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RAD 개념 모형 기반의 학술논문 전거데이터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ed on FRAD Conceptual Model based Authority Data Scheme for Academic Paper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5 no.3, 2011년, pp.235 - 257  

이석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식기반실) ,  곽승진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논문에 나타나는 저자명, 단체명, 학술지명 전거데이터 구조를 FRAD 개념 모형을 적용하여 설계하는데 있다. 학술정보에는 정보의 접근점이 되는 저자, 소속기관, 발행기관, 학술지 및 회의명과 같은 개체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개체들간 여러 관계들이 존재하고 있다. FRAD 개념 모형에 따른 학술정보 전거데이터의 표현을 통해 학술정보의 체계적인 관리 및 정확한 정보 검색,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지식 표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개체-관계형 학술정보 전거데이터는 학술문서와 연계되며, 개체 식별을 위한 여러 속성 정보 및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FRAD concept model of authority data schema for author, organization and journal titles included in the academic papers. Academic information includes author names, affiliations, publishers, journals and conferences. They are used as access points, and there are mult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전거데이터 관련 연구들이 전거통제의 통일된 규칙, 기 구축된 전거데이터의 효율적인 공유·협력 방안에 대한 연구였다면, 이 연구는 학술논문에 나타난 저자명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전거데이터를 구축하여 학술논문 메타데이터와 전거데이터와의 연결을 통한 검색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장에서는 학술논문 저자명, 단체명, 학술지명 전거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해 본 연구 범위와 관련된 FRAD 개체, 속성,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간되는 학술논문들을 체계적으로 조직, 구성하고 학술논문검색의 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해 FRAD 기반의 학술정보 전거데이터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거통제는 무엇을 통하여 검색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가? 전거통제는 전통적인 목록에서 표목(head-ing) 또는 접근점(access point), 즉 저자명과 단체명, 지명, 총서명, 통일서명, 주제명 등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유지시킴으로써, 검색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기법을 바탕으로 한다. 전거통제의 중심 개념인 기본 표목은 개별 자료들이 담고 있는 저작을 식별하고 특정 저자의 저작들을 집중하는 기능을 수행했으므로 전거 통제가 얼마나 잘 이루어져 있느냐 하는 것은 전통적인 목록 시스템이나 지식정보 시스템에서의 정보 관리 및 검색 효율성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오동근 2000).
저자명․단체명 등을 고유한 개체로 식별하는 것은 어떤 측면에서 중요한가? 일련의 지식정보 처리과정에서 지식정보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출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즉 저자명․단체명 등을 고유한 개체로 식별하는 것은 이용자의 정보 접근 측면 뿐 아니라 정보 조직 및 관리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학술정보, 뉴스, 웹문서와 같은 정보검색에서 사용되는 질의어 중 저자명과 같은 개체명이 차지하는 비율이 모든 검색엔진 질의어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연구결과(R.
도서관 소장목록을 대상으로 한 전거통제와 관련된 연구 및 사례가 문헌정보학계를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는 근거는 무엇인가? 도서관에서의 전거통제는 일반적으로 목록 레코드에 대해 저작의 접근점이 되는 동일 개체에 대한 표목과 다양한 형식의 표목들을 연결하는 수단이 된다. 따라서, 목록레코드를 기술하는 형식인 카드목록이나 MARC와 같은 자동화목록으로 구성된 대부분의 도서관 소장목록을 대상으로 한 전거통제와 관련된 연구 및 사례는 문헌정보학계를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미향. 2009.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 김태수. 2009. 전거레코드 표목의 구조화 연구- 인명과 단체명 전거레코드의 표목을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40(3): 1-21. 

  3. 박동진. 2006. 과학기술분야의 연구성과물정보 표준 메타데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 29(4): 83-90. 

  4. 박선희. 2006. 대학도서관 전거파일 구축 현황. 국립중앙도서관 열린정책세미나- 국가전거파일의 협력적 구축방안.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박하영. 2003. 접근 제어 레코드 형식 구축을 위한 XML 스키마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6. 안영희, 이성숙. 2009. IFLA FRAD 모형이 관련 표준에 미친 영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1): 279-303. 

  7. 오동근. 2000. 한국형 전거데이터베이스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4): 21-47. 

  8. 이석형,곽승진. 2010. 국내 학술논문 저자명 전거데이터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105-118. 

  9. 이성숙. 2005. FRBR 모형의 수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0. 학술정보 전거DB 시스템의 개발과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1995. "Standards for college libraries, 1995 ed."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News, 56(4): 256. 

  12. Burger, Robert H. 1985. Authority Work: The Creation, Use, Maintenance, and Evaluation of Authority Records and Files. Littleton, Colorado: Libraries Unlimited 

  13. 박하영. 2004. 접근 제어 레코드 형식 구축을 위한 XML 스키마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4. IFLA Working Group on FRANAR. 2009. "Functional requirements for authority data. A conceptual model." Final Reports. UBCIM publications. Munchen: K.G. Saur. 

  15. Blume, Matthias. 2005. "Automatic entity disambiguation: Benefits to NER, relation extraction, link analysis, and inferenc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ce Analysis. 

  16. Guha, R. V., & Garg, A. 2004. "Disambiguating people in search." Proceedings of the 13th World Wide Web Conference Series. [New York]: ACM Press. 

  17. Library of Congress. 2001. MARC21 Concise Format for Authority Data. [online]. [cited 2011.7.1]. . 

  18. Library of Congress. 2011. MADS(Metadata Authority Description Schema). [online]. [cited 2011.7.1]. . 

  19. Tillett, Barbara B. 1989. "Considerations for authority control in the online environment."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Quarterly, 9(3): 1-11. 

  20. Tillett, Barbara B. 2000. Authority Control on the Web. [online]. [cited 2010.5.7].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