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기능프로젝트팀의 설계, 팀 코칭, 팀 개발과 성과
The Team Structure Design, Team-Coaching, Team Development, and Team Performance of Cross-Functional Project Tea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8, 2011년, pp.260 - 273  

박종혁 (강남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양한 기능영역 간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창의적 사고와 혁신을 유인하기 위해 운영되는 다기능프로젝트팀(Cross-Functional Project Team)의 성과 창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 소집단 유효성 연구는 팀 프로세스가 중요함을, 조직맥락 연구에서는 팀 구조설계 및 긍정적인 조직맥락 조성을 강조하고 있는 바에 기초하여 다기능프로젝트팀만의 차별적 특성을 반영한 성과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리더 행위로서의 팀 코칭(team coaching)이 갖는 조절효과도 파악하였다. 17개 서울 및 수도권 소재 기업에서 운영한 다기능프로젝트팀 32개, 2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한 결과, 역량구성 적절성과 팀 보상시스템이 팀 프로세스 및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팀 코칭이 팀 프로세스 및 팀 성과에 갖는 직접적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경영관리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tilizing cross-functional project teams is an attractive organizing option, particularly in solving complex and innovative problems that require diverse sources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expertise brought by individuals from different functional backgrounds. This study is aiming at findin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후속연구에서는 팀 내?외부 상호작용 관점에서 팀 상황에 적합한 프로세스 요소를 추가적 으로 발굴하여야 보다 많은 팀 구조 운영에 대한 시사 점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시간 제약이 중요한 상황맥락인 다기능프로젝트팀에 초점을 맞추고 성숙한 팀 개발단계에 도달하는 시간의 빠르고 늦음이 어떤 효과를 내는지 파악하였다. 그러나 성숙한 팀 개발단계에 도달하는 시간과 성숙한 정도는 다른 차원의 개념이다.
  • 따라서 팀 내 역량 구성의 적절성이 팀 프로세스 및성과에 어떤 영향력을 갖는지 다음과 같은 가설 검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다기능프로젝트팀의 성과 창출에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팀 구조 변수로 팀 과업 수행에 요구되는 역량(KSA) 구성의 적절성과,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과업 수행을 위한 팀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지원적 조직맥락으로는 팀 보상 시스템, 자원 및 정보의 가용성을 채택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양한 팀 유형 중 다기능프로젝트팀(Cross-Functional Project Team)의 성과 창출 영향요 인들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기업들은 보다 높은 환경적합성 창출과 비정형적 현안 해결을 위해, 특히 한 기능영역의 전문성, 지식, 기술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풀기 위해 다기능프로젝트팀을 도입하고 있다[11][22].
  • 본 연구에서는 다기능프로젝트팀의 성과 창출에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팀 구조 변수로 팀 과업 수행에 요구되는 역량(KSA) 구성의 적절성과,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과업 수행을 위한 팀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지원적 조직맥락으로는 팀 보상 시스템, 자원 및 정보의 가용성을 채택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 Cohen과 Bailey[9], Scott과 Einstein[40]은 ‘프로젝트팀’으로, Sundstrom 등[45]은 ‘프로젝트 및 개발팀’으로, Denison, Hart와 Kahn[13], Holland, Gaston와 Gomes[22]은 ‘다기능팀’으로, 또한 신제품개발이라는 구체적 목표에 따라 신제품개발팀[4]으로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시간 안에 완수해야 하는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여러 기능영역에서 신중한 선발과정을 거친 인력으로 구성된 프로젝트기반 다기능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것은 상기한 프로젝트팀 및 다기능팀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팀 유형과 동일하지만, 복수의 기능영역에서 참여하여 프로젝트 완수를 목표로 하는 팀 유형인 바, ‘다기능프로젝트팀’이라 표현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맥락 요소로 팀 보상 시스템과 자원 및 정보의 가용성을 채택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요소로 팀 임파워먼트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팀스스로의 자율적인 과업수행 및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정도인 팀 임파워먼트는 팀 구조 설계의 주요 요소로 간주할 수 있으며, 팀 프로세스 및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예: [28][29][44]).
  • 오늘날 기업 현장 에서는 전문적 기능영역으로 분화된 조직 내에 기능을 가로지르는 단위조직 운영이 중요해지고 있으나 이러한 메트릭스식 단위조직 운영방안에 대한 지식 축적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체적 팀 운영 방안을 제시해주고 있다. 참여 구성원의 역량 구성과 팀보상 체계의 구축 등은 팀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이 밝혀졌기 때문에 이러한 팀 구조 및 조직맥락 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역동적 변동성 관점에서의 ‘팀 개발 성숙기간’이라는 프로세스 요소를 제시하고 정해진 프로젝트 기간 중 어느 시점에 성숙한 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가가 팀 성과에 중요한 영향요소로 작용함을 밝혔다.
  •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다기능프로젝트팀의 성과창출에 대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기존 연구들을 중심으로 다기능프로젝트팀의 특성을 파악한다.
  • 박종혁·권석균[1]은 집단이 시간 흐름에 따라 사회관계적으로, 과업지향적으로 점차 성숙해 간다는 집단개발이론(group development theory)의 주장이 팀 프로세스 연구에 적용되어, 팀이 시간 흐름 속에서 위계적, 연속적으로 보다 성숙한 프로세스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성과의 관계가 검증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 검증을 통해 다기능프로젝트팀의 성과창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 Gersick과 Tuckman의 집단개발연구를 비교하여 상호보완적 의미를 찾은 Chang, Bordia와 Duck[7]은 집단개발단계가 형성기, 격동기, 안정기, 업무수행기로 나뉘기는 하지만 형성기와 격동기의 두드 러진 특성, 그리고 안정기와 업무수행기의 두드러진 특성이 명확하게 구분 지을만한 것은 아니라고 결론지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집단개발단계 중 형성기와 격동기를 미성숙한 집단개발단계로, 안정기와 업무수행 기를 성숙한 집단개발단계로 통합하여 가설검증을 하고자 한다. 측정은 박종혁·권석균[1]의 설문을 활용하 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결과는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안정적인 사회· 정서적 관계, 그리고 과업지향적인 행동이 팀 내에 조성되면 성과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설 1은 지지되었다.
  • 가설1 : 팀 개발 성숙기간은 팀 성과에 부(-)의 영향을 줄 것이다. 즉 팀이 성숙한 개발 단계에 이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성과는 감소할 것이다.
  • 가설2 : 역량구성 적절성은 팀 개발 성숙 기간에 부(-)의 영향을 줄 것이다. 즉 역량구성이 적절할수록 성숙한 팀 개발 단계에 이르는 시간은 단축될 것이다.
  • 가설3 : 팀 임파워먼트는 팀 개발 성숙 기간에 부(-) 의 영향을 줄 것이다. 즉 팀 임파워먼트가 증가할수록 성숙한 팀 개발 단계에 이르는 시간은 단축될 것이다.
  • 가설4 : 팀 보상 시스템은 팀 개발 성숙 기간에 부(-) 의 영향을 줄 것이다. 즉 팀 보상 시스템이 체계화될수록 성숙한 팀 개발 단계에 이르는 시간은 단축될 것이다.
  • 가설5 : 자원 및 정보 가용성은 팀 개발 성숙 기간에 부(-)의 영향을 줄 것이다. 즉 자원 및 정보 가용성이 증가할수록 성숙한 팀 개발 단계에 이르는 시간은 단축될 것이다.
  • 가설7 : 리더의 팀 코칭은 팀 구조(역량구성 적절성과팀 임파워먼트)가 팀 개발 성숙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할 것이다.
  • 가설8 : 리더의 팀 코칭은 지원적 조직맥락(팀 보상 시스템과 자원 및 정보 가용성)이 팀 개발 성숙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할 것이다.
  • 즉 역량구성이 적절할수록 성숙한 팀 개발 단계에 이르는 시간은 단축될 것이다. 또한 역량구성 적절성은 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즉 자원 및 정보 가용성이 증가할수록 성숙한 팀 개발 단계에 이르는 시간은 단축될 것이다. 또한 자원 및정보 가용성은 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즉 팀 보상 시스템이 체계화될수록 성숙한 팀 개발 단계에 이르는 시간은 단축될 것이다. 또한 팀 보상시스템은 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즉 팀 임파워먼트가 증가할수록 성숙한 팀 개발 단계에 이르는 시간은 단축될 것이다. 또한 팀 임파워먼트는 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1 : 팀 개발 성숙기간은 팀 성과에 부(-)의 영향을 줄 것이다. 즉 팀이 성숙한 개발 단계에 이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성과는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팀 구조는 공식화 정도에 따라 어떻게 분류 되는가? 팀은 현대 기업조직의 기본적 구조가 되고 있다. 이러한 팀 구조는 공식화 정도에 따라 네트워크디자인, 병렬형팀Ⅰ, 병렬형팀Ⅱ, 프로젝트팀, 작업팀[8], 팀의 역할에 따라 조언 및 참여팀, 생산 및 서비스팀, 프로젝트 및 개발팀, 실행 및 협상팀[45], 과업 복잡성과 팀 멤버십 구성의 역동성을 기준으로 작업팀, 프로젝트팀, 네트워크팀[40]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팀 유형별로 차별적인 상황맥락을 반영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팀 유형별로 차별적인 상황맥락을 반영한 연구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그러나 팀 유형별로 차별적인 상황맥락을 반영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1990년대에 들어서야 차별적 팀 유형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여타 단위 조직 연구에 비해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졌으며, 기존의팀 연구들이 주로 통상적인 작업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집착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분명한 사실은 조직의 구성 목적에 따라 어떤 유형의 팀을 구성하고, 그 구조를 설계하며, 어떠한 방식으로 관리·운영되어야 하는가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사실이다.
다기능프로젝트팀이란 무엇인가? 다기능프로젝트팀은 다양한 기능영역에서 참여한 구성원들이 제한된 기간 안에 복잡하고, 비정형적이며,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팀 유형이다. 또한 상호보완적인 기술, 공동의 목표, 구성원 간 상호 책임지는 작업방식을 공유하는 조직구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박종혁, 권석균, "다기능프로젝트팀의 다양성, 조직맥락, 팀 개발기간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38권, 제5호, pp.1273-1305, 2009. 

  2. 이유재, "상호작용효과를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에 서 주효과의 검증에 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23권, pp.183-210, 1994. 

  3. D. G. Ancona, and D. Caldwell, "Demography and Design: Predictors of New Product Team Performance," Organization Science, Vol.3, pp.321-341, 1992a. 

  4. D. G. Ancona, and D. Caldwell, "Cross-functional Teams: Blessing or Curse for New Product Development," In T. A. Kochan and M. Useem (Eds.), Transforming organizations, pp.154-166.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2b. 

  5. J. J. Arnold, S. Arad, J. A. Rhoades, and F. Drasgow, "The Empowering Leadership Questionnaire: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New Scale for Measuring Leader Behavio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pp.249-269, 2000. 

  6. M. A. Campion, G. J. Medsker, and A. Higgs, "Relations Between Work Group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 Implications for Designing Effective Work Groups," Personnel Psychology, Vol.46, pp.823-850, 1993. 

  7. A. Chang, P. Bordia, and J. Duck, "Punctuate Equilibrium and Linear Progression: Toward a New Understanding of Group Develop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6, pp.106-117, 2003. 

  8. S. G. Cohen, "New Approaches to Teams and Teamwork," In J. R. Galbraith, E. E. Lawler, and Associates (Eds.), Organizing for the Futrure: The New Logic for Managing Complex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 1991. 

  9. S. G. Cohen, and D. E. Bailey, "What Makes Teams Work : Group Effectiveness Research from the Shop Floor to the Executive Suite," Journal of Management, Vol.23, pp.239-290, 1997. 

  10. R. G. Cooper, Developing New Products on Time, in Time. Research Technology Management, Vol.38, pp.49-57, 1995. 

  11. H. Denis, "Matrix Structures, Quality of Working Life, and Engineering Productivity,"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33, pp.148-156, 1986. 

  12. D. R. Denison, S. L. Hart, and J. A. Kahn, "From Chimneys to Cross-Functional Teams : Developing and Validating a Diagnostic Model,"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9, pp.1005-1023, 1996. 

  13. A. Donnellon, "Cross-Functional Teams in Product Development: Accommodating the Structure to the Proces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0, pp.377-392, 1993. 

  14. F. F. Fournies, Coaching for Improved Work Performance. Bridgewater, NJ: Van Nostrand Reinhold, 1978. 

  15. J. R. Galbraith, "Matrix Organization Designs," Business Horizons, Vol.14, pp.29-40, 1971. 

  16. B. S. Georgopolous, Organizational Structure, Problem-solving, and Effectiveness, San Francisco: Jossey-Bass, 1986. 

  17. D. L. Gladstein, "Groups in Context: A Model of Task Group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9, pp.499-517, 1984. 

  18. J. R. Hackman, "The Design of Work Teams," In J. Lorsch(Eds.), Handbook of Organizational Behavior, pp.315-342,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7. 

  19. J. R. Hackman, and R. Wageman, "A Theory of Team Coaching,"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0, pp.269-287, 2005. 

  20. J. C. Henderson, and S. Lee, Managing I/S Design Teams: A Control Theories Perspective. Management Science, Vol.38, pp.757-777, 1992. 

  21. S. Holland, K. Gaston, and J. Gomes,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Cross-Functional Teamwork in New Product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Vol.2, pp.231-259, 2000. 

  22. K. A. Jehn, G. B. Northcraft, and M. A. Neale, "Why Differences Make a Difference: A Field Study of Diversity, Conflict, and Performance in Work Group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44, pp.741-763, 1999. 

  23. J. A. Kernaghan, and R. A. Cooke, "Teamwork in Planning Innovative Projects: Improving Group Performance by Rational and Interpersonal Interventions in Group Proces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37, pp.109-116, 1990. 

  24. K. Knight, "Matrix Organization: A Review,"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17, pp.111-130, 1976. 

  25. H. F. Kolodny, "Evolution to a Matrix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4, pp.543-553, 1979. 

  26. E. W. Larson, and D. H. Gobeli, "Matrix Management: Contradictions and Insigh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29, pp.126-138, 1987. 

  27. C. C. Manz,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 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Management Review, Vol.11, pp.585-600, 1986. 

  28. C. C. Manz, "Self-Leading Work Teams: Moving Beyond Self-Management Myths," Human Relations, Vol.45, pp.1119-1140, 1992. 

  29. D. W. Marquardt, "You Should Standardize the Predictor Variables in Your Regression Model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75, pp.87-91, 1980. 

  30. J. E. Matieu, T. S. Heffner, G. F. Goodwin, S. E. Salas, and J. A. Cannon-Bowers, "The Influence of Shared Mental Models on Team Process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5, pp.273-283, 2000. 

  31. C. C. Miller, L. B. Carinal, and W. H. Glick, "Retrospective Repor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A Reexamination of Recent Evide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0, pp.189-204, 1997. 

  32. S. A. Mohrman, S. G. Cohen, and A. M. Mohrman, Designing Team-Based Organizations, New Forms for Knowledge Work, San Francisco: Jossey-Bass, 1995. 

  33. L. H. Pelled, K. M. Eisenhardt, and K. R. Xin, "Exploring the Black Box: An Analysis of Work Group Diversity, Conflict, and Performan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44, pp.1-28, 1999. 

  34. J. L. Perry, and J. L. Pearce, "Initial Reactions to Federal Merit Pay," Personnel Journal, Vol.43, pp.230-237, 1983. 

  35. D. S. Pugh, D. J. Hickson, and C. Turner,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13, pp.289-315, 1968. 

  36. D. S. Pugh, D. J. Hickson, Writers on Organizations(5th Ed.), Ewbury Park, CA: Sage, 1997. 

  37. E. Salas, D. Rozell, B. Mullen, and J. E. Driskell, "The Effect of Team Building on Performance," Small Group Research, Vol.30, pp.309-330, 1999. 

  38. M. C. Schippers, D. N. Den Hartog, P. L. Koopman, and J. A. Wienk, "Diversity and Team Outcomes: The Moderating Effects of Outcome Interdependence and Group Longiv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xivit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4, pp.779-802, 2003. 

  39. S. G. Scott, and W. O. Einstein, "Strategic Performance Appraisal in Team-based Organizations: One Size Does Not Fit All,"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5, pp.107-116, 2001. 

  40. R. Sethi, and C. Y. Nicholson, "Structural and Contextual Correlates of Charged Behavior in Product Development Teams," Th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8, pp.154-168, 2000. 

  41. G. P. Shea, and R. A. Guzzo, "Group Effectiveness: What Really Matters?," Sloan Management Review, Vol.28, pp.25-31, 1987. 

  42. I. D. Steiner, Group Processes and Productivity,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972. 

  43. G. L. Stewart, and M. R. Barrick, "Team Structure and Performance: Assessing the Mediating Role of Intrateam Process and the Moderating Role of Task Typ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3, pp.135-148, 2000. 

  44. E. Sundstrom, K. P. Demeuse, and D. Futrell, "Work Teams: Applications and Effectiveness," American Psychologist, Vol.45, pp.120-133, 1990. 

  45. S. L. Tannenbaum, R. L. Beard, and E. Salas, "Team Building and its Influence on Team Effectiveness: An Examination of Conceptual and Empirical Developments," In K. Kelley (Ed.), Issues, Theory, and Research in Industrial/ Organizational Psychology, pp.117-153, Amsterdam: Elsevier, 1992. 

  46. R. J. Trent, and R. M. Monczka, "Effective Cross-Functional Sourcing Teams: Critical Success Fa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Purchasing and Materials Management, Vol.30, pp.3-11, 1994. 

  47. R. Wageman, "How Leaders Foster Self-Managment Team Effectiveness: Design Choices vs. Hands-On Coaching," Organization Science, Vol.12, pp.559-577, 2001. 

  48. R. Wageman, J. R. Hackman, and E. V. Lehman, Development of the Team Diagnostic Survey. Working Paper, Tuck School, Dartmoth College, Hanover, NH. 2004. 

  49. A. W. E. Woolley, "Effects of Intervention Content and Timing on Group Tas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Behavior Science, Vol.34, pp.30-49,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