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정보 표준에 기반한 EHR 플랫폼의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EHR Platform Based on Medical Informatics Standards 원문보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1 no.4, 2011년, pp.456 - 462  

김화선 (대구한의대학교 IT의료산업학과) ,  조훈 (경북대학교 의료정보학과) ,  이인근 (경북대학교 의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미국의 경기부양 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의료 산업분야에서의 EHR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 법안은 다양한 의료표준을 통해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EHR 시스템을 도입하는 의원이나 병원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으로 인해 많은 EHR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또한 많은 의원이나 병원이 CCHIT에서 인증한 EHR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미국 의료 산업의 변화에 발맞추어 국내의 일부 기업에서도 국내병원에 EMR 시스템을 구축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의료 시장에 진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 한국의 의료 환경이 상이하여 개발한 시스템의 개선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료표준화 기술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의료정보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통합형 EHR 플랫폼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개발한 플랫폼에서는 전송 표준 및 방법, 용어 표준 및 활용, 의사 결정을 위한 지식 관리 등의 다양한 기반 기술을 통합하여 완성된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의료정보의 표준화를 위한 표준용어체계와 의료정보의 교환을 위한 HL7 인터페이스 엔진을 탑재하여 의료 데이터의 전자적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발한 플랫폼에 기반하여 미국 개원의의 외래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EHR 시스템인 SeniCare를 개발하고, CMS에서 제시한 "의미 있는 사용"의 조건의 부합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개발한 플랫폼의 효용성을 검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ARRA enacted recently in the United States, the interest in EHR systems have been increased in the field of medical industry. The passage of the ARRA presents a program that provides incentives to office-based physicians and hospitals adapting the EHR systems to guarantee interoperability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MS에서 규정한 meaningful use의 기준은 EHR 시스템이 갖추어야 하는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며, 상호운용성을 통해 의료정보의 효과적인 관리와 이용을 위한 환경을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meaningful use의 기준을 만족한다고 해서 좋은 EHR 시스템이 라고 할 수는 없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료 표준화 기술에 기반하여 이 기종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통합형 EHR 플랫폼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또한 개발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SeniCare1)[19]로 명명된 미국 수출용 EHR 시스템을 개발하여 meaningful use의 실현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개발한 플랫폼의 효용성을 확인한다.
  • 본 논문에서 설계한 플랫폼에 기반하여 EHR 시스템이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SeniCare를 개발 하였다. 그림 5는 SeniCare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들을 나타낸 유즈케이스 다이어그램을 보인다.
  •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EHR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의료 표준에 기반한 EHR 플랫폼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개발한 플랫폼에 기반하여 미국 내 의원의 외래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EHR 시스템인 SeniCare를 개발하였다.
  • 제안한 플랫폼에 기반하여 개발한 SeniCare가 CMS에서 요구하는 meaningful use의 조건을 어느 정도 충족하는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SeniCare에서 구현한 기능이 미국에서 2012년까지 EP를 대상으로 적용되는 1단계(Stage 1) meaningful use의 15가지 조건[4, 5]에 대해 충족 하는지를 비교하였다.
  • 본 논문에서 개발한 SeniCare가 meaningful use를 모두 만족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개발한 EHR 플랫폼을 이용하여 CMS에서 요구하는 조건들을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은 되어있다. 즉, 본 연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개발한 플랫폼은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될 것이며, 개발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SeniCare 또한 지속적인 추가 개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생전자건강기록 시스템의 효과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의료정보 분야에서는 종이에 기록되던 의료 및 건강 정보를 전산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다양한 건강 정보 기술(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HIT)들이 개발되었다[1]. 또한 전 세계적으로 많은 병원들이 HIT를 기반으로 개발된 평생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EHR)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고, 이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건강 정보 관리, 의료인의 환자에 대한 진료 지원 등을 통해 병원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병원의 운영 예산을 절감하고 환자에게 좀 더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2, 3].
EHR 시스템은 무엇에 맞추어 설계해야하는가? 국내에서도 의료정보의 전산화를 위해 전자의무기록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및 EHR 시스템을 도입하는 병원과 그와 관련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10-12], 또한 일부 국내 기업에서는 병원의 EMR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얻은 기술력을 기반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3]. 그러나 EHR 시스템은 단순한 정보 기술만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의료 프로세스에 맞추어 시스템을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의료정보 시스템 사이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HL7[13], DICOM[14] 등의 의료 정보 교환을 위한 표준규약과 SNOMED-CT[15], ICD[16], CPT[17], LOINC[18] 등의 의학 표준용어체계(standard terminology)와 같은 의료 표준화 기술들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미국의 경기부양 법안은 무엇을 제시하는가? 최근 미국의 경기부양 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의료 산업분야에서의 EHR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 법안은 다양한 의료표준을 통해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EHR 시스템을 도입하는 의원이나 병원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으로 인해 많은 EHR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또한 많은 의원이나 병원이 CCHIT에서 인증한 EHR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곽연식, 조훈, 김인숙, 김종효, 민원기, 의료정보학의 입문, 비아이티 출판사, 2000. 

  2. 김용욱, Essential Elements of EHR System(v1.0), 군자출판사, 2006. 

  3.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Society, "22nd Annual HIMSS Leadership Survery," Available: http://www.himss.org/2011survey/healthcareCIO_final.asp, 2011, [Accessed: May 9, 2011] 

  4. 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Medicare and Medicaid Programs; Electronic Health Record Incentive Program", Avaliable: http://edocket.access.gpo.gov/2010/pdf/2010-17207.pdf, 2010, [Accessed: May 13, 2011] 

  5. 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CMS EHR Meaningful Use Overview", Available: https://www.cms.gov/EHRIncentivePrograms/30_Meaningful_Use.asp#TopOfPage, 2011, [Accessed: May 13, 2011] 

  6. The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Establishment of the Permanent Certification Program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Available: http://origin.www.gpo.gov/fdsys/pkg/FR-2011-01-07/pdf/2010-33174.pdf, 2011, [Accessed: May 13, 2011] 

  7. Walter H. Henricks, "Meaningful use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its relevance to laboratories and pathologists," Journal of pathology informatics, vol. 3, No. 7, 2011. 

  8.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Society, "HIMSS Online Buyer's Guide", Avaliable: http://onlinebuy ersguide.himss.org/index.asp?F_PavilionY, 2011, [Accessed: May 13, 2011] 

  9. The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Certified Health IT Product List", Available: http://onc-chpl.force.com/ehrcert/EHRProductSearch, [Accessed: May 13, 2011] 

  10. S.H. Han, M.H. Lee, S.G. Kim, J.Y. Jeong, B.N. Lee, "Implementation of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Based on EHR Standard,"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 16, no. 4, pp.281-289, 2010. 

  11. H.H. Kim, K.-W. Cho, H.S. Kim, J.-S. Kim, J.H. Kim, S.P. Han, C.B. Park, S. Kim, Y.M. Chae, "New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 17, no. 1, pp.67-75, 2011. 

  12. H.J. Ryu, W.S. Kim, J.H. Lee, S.W. Min, S.J. Kim, Y.S. Lee, Y.H. Lee, S.W. Nam, G.S. Eo, S.G. Seo, M.H. Nam, "Asan Medical Information System for Healthcare Quality Improvement,"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 16, no. 3, pp.191-197, 2010. 

  13. "Health Level 7", Available: http://www.hl7.org, [Accessed: May 13, 2011] 

  14.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Available: http://medical.nema.org, [Accessed: May 13, 2011] 

  15. "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Clinical Terms", Available: http://www.ihtsdo.org, [Accessed: May 13, 2011] 

  16.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vailable: http://www.who.int/classifications/icd/en, [Accessed: May 13, 2011] 

  17. "Current Procedural Terminology", Available: http://www.ama-assn.org/ama/pub/physician-resources/solutions-managing-your-practice/coding-billing-insurance/cpt.page, [Accessed: May 13, 2011] 

  18.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http://loinc.org, [Accessed: November 5, 2010] 

  19. Medical Informatics Platform for Telehealth Development Center, "SeniCare", Available: http://medinfo.knu.ac.kr/senicare, [Accessed: May 13, 2011] 

  20. J. Kim, H. Jung, and D.W. Bates, "History and Trends of Personal Health Record Research in PubMed,"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 17, no. 1, pp. 3-17, 2011. 

  21. 이인근, 김화선, 조훈, "표준 의학 용어체계의 매핑을 위한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제21권, 2호, pp.237-243, 2011. 

  22.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Available: http://hl7book.net/index.php?titleCDA, [Accessed: May 6, 2011] 

  23. "ABC", Available: http://www.abccodes.com/ali/products_services/pro_description.asp, [Accessed: November 5, 2010] 

  24.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Available: http://www.nanda.org, [Accessed: November 5, 2010] 

  25.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Available: http://www.nursing.uiowa.edu/excellence/nursing_knowledge/clinical_effectiveness/nic.htm, [Accessed: November 5, 2010] 

  26.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Available: http://www.nursing.uiowa.edu/excellence/nursing_knowledge/clinical_effectiveness/noc.htm, [Accessed: November 5, 2010] 

  27. M.C. Weinstein and H.V. Fineberg, Clinical Decision Analysis, W.B. Saunders Company, 1980. 

  28. M. Johnson, G. Bulechek, H. Butcher, J.M. Dochterman, M. Maas, S. Moorhead, and E. Swanson, NANDA, NOC, and NIC Linkages, Mosby, 2006. 

  29. T. Tran, H.S. Kim, H. Cho. "A Development of HL7 Middleware for Medical Device Communication," In Proceedings of SERA'2007, pp. 485-492, 2007. 

  30. "CMS-1500", Available: https://www.cms.gov/ElectronicBillingEDITrans/16_1500.asp, [Accessed: November 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