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표면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v.44 no.4, 2011년, pp.165 - 171
김형주 (경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신용건 (경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안호갑 (이지스코(주)) , 김동원 (경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In this work, handling of sapphire substrate for LED by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was studied. The electrostatic chuck consisted of alumina dielectric, which was doped with 1.2 w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쿨롱형 정전척에서 잔하들이 유전층을 통과하지 못하는 이유는? | 쿨롱형 정전척은 정전척으로 사용되는 유전체 재료가 1015 Ω·cm 이상의 높은 체적저항으로 인해 전하들이 유전층을 통과하지 못하며, 전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유전체의 유전분극으로 정전기력이 생성된다3). 반면에 존슨-라벡형 정전척은 쿨롱형 정전 척과 유사하게 유전분극으로 인한 정전기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낮은 유전체 저항으로 인해 표면전하들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높은 흡착력을 갖는다. | |
정전기력을 이용한 흡착의 분류는 어떻게 되는가? |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기판을 흡착하는 기술은 반도체 산업에서 플라즈마 식각 공정 및 증착 공정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정전기력을 이용한 흡착은 유전체가 가지고 있는 표면저항 및 체적저항에 따라 전하량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고 흡착 메커니즘의 차이가 발생하여 쿨롱형 정전척(Coulomb type of electrostatic chuck) 및 존슨-라벡형 정전척 (Johnsen-Rahbek type of electrostatic chuck)으로 분리하여 적용하고 있다1,2). | |
발광다이오드 공정에서 정전척을 이용해 사파이어기판을 흡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실리콘 기판 흡착에 사용되었던 정전기력보다 높은 정전기력을 갖는 정전척이 요구되는 이유는? | 반도체 성질의 실리콘 기판 흡착에 적용되는 정 전척 방식을 절연체인 사파이어 기판 흡착에 사용할 경우에는 기판 절연특성에 의해 낮은 정전기력을 나타낸다. 또한 반도체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공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디바이스나 다이오드의 열화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기판흡착을 위한 정전기력이 낮을 경우에는 정전척 내에 헬륨 냉각가스의 압력을 충분히 올려주지 못해 실리콘 웨이퍼나 사파이어 기판들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가 없다6). 따라서 발광다이오드 공정에서 정전척을 이용해 사파이어기판을 흡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실리콘 기판 흡착에 사용되었던 정전기력보다 높은 정전기력을 갖는 정전척이 요구된다. |
G. I. Shim, Hideo Sugai, Plasma Fusion Res., 3 (2008) 051.
S. Qin, A. McTeer, Jpn. J. Appl. Phys., 102 (2007) 064901.
J. Yoo, J. S. Choi, S. J. Hong, T. H. Kim, S. J. Le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Seoul, 2007.
T. Watanabe, T. Kitabayashi, C. Nakayama, Jpn. J. Appl. Phys., 32 (1993) 864.
R. Atkinson, Br. J. Appl. Phys., 2 (1969) 325.
D. R. Wright, D. C. Hartman, U. C. Sridharan, M. Kent, T. Jasinski, S. Kang, J. Vac. Sci. Technol., A, 10 (1992) 1065.
J. S. Choi, J. Yoo, S. J. Hong, T. H. Kim, S. J. Lee, Key Eng. Mater., 326 (2006) 1221.
K. Asano, F. Hatakeyama, K. Yatsuzuka, IEEE Trans. Ind. Appl., 38 (2002) 84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