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맨손과 장갑 낀 손의 미생물 오염도 비교
A Comparison of Microbial Load on Bare and Gloved Hands among Food Handler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7 no.4, 2011년, pp.298 - 305  

김종규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박정영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김중순 (계명대학교 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re has been a great amount of controversy in the food industry over the effectiveness of using glo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food handlers' hands and determine if using gloves could ensure safe handling of foods. Methods: Sampl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ureus 및 Salmonella를 비롯한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더 철저한 손 씻기와 손 위생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또한 물로 씻는 정도의 손 씻기나 장갑 씻기에 의해서는 이들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기 어렵다는 바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S.
  • 식품산업에서 장갑 사용의 유용성에 대한 논란이 크다. 본 연구는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장갑 착용이 손의 미생물 방어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작업 현장에서 맨손과 장갑 낀 손의 미생물(aerobic plate counts,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E.
  • 16,17) 병원이나 의료시설의 경우와 달리 식품시설에서는 대개 멸균되지 않은 고무장갑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식품취급자의 작업 초기로부터 작업을 마칠 때까지 맨손과 장갑 낀 손의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하였다.
  • 특히 식품서비스산업에서는 손 위생관리의 부재로 인하여 다수에게 일시에 폭발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손 위생관리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며, 국내에서는 구체적인 연구보고가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품취급자를 대상으로 실제 작업 중 맨손과 장갑 낀 손의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 관찰하여 장갑 착용이 식품취급에서 손을 통한 미생물 오염 방어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Coliforms의 검출은 위생실천의 효과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며 그 존재는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위험 증가를 제시한다.22) E. coli는 손에는 대개 존재하지 않으며 그 존재는 분변오염의 확실한 지표로 간주된다.23) 본 연구대상자들이 작업을 마친 후에도 맨손이나 장갑 낀 손 모두에서 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매개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식품매개성질환은 세계적으로 주요한 공중보건문제 중 하나이다. 식품매개성질환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식품취급과 개인위생관리 준수 및 이행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손의 오염과 손을 통한 교차오염은 끊임없이 문제시 되고 있다.
보건의료산업에서 제시된 장갑 사용의 부정적인 측면은? 한편 이와 더불어 장갑 사용의 부정적인 측면이 과거로부터 최근까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몇 몇 연구보고에서는 보건의료산업에서 장갑 사용으로 인하여 오히려 손 씻기나 손 위생관리 이행이 저조함을 제시하였다. 기관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개 20% 이하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손의 미생물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오염지표미생물을 측정했는가? 손의 미생물 오염도는 일반적 청결 및 오염지표미생물인 일반세균수를 우선 측정하였다. 분변성 오염지표미생물인 총대장균군(total coliform), 분변성대장균군(fecal coliform)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그리고 장내세균과 중 식품매개성질환에 자주 관여하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과 살모넬라균(Salmonella spp.)을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lota M, Green M, Farley A, Janosky J, Carcillo J. The role of gown and glove isolation and strict handwashing in the reduction of nosocomial infection in children with solid organ transplantation. Crit Care Med. 2001; 29: 405-412. 

  2. Slaughter S, Hayden MK, Nathan C, Hu TC, Rice T, Van Voorhis J, et al.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universal use of gloves and gowns with that of glove use alone on acquisition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nn Intern Med. 1996; 125: 448-456. 

  3. Tenorio AR, Badri SM, Sahgal NB, Hota B, Matushek M, Hayden MK, et al. Effectiveness of gloves in the prevention of hand carriage of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species by healthcare workers after patient care. Clin Infect Dis. 2001; 32: 826-829. 

  4. Berthelot P, Grattard F, Patural H, Ros A, Jelassi- Saoudin H, Pozzetto B, et al. Nosocomial colonization of premature babies with Klebsiella oxytoca: probable role of enteral feeding procedure in transmission and control of the outbreak with the use of glove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1; 22: 148-151. 

  5. Garner JS. Guideline for isolation precautions in hospital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996; 17: 53-80. 

  6. Goldmann DA. The role of barrier precautions in infection control. J Hosp Infect. 1991;18:515-523. 

  7. Pittet D, Dharan S, Touveneau S, Sauvan V, Perneger TV. Bacterial contamination of the hands of hospital staff during routine patient care. Arch Intern Med. 1999; 159: 821-826. 

  8. Nova Am, Pi-Sunyer T, Sala M, Molins E, Castells X. Evaluation of hand hygiene adherence in a tertiary hospital. Am J Infect Control. 2007; 35: 676- 683. 

  9. Hakko E, Rasa K, Karaman ID, Enunlu T, Cakmakci M. Low rate of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before glove use. Am J Infect Control. 2011; 39: 82-83. 

  10. Pittet D. Improving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in hospital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2; 21: 381-386. 

  11. Thomson BL, Dwyer DM, Ussery XT, Denman S, Vacek P, Schwartz B. Handwashing and glove use in a long-term care facility.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997; 18: 97-103. 

  12. Merio-Hietaniemi, K. Hietaniemi. False hand hygiene with gloves only. J Hosp Infect. 2010; 76: S461. 

  13. Paulson DE. Evaluation of three microorganism recovery procedures used to determine hand wash efficacy. Dairy Food Environ Sanit. 1993; 13: 520- 523. 

  14. Seal L, Paulson D. Antimicrobial persistence and residual effect in healthcare personnel handwashes. Am J Infect Control. 2004; 32: E21-E22. 

  15.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of Korea; 2010. 

  16. Pittet D, Boyce JM. Hand hygiene and patient care: pursuing the Semmelweis legacy. Lancet Infect Dis. 2001; 1: 9-20. 

  17. Ji, H. Yin, Y. Chen.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non-compliance with glove utilization and hand hygiene among obstetrics and gynaecology workers in rural China. J Hosp Infect. 2005; 59: 235-241G. 

  18. Gorman R, Bloomfield S, Adley CC. A study of cross-contamina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the domestic kitchen in the Republic of Ireland. Int J Food Microbiol. 2005; 76: 143-150. 

  19. Barker J, Naeeni M, Bloomfield SF. The effects of cleaning and disinfection in reducing Salmonella contamination in a laboratory model kitchen. J Appl Microbiol. 2003; 95: 1351-1360. 

  2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topping germs at home, work and school. 2004. Available from: http://www.cdc.gov/germstopper/home_ work_school.htm. [Accessed September 30, 2008]. 

  21. Legg J, Khela N, Madie P, Fenwick SG, Quynh V, Hedderley DI. A comparison of bacterial adherence to bare hands and gloves following simulated contamination from a beef carcass. Int J Food Microbiol. 1999; 53: 69-74S. 

  22. Moore G, Griffith C. A comparison of surface sampling methods for detecting coliforms on food contact surfaces. Food Microbiol. 2002; 19: 65-73. 

  23. De Wit JC, Rombouts FM. Faecal bacteria on the hands of carriers: Escherichia coli as model for Salmonella. Zentralbl Hyg Umweltmed. 1992; 193: 230-236. 

  24. Sacar S, Turgut H, Kaleli I, Cevahir N, Asan A, Sacar M, Tekin K. Poor hospital infection control practice in hand hygiene, glove utilization, and usage of tourniquets. Am J Infect Control. 2006; 34: 606-609. 

  25. Girou E, Chai SHT, Oppein F, Legrand P, Ducellier D, Cizeau F, Brun-Buisson C. Misuse of gloves: the foundation for poor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and potential for microbial transmission? J of Hosp Infect. 2004; 57: 162-169. 

  26. Hannigan P, Shields JW. Handwashing and use of examination of gloves. Lancet. 1998; 351: 5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