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의 구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uthority Data based Academic Paper Retrieval System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6 no.2, 2012년, pp.133 - 156  

이석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해외정보실) ,  곽승진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논문 전거데이터 구축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전거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은 저자 및 소속기관에 대한 전거데이터를 활용하여 질의어 자동완성, 검색결과 군집화, 저자네트워크 및 주제네트워크와 같은 부가 정보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에 대하여 연구원, 도서관사서, 대학원생 이용자 집단 60명을 대상으로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이 일반적인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에 비해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retrieval system that may provide search tools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search of academic papers with user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paper search system, this work studied 60 subject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거제어활동이란 무엇인가? 전거제어활동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연계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보서비스 단계에서 식별된 개체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정확률과 재현율을 제고하는 필수요소라 할 수 있다(오동근 2000). 도서관 목록에서 저작의 집중과 탐색의 도구로 활용되는 전거DB는 그 적용 범위가 박물관, 기록물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들 분야에서는 전거제어와 관련된 연구와 구축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정보제공자들이 연구자들의 연구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온라인에서 빠르고 정확히 제공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인터넷의 대중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정보의 생산과 활용이 온라인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정보생산자와 이용자들은 시간 및 공간의 제약없이 정보를 탐색, 수집, 분석, 생산, 축적, 유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지식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정보과잉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정보제공자들은 연구자들의 연구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온라인에서 빠르고 정확히 제공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발표되는 학술논문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 학술정보인가? 국내외에서 발표되는 학술논문은 연구성과를 기록한 전형적인 1차자료로서 특정 주제분야의 연구동향을 가장 신속하게 전달하는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학술정보이다. 학술논문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지적 · 창조적 활동이 한 사람에서 다른 사람으로 전이되는 사회적 현상인 학술커뮤니케이션의 산물이며, 학술 · 문화 또는 과학기술 분야 등에 있어 수많은 정보와 창의적인 지식이 융합된 지적재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인수. 2008. 저자식별을 위한 자질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2): 42-47.(Kang, In Su. 2008. "Features for author disambigu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2): 41-47.) 

  2. 김미향. 2010.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Kim, Mi Hyang. 2009. A Study on Developing a Name Access Point Control Syste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Retrieval from Institutional Repositories. Ph.D. dis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Yonsei University.) 

  3. 사공철, 윤구호. 1990. 최신정보검색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Sagong, Chul & Yoon, Koo-Ho. 1990. Introduction to Information Retrieval.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4. 박선희. 2006. 대학도서관 전거파일 구축 현황. 국립중앙도서관 열린정책세미나: 국가전거파일의 협력적 구축방안. 서울: 국립중앙도서관.(Park, Sun Hee. 2006. "The current status of construction of authority file in university libraries." In Seminar on the Open Policy for the Method of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Authority File.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5. 안영희, 이성숙. 2009. IFLA FRAD 모형이 관련 표준에 미친 영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1): 279-303.(Ahn, Young Hee & Lee, Sung Sook.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FRAD model on the related standa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1): 279-303.) 

  6. 오동근. 2000. 한국형 전거데이터베이스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4): 21-47.(Oh, Dong Geun.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for the Korean authority database syste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1(4): 21-47.) 

  7. 이석형, 곽승진. 2010. 국내 학술논문 저자명 전거데이터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105-118.(Lee, Seok Hyoung & Kwak, Seung Jin. 2010. "A study on the construction for name authority data of the Korean academic paper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1): 105-118.) 

  8. 이석형, 곽승진. 2011. FRAD 개념모형 기반의 학술논문 전거데이터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235-257.(Lee, Seok Hyoung & Kwak, Seung Jin. 2011. "A study on the FRAD conceptual model based authority data scheme for the academic pap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235-257.) 

  9. 이은철, 이상복, 오삼균, 박옥남. 2009.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189-214.(Lee, Eun-Chul, Lee, Sang-Bok, Oh, Sam-Gyun, & Park, Ok-Nam. 2009. "A study of ways to improve periodical indexing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189-214.) 

  10. 장인호. 2011. 온톨로지 기반 법률 검색시스템의 구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Chang, Inho. 2011. Developing and Evaluating an Ontology-Based Legal Retrieval System. Ph.D. dis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11. 정진규. 2006. 방송영상자료의 FRBR기반 서지구조모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Chung, Jin-Gyoo. 2006. A Study on Modeling of Bibliographic Framework Based on FRBR for Television Program Materials. Ph.D. dis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12. 조재인. 2003. 연관 저록의 구조적 접근을 위한 목록체계 구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객체지형적 접근.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Cho, Jane. 2003. Developing and Evaluating a Catalog System for Structural Representation of Bibliographic Relationship: Object-Oriented Approach. Ph.D. dis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13. 이용효. 2000. 학술정보 전거DB 시스템의 개발과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Lee, Yong-Hyo.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uthority Database System for Academic Information. Seoul: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4. Chin, John P., Diehl, Virginia A., & Norman, Kent L. 1988.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measuring user satisfaction of the human-computer interface."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13-218. 

  15. Elliott, S. 2010. "Survey of author name disambiguation: 2004 to 2010." Library Philosophy and Practice. [online]. [cited 2011.5.11]. . 

  16. IFLA Working Group on FRANAR. 2009. Functional Requirements for Authority Data: A Conceptual Model. Final Reports. UBCIM publications. Munchen: K.G. Saur. 

  17. Guha, R. V. & Garg, A. 2004. "Disambiguating people in search." Proceedings of the 13th World Wide Web Conference Series. [New York]: ACM Press. 

  18. Shadle, S. 2006. "FRBR and serials: An overview and analysis." The Serials Librarian, 50(1/2): 80-103. 

  19. Tillett, Barbara B. 2000. "Authority control on the Web." In Bicentennial Conference on Bibliographic Control for the New Millennium. [online]. [cited. 2010.5.7]. . 

  20. Tombros, Anastasios. 2002. The Effectiveness of Query-based Hierarchical Clustering of Documents for Information Retrieval. Ph.D. diss., University of Glasgow. 

  21. Veve, M. 2008. "Supporting name authority control in XML metadata: A practical approach at the University of Tennessee." Library Resources & Technical Services, 53(1): 41-52. 

  22. Veve, M. 2009. "Applying the FRAD conceptual model to an authority file for manuscripts: Analysis of a local implementation."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7: 125-1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