문헌정보과)

초록

"장애인차별금지법"이 2008년 4월부터 시행되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가 의무화되었으나 여전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는 보편화되지 못하고 크게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2008년을 기준으로 조사된 각종 통계데이터와 관련 법률, 정책자료 등을 근거로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장애인 일반 현황, 장애인의 특성, 관련법 및 정책현황,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실태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April last year when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became effective in Korea, public libraries in Korea have been obligated to provide library service to the disabled. But mos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do not and are not ready to service them. After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도서관에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된 시기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이 2008년 4월부터 시행되어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가 의무화되었으나 여전히 우리 나라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는 보편화되지 못하고 크게 미비한 상황이다. 그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공공도서관 장애인 관련법과 제도를 정비하여 획기적인 활성화 정책을 수립함으로써 장애인서비스의 수준이 일반 국민에 대한 서비스의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집중적으로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실태를 요약하면? ∙2008년 1년 동안 장애인서비스를 위하여 예산을 집행한 공공도서관은 전체 602개관 중 130개관으로 전체의 21.59%에 불과하다. 이 중 자료구입비를 지출한 도서관이 48개관으로 전체 공공도서관의 7.79%, 편의시설에 예산을 지출한 도서관이 45개관으로 7.48%에 불과하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예산이 도서관 총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한 결과, 장애인서비스를 위하여 도서관예산을 집행한 130개 공공도서관마저도 대부분 1% 미만의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2008년 말 현재, 우리 나라 공공도서관 중 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은 191개관으로 전체 공공도서관의 31.73%에 불과하여 공공도서관 중 2/3 이상이 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를 전혀 소장하지 않고 있다. 또한 1,000건 미만의 특수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이 147개관으로 특수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대부분이 1,000건 미만의 소장에 그쳐 소장 특수자료 역시 미비하다.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은 장애로 인하여 일반자료를 사용할수 없는 장애인들을 위하여 특수자료를 새로 입수하거나 제작하여야 할 실정이다.  ∙장애인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은 249개관으로 전체 공공도서관의 41.36%이다. 공공도서관이 제공하고 있는 장애인서비스는 방문대출이 가장 많았으나 122개관, 20.27%에 불과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장애인서비스는 우리 나라 공공도서관에서 아직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공도서관의 편의시설 설치 현황을 보면 편의시설 의무설치 대상시설 전체와 비교하여 다소나마 높은 편이기는 하나 적정설치율이 낮아 장애인의 도서관방문을 위해서는 크게 미비하다. 장애인 중 대다수(83.6%)가 혼자 외출이 가능한 점을 감안하면 편의시설의 확충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활성화를 위하여 가장 우선되어야한다고 할 수 있다.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정보서비스 및 웹 접근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2008년까지 관련기관이 실시하는 웹접근성 평가의 조사대상에도 포함되지 않고 있다. 웹접근성이 의무화 되는 2010년을 앞두고 전국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가 급선무이다.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진 계기는? 최근 「장애인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이하 「장애인차별금지법」 )의 제정과 「도서관법」 개정을 계기로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이영숙 41 4 69 

  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조용완 38 4 167 

  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윤희윤 42 4 73 

  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윤희윤 38 4 215 

  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김영기 42 2 87 

  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오동근 40 1 157 

  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김선호 40 2 1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