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림책을 이용한 유아 창의극 활동에서의 유아 반응에 대한 탐구
A Study of Creative Drama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Based on Picture Book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2, 2011년, pp.123 - 148  

최경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ildren's experiences in a series of creative drama activities based around the use of picture book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7 children 4 years of age. The research, implemented over the courses of 10 weeks, was integrated into their daily education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는 어떤 시기인가? 유아기는 주변의 사람, 사물, 자연을 경험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상상과 표현 활동이 풍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이다. 상상과 표현의 과정은 유아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 경험을 재해석하도록 도와준다.
유아가 자기 생각과 감정, 경험을 재해석하도록 도와주는 것은? 유아기는 주변의 사람, 사물, 자연을 경험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상상과 표현 활동이 풍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이다. 상상과 표현의 과정은 유아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 경험을 재해석하도록 도와준다. 유아는 길다란 막대를 피리로 상상하여 불기도 하고, 머리핀으로 상상하여 머리에 꽂기도 하고, 할아버지의 지팡이를 상상하여 할아버지 흉내를 내기도 하는 등 ~인척 하는 상상과 표현의 과정을 통해서 자신이 생활 속에서 보고 듣고 느낀 것, 사고하는 것들을 다양하게 표현할 기회를 경험하게 된다.
유아의 상상과 표현 활동이 가장 종합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극화 활동인 이유는? 이렇게 유아의 상상과 표현 활동이 가장 종합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로 극화활동이다. 극화활동은 유아가 어떤 역할을 맡아서 마치 그 사람이 된 것처럼 가장하여 행동하는 것으로, 사물, 행동, 언어 및 상황들의 가작화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유아가 극화 활동에서 배우 혹은 관객으로서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극을 경험해 보는 것은 유아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지각하고 변형시키며, 새로운 상황과 맥락을 창조하도록 도와줄 뿐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판단의 기회를 증가시켜 주기때문에 상상력과 표현력을 향상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구진령(2006). 교육연극을 통한 독서교육 방법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32(1), 5-26. 

  2. 김동교(2000). 동화를 통한 동작 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미예(1999). 동화를 활용한 동극 중심의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민정(2008).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선.한정혜.제인현.이송은(2007). 유아를 위한 연극놀이. 서울: 창지사. 

  6. 김세희(2000). 유아문학교육. 서울: 양서원. 

  7. 김영천 (1998).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이용숙.김영천(편).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8. 김자연(2003). 아동문학이해와 창작의 실제. 서울: 청동거울. 

  9. 김현희.박상희(2008). 유아문학교육. 서울: 학지사. 

  10. 김희영(2009).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를 통해 나타난 유아의 이야기꾸미기 능력. 경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선희(2000). 유아의 창의적 극놀이를 위한 교수-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 29, 65-93. 

  12. 박중길(2004). 무용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3(4), 745-758. 

  13. 송성심(2005). 교육연극 활용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송순임(2002).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가 유아의 창의력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심상교(2003). 연극놀이 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자기표현 능력신장 사례 연구. 어문학교육, 27(2), 213-241. 

  16. 이선영(2005). 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숙재(2003). 창의적 극놀이의 교육적 활용방안. 대한 어린이교육협회. 2003년 하계교사연수 자료집, 3-17. 

  18. 이용숙(2003). 교육대학원에서의 실행연구논문작성을 위한 핸드북(초안). 열린교육연구소 2003학년도 세미나, 실행연구를 통한 교육대학원(현장연구) 논문과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7월22일 서울 : 덕성여자대학교. 

  19. 임자영(2008). 연극놀이가 유아의 언어표현력, 그림표현력,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배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장옥남(2004).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감정이입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장현진(2009). 만 3세 유아 동극활동의 효과적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전재선(2001). 그림책에 기초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정유진(2009).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제인현(2002).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극놀이의 현장 사례 연구. 연극교육연구, 8(2), 185-212. 

  25. 최경.현은자(2010). 그림책에 기초한 창의극 프로그램의 개발 및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한옥순(2008). 교육연극을 통한 동화 교육 연구 : 창의성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한정혜(2000). 유아를 위한 연극놀이에서의 이야기 극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Adomat, D. S. (2010). Dramatic interpretations : performative responses od young children to picturebook read-aloud.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41(2), 207-221. 

  29. AATE (1987). A model drama/ theatre curriculum : philosophy, goals and objectives. New Orleans : Anchorage Press. 

  30. Beach, R. (1990a). The creative development of meaning : using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to interpret literature. In Bogdan, D. & Straw, S., B. (Eds.), Beyond communication. Boynton : Cook Publishers. 

  31. Bolton, G. (1979). Towards a theory of drama in education. London : Longman. 

  32. Brown, V., & Pleydell, S. (1999). The dramatic difference. Porthmouth, NH : Heinemann. 

  33. Chen, W., & Cone, T. (2002). Links between Children's Use of Critical Thinking and An Expert Teacher's Teaching in Creative Dance.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2(2), 169-185. 

  34. Cornett, C. E. (2007). Creating meaning through literature and the arts : an integrated resource for classroom teachers (3rd ed.). New York : Pearson Education, Inc. 

  35. Crumpler (2003). Becoming dragons and pirates : the posibilities of using process drama with literature to reimagine young children's writing instruction. New Advocate, 16(1), 17-27. 

  36. Csikszentmihalyi, M. (2006). 창의성의 즐거움(노혜숙 역). 서울: 더난 출판사(원전 1997년 출판). 

  37. Cullinan, B. E., & Galda, L. (2001). Cullinan and Galda's literature and the child Wadsworth. Thomson Learning. 

  38. Dunn, J. (2008). Playing around with Improvisation : An Analysis of the Text Creation Processes Used within Preadolescent Dramatic Play. Research in Drama Education, 13(1), 55-70. 

  39. Freeman, G. D., Sullivan, K. C., & Fulton, C. R. (2003). Effects of creative drama on self-concept,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6(3), 131-138. 

  40. Jalongo, M. R. (2004). Young Children and Picture Books (2nd). Washington, DC. : NAEYC. 

  41. Jewitt, Carey (2007). A multimodal perspective on textuality and contexts, Pedagogy, Culture, & Society, 15(3), 275-289. 

  42. Libman, K. (2001). What's in a Name? An Exploration of the Origins and Implications of the Terms Creative Dramatics and Creative Drama in the United States : 1950s to the Present. Youth Theatre Journal, 15(1), 23-32. 

  43. Lincolin, Y. S., & Guba, E. G. (1988). Criteria for assessing naturalistic inquiries as report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ED 297 007. 

  44. Mages, W. K. (2008). Does creative drama promote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1), 124-152. 

  45. McCaslin, N. (2006). Creative drama in the classroom and beyond (8th ed.). New York : Pearson Education, Inc. 

  46. Meador, K. S. (1998). Models of divergent behavior : Characters in children's picture books. Roeper Review, 21, A1-A5. 

  47. Morse, J. M. (1994). Desigining funded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220-235). Thousand Oark : Sage Publications. 

  48. Podlozny, A. (2000). Strengthening verbal skills through the use of classroom drama : A Clear link.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34(3-4), 239-275. 

  49. Raines, S. C., & Isbell, R. T. (1994). The Child's Connections to the Universal Power of Story. Childhood Education, 70(3), 164-67. 

  50. Strauss, A. L., & Corbin, J. (2007).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CA : Sage Publications. 

  51. Tortello, R. (2004). Tableaux vivants in the literature classroom. The Reading Teacher, 58(2), 206-208. 

  52. Wilson, G. P.(2003). Supporting young childen's thinking through tableau. Language Arts, 80(5), 375-382. 

  53. Wolcott, H. F. (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research data : Description, analysis, an interpretation. London :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