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 일부 지역 대학생 손의 미생물 오염도와 위생 인식
Prevalence of Microorganism Contamination on the Hands of University Students in Jeonnam and Hygiene Awarenes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2, 2017년, pp.203 - 210  

김종명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슬기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석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권순목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김중범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and washing awareness and microorganism contamination on the hands for evaluating the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and conditions of hand hygiene.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was 2.7 log CFU/hand and 1.8 log CFU/hand, respec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시절 손 씻기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고, 행동반경과 생활 패턴이 다양해 손의 미생 물 오염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손 씻 기 인식, 습관, 방법 및 손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여 손 위생에 관한 인식과 위생 상태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100명의 손 씻기 인식, 습관, 방법 및 손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여 손 위생에 관한 인식과 위생 상태를 비교, 손 씻기 교육의 방향과 손을 통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대학생들의 손 위생 상태를 분석 한 결과, 일반세균수의 경우 평균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중독과 감염성 질환 예방을 위한 가장 경제적인 방법은? 집단식중 독의 주요 발생 원인은, 식재료 및 식품의 비위생적 취급(Kim 등 2004)과 조리기구 및 손에 의한 교차오염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Zhao 등 1998)되고 있으며, 특히 부적절한 개인위생과 불결한 손 위생이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Kang YJ 2001)되고 있다. 식중독과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예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손 씻기가 가장 경제적인 것으 로 분석(Kim 등 2011)되고, 손 씻기를 통하여 감염 질환의 70%를 예방할 수 있다고 보고(Park 등 2011)되고 있다. 정부 에서는 손 위생 확보를 위하여 2005년 범국민 손 씻기 운동 본부를 발족하여, 1830 운동을 전개(Kim 등 2009)하는 등 국가차원 손 씻기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
올바른 손 씻기란 무엇인가? 올바른 손 씻기란 손바닥, 손등, 손가락사이, 엄지손가락, 손톱 밑 등 손 씻기 6단계를 준수하며, 하루에 8번 이상, 손 씻을 때마다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것이다(Kim 등 2009). 손 씻기 6단계를 준수하지 않거나, 손 씻는 횟수와 시간이 부족할 경우, 손에 오염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없어 손 위생이 보장되 지 않으며(Lynch 등 2003), 손 위생에 대한 인식과 실제적 오염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수도꼭지 잠그는 방법에서 나타나는 남녀별 차이는 무엇인가? 수도꼭지 잠그는 방법은 손가락으로 잠그는 경우가 61명, 수도 꼭지를 물로 씻은 후 잠그는 경우가 18명, 손목이나 팔꿈치로 잠그는 경우가 11명, 손바닥으로 잠그는 경우가 8명, 휴지를 이용해 잠그는 경우는 단지 2명으로 나타나 손 씻은 후 올바르게 수도꼭지를 잠그는 경우가 2%에 불과하였다. 손 씻기 방법에서 남녀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에 반하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수도꼭지를 물로 씻은 후 잠그는 경우가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손을 씻은 후 건조하는 방법 은 휴지를 이용하는 경우가 56명, 손의 물기를 털어 건조시키 는 경우가 30명, 개인 손수건과 공중사용 수건이 각각 4명씩으로 조사되었으며, 핸드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3명으로 조사되어 휴지를 이용하여 손을 건조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YS. 2014. Behaviors of hand washing practice Korean adolescents, 2011-2013: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 based survey. J Academic-Industrial Technology 15:4132-4138 

  2. Chung JK, Kim MJ, Kee YH, Choi MH, Seo JJ, Kim SH, Park JT, Kim MG, Kim ES. 2008. Preval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on hands in various age groups. J Fd Hyg Safety 23:40-50 

  3. Doyle MP, Ruoff KL, Pierson M, Weinberg W, Soule B, Michaels BS. 2000. Reduc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at home. Dairy Food Environ Sanit 20:330-337 

  4. Jeong JS, Choi JK, Jeong IS, Paek KR, In HK, Park KD. 2007. A nationalwide survey on the hand washing behavior and awareness. J Prev Med Public Health 40:197-204 

  5. Kang YJ. 2001. Handwashing, essential for safe food preparation, a technical review.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7:269-276 

  6. Kim JB, Hur ES, Kang SH, Kim DH, Do YS, Park PH, Park YB, Yoon MH, Lee JB. 2012. Prevalence of microbiological hazard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and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J Fd Hyg safety 27:30-36 

  7. Kim JE, Moon JH, Shin HA, Lee JS, Kwon SH, Lee JS, Om AS. 2011. Microbiological effect of hand safety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in a day care center. Korean J Culinary Res 17:141-150 

  8. Kim JG, Park JY, Kim JS. 2012. Studies on the hand hygiene practices of food-service workers: a comparison of fast food restaurant workers and full-service restaurant workers. J Fd Hyg Safety 27:215-233 

  9. Kim JH, Byeon DH, Kim MJ, Sim SS, Choo HS, Chai GJ, Gawk CY. 2011. Handwashing and prenentive measures for new types of influenza. J Korean Biol Nurs Sci 13:16-22 

  10. Kim JH, Kim YS, Han JS. 2004. Disinfecti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f facilities and utilities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based in the characteristics of dietitian, employee and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10:34-46 

  11. Kim JS, Park JY, Kim JG. 2009. A study on the hand-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Fd Hyg Safety 24:128-135 

  12. Kim SI, Kim WS, Cho KJ. 2008. The type of handednes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handedness assessment items on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 Phys Anthropol 21: 245-253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A research for people's recognition level and actual condition about hand washing at 2009. Available form http://img.kisti.re.kr/originalView/originalView.jsp 

  14. Lee H, Choi SM. 2009. Hand washing awareness among students in Seoul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on their hands. J Env Hlth Sci 35:278-286 

  15. Lynch R, Elledge BL, Griffith CC, Boatright DT. 2003. A comparison of food safety knowledge among restaurant managers, by source of training and experience, in Oklahoma County. J Environ Hlth 66:9-14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Information of Food Poison. Available for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menu_no519&menu_grpMENU_GRP02 

  17. Park HJ, Bae HJ. 2006.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hygiene by the customers' hands in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940-944 

  18. Park JS, Kim DB, Min HG. 2011. Comparison of desiccation methods after hand washing for removing bacteria. J Korean Biol Nurs Sci 13:8-15 

  19. Park JY, Kim JS, Kim JG. 2010. A study on the hand 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 of food-service employees and the load of index microorganisms on the hands. J Env Hlth Sci 36: 95-107 

  20. Ryu SM, Lim YJ. 2013.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n the hand washing by pre-practicum nursing students. J Academic-Industrial Technology 14:5714-5722 

  21. Ryu SM. 2013.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n the hand washing of health care students. J Academic-Industrial Technology 14:3916-3924 

  22. Zhao P, Zhao T, Dolyle MP, Rubino JR, Meng J. 1998. Development of a model for evaluation of microbial crosscontamination in the kitchen. J Food Prot 61:960-9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