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를 이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S&T Authority Dat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8 no.4, 2014년, pp.377 - 399  

이석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첨단정보연구소 정보서비스센터 해외정보실) ,  류범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첨단정보연구소 정보서비스센터 국내정보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는 과학기술분야의 국내학술논문 및 회의자료, 해외학술논문의 한국인 저자가 기여한 논문을 대상으로 저자, 기관, 학술지의 유일한 개체를 식별하여 고유 식별자를 부여한 식별 연계 데이터의 집합으로 2011년부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출판된 문헌정보학 분야 5개 대표학회지의 1997년도부터 2013년도까지의 발표 논문을 대상으로 공저 패턴, 저자 및 기관별 논문 생산성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in Korea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authority data which has been constructed by KISTI. The authority data is a set of data given a unique identifier to identify a unique object for the authors, affiliation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논문 발표 추이와 저자와 기관의 논문 생산성을 분석하고 공저 패턴과 이를 기반으로 한 관련 기관을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5개 학술지에 투고한 저자를 대상으로 타 분야 학술지에 대한 논문 생산성을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와 타 분야와의 관련성 및 학제성을 유추해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논문 발표 추이와 저자와 기관의 논문 생산성을 분석하고 공저 패턴과 이를 기반으로 한 관련 기관을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5개 학술지에 투고한 저자를 대상으로 타 분야 학술지에 대한 논문 생산성을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와 타 분야와의 관련성 및 학제성을 유추해보았다.
  • 본 절에서는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를 활용하여 문헌정보학 분야 논문에 최소 1회 이상 게재한 저자의 논문 생산성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논문 3,943편에서 총 6,112명의 저자가 출현하였으며 총 1,593명의 연구자를 식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학술지라 할 수 있는 정보관리연구,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한국비블리아(이상 가나다순) 등 5개의 학술지에서 1997년부터 2013년도1)까지 17년간 게재된 논문 3,904편을 대상으로 논문에 기술된 1,593명의 식별 저자, 657개의 소속기관에 대한 계량적 분석으로 통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도 학문의 수준 및 특성을 발견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있다. 학술논문, 회의자료, 학위논문 등의 학술정보를 계량화하거나 학술정보의 인물, 주제어간의 관계정보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적구조 및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신진 연구자들이 꾸준히 유입되고 연구범위가 넓어지면서 학술 활동의 결과물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 계량정보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에 의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많아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술활동의 결과물들이 활발하게 발표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지식의 축적, 분석, 및 공유의 수단으로 활용 되는 학술논문, 특허, 보고서 등 학술연구 활동의 결과물들이 최근에는 특정 주제 및 학문 분야의 지적 구조나 연구동향 혹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주요 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정보자료의 폭발적인 증가와 네트워크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학술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면서 학술활동의 결과물들이 활발하게 발표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결과물들은 특정 연구 분야의 학문동향과 기술예측에 사용되고, 이를 통하여 연구기관이나 기업체, 정부기관 등에서 정책수립 및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연구동향의 분석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할 수 있다.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학술지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학술지라 할 수 있는 정보관리연구,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한국비블리아(이상 가나다순) 등 5개의 학술지에서 1997년부터 2013년도1)까지 17년간 게재된 논문 3,904편을 대상으로 논문에 기술된 1,593명의 식별 저자, 657개의 소속기관에 대한 계량적 분석으로 통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에 따른 고려 및 제한 점은 무엇인가? 첫째, KISTI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는 과학기술분야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저자, 기관, 학술지 이름을 대상으로 2011년도부터 소급구축이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도 현재 2014년도 출판 논문 및 1948년부터 1996년까지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식별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거데이터 구축 작업이 완료된 1997년부터 2013년도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분석 대상 학술논문의 유형은 동 기간 동안 발표된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외 학술지와 국내 학술회의자료는 제외하였다. 단 국내에서 출판되었더라도 영문으로 작성된 논문은 분석 대상 논문에 포함하였다. 셋째, 소속기관이 두 개 이상인 저자에 대해서는 첫 번째에 기술된 저자 소속기관만을 대상으로 처리하였다. 넷째, 타 분야 연구자는 가장 최신년도에 발표한 논문의 저자 소속기관이 문헌정보학과, 도서관, 정보센터, 자료실, 출판사, 문헌정보 관련 공공기관, 전문기관 및 연구기관이 아닌 자 혹은 타 분야 학술지 활동이 많은 자로 정의하였다. 타 분야 학술지는 정보관리연구,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 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한국비블리아 이외의 학술지로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박옥남. 2011. 정보조직 지식구조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247-267. (Park, Ok Nam. 2011. "Knowledge Structures in Knowledge Organization Research: 2000-2011."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247-267.) 

  2. 박자현, 송민. 201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1): 7-32. (Park, Ja-Hyun and Song, Min. 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 7-32.) 

  3. 박지연, 정동열. 2013.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31-59. (Park, Ji Yeon and Jeong, Dong Youl. 2013.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by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31-59.) 

  4. 송정숙. 2010.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현황 분석: 2001년-2010년 발행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333-353. (Song, Jung-Sook. 2010.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Korea: Focused on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2001 to 2010."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4): 333-353.) 

  5. 예상준, 김철, 김상균, 장현철, 김진현, 전병욱, 장윤지, 성보석, 송미영. 2011.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한의학 학술지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비교분석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32(5): 66-77. (Yea, Sang-Jun, Kim, Chul, Kim, Sang-Kyun, Jang, Hyun-Chul, Kim, Jin-Hyun, Jeon, Byoung-Uk, Jang, Yun-Ji, Seong, Bo-Seok and Song, Mi-Young. 2011. "Bibliometric Analysis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Journals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s of Korea."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32(5): 66-77.) 

  6. 오세훈. 2005.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및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3): 379-408. (Oh, Se-Hoon. 2005.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by analyzing journal articles and the cited literat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3): 379-408.) 

  7. 이석형, 곽승진. 2012.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의 구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2): 133-156. (Lee, Seok Hyoung and Kwak, Seung-Jin. 20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uthority Data based Academic Paper Retrieval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2): 133-156.) 

  8. 이수상. 2010.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297-315. (Lee, Soo-Sang. 2010. "A Preliminary Study on the Co-author Network Analysis of Korea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Commun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297-315.) 

  9. 이수상. 2011. 공저빈도에 따른 공저 네트워크의 속성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05-125. (Lee, Soo-Sang. 2011. "A Analytic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authorship Network Based on the Co-author Frequen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105-125.) 

  10. 이재윤. 2006. 지적 구조 분석을 위한 새로운 클러스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 215-231. (Lee, Jae Yun. 2006. "A novel clustering method for examining and analyz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holarly fi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3(4): 215-231.) 

  11. 이종욱, 양기덕. 2011. 한국 문헌정보학 연구의 계량적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53-75. (Lee, Jongwook and Yang, Kiduk. 2011. "A Bibliometric Stud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4): 53-75.) 

  12. 장혜란, 강길원, 이은정, 김승렬, 이영성. 2012. 암유전자 연구주제 네트워크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5(2): 369-399. (Jang, Hae-Lan, Kang, Gil-Won, Lee, Eun-Jung, Kim, Seung-Ryul and Lee, Young-Sung. 2012. "Analysis of Research Subject Network in the Field of Oncogene."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5(2): 369-399.) 

  13. 정재영, 박진희. 2011.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장연구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71-192. (Chung, Jae-Young and Park, Jin-Hee. 2011. "Analysis of the trends in the field stud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171-192.) 

  14. 조인숙, 한미숙. 2007.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자들의 학회지 게재논문과 인용학술지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2): 89-105. (Cho, In-Sook and Han, Mi-Sook. 2007. "An analysis on the articles and cited journals suggested by LIS researcher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2): 89-105.) 

  15. 조재인. 2011.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 최근 연구 경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8(4): 65-83. (Cho, Jane. 2011. "A Study for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Network Tex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65-83.) 

  16. 최호남 외. 2013. 과학기술콘텐트 구축 및 유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보고서. (Choi, Ho-Nam. 2013. Construction and Serv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Research Reports of Kore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17. Elliott, S. 2010. "Survey of author name disambiguation: 2004 to 2010." Library Philosophy and Practice. [online] [cited 2011. 5. 11.] 

  18. Price, D. J. de Solla. 1963. Little Science Big Science. New York: Columbia Univ.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