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cept Map of Kindergarten Teachers with a Special Regard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3, 2011년, pp.241 - 255  

홍민경 (고은유치원) ,  이경화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cept map of kindergarten teachers concerning their levels of contents knowledge and their overall level of competency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104 teachers from 11 kindergartens in Busan. Data were analyzed by S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념도를 작성하는데 걸린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정도가 소요되었고, 개념도를 작성한 후에 인구통계학적 현황을 묻는 질문지에 답하도록 하였다.
  •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의 내용과 수준, 즉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의 내용 및 빈도, 상위개념의 특성 및 밀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현직 유치원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유치원교사들의 개념도를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유아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관점에서본 연구는 실제 교육의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담당하고 실천해야 할 유치원교사들이 ‘다문화 교육’에 대해 어떠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개념도를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직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념도 접근 방식을 통해 다문화교육에 대해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의 내용과 수준, 즉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의 내용 및 빈도, 상위개념의 특성 및 밀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현직 유치원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된 배경은? 한국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된 배경에는 사회 구조의 선진화에 따른 3D 직종의 기피 현상과 이에 대한 산업구조 체질 개선의 지연으로 인한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와 1차 산업의 기피, 도시 집중화에 따른 농어촌의 성비 불균형 등의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농어촌의 성비 불균형으로 인한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프로젝트를 계기로 농어촌에 국제결혼이주자가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다문화교육이란? 기본적으로 다문화교육은 서로 상호 공존하는 사회 안에서 다양한 문화를 인정하고 서로 다른 문화의 신념이나 가치들에 바탕을 두어 가르치고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유아기의 다문화교육이 올바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유아의 일상생활 내에서 다문화적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Ramsey & Williams, 2003), 이를 위해서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 정립과 교육내용을 구체화 할 수 있는 능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유아기의 유아들이 편견․고정관념을 가지지 않도록 유아기부터 다문화교육은 시작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아기는 모든 활동의 기초가 만들어지는 시기이며 이 시기에 습득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은 변화되기 쉽지 않다. 아주 어린 유아들조차도 타인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인종, 민족성, 성역할, 사회계층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접하게 되며(장선희, 1997; Derman-Sparks & the ABC TF, 1989), 이후 사회화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이 속한 공동체 문화가 가정하고 있는 가치와 세상에 대한 관점, 오개념, 고정관념이 내면화 되고 특히 학교교육 과정을 통해 그것에 대하여 의문을 갖기 보다는 오히려 강화되는 경향(Banks & Banks, 2003)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자신과 다른 특성을 지닌 사람이나 상황에 대하여 편견․고정관념을 가지지 않고 ‘다양성’ 또는 ‘차이’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유아기부터 다문화교육은 시작되어야 하며, 효과적인 측면에서도 적절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지도서 10-세계 여러나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부(1999). 유아를 위한 세계 이해 교육. 서울: 교육부. 

  3. 교육인적자원부(2007). 유아를 위한 세계 이해 및 다문화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 김혜자(2009).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 실제. 건국대학교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모경환(2009).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75-99. 

  6. 박미경?이승연(2008).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개념, 실천 형태 및 실천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8(2), 5-27. 

  7. 김승권?김유경?조애저?김혜련?이혜경?설동훈?정기선?심인선(2010). 2009년 전국 다문화 가족실태조사 연구. 정책보고서 2010-06. 보건복지가족부, 법무부, 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심성경?이효숙?변길희?김은아?박유미(2008). 유아문학 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9(1), 355-371. 

  9. 안효진?전덕수(2008).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윤정아(1998).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이명희(2009).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이선미?송지연(2008).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 신념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3), 185-214. 

  13. 이성아(2005). 유치원교사의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승은?서현(2008).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들의 교육실태 및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29(4), 147-166. 

  15. 이현숙(2000). 유아교육에서의 반편견 교육의 적용. 경복논총, 4, 299-321. 

  16. 임승렬(2001). 유아교사평가의 새로운 접근. 유아교육연구, 21(1), 81-116. 

  17. 장선희(1997).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채정란(1999).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생활 주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최유경(2011).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예비유아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최현정(2011).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행정안전부(2008). 2008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서울: 행정안전부. 

  22. 헤럴드 경제(2010.5.9) '60개의 유아교육과 중 다문화 교육 고작 4곳뿐'. 

  23. Banks, J. A., & Banks, C, M. (2003).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 l Education (2nd ed.). CA:Jossey-Bass. 

  24. Baruth, L. G., & Manning, M. L. (1992). Multicultural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Needham Heights, MA:Allyn and Bacon. 

  25. Beyerbach, B. A., & Smith, J. M. (1990). Using a computerized concept mapping program to assess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about effectiv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1), 961-971. 

  26. Derman-Sparks, L., & ABC Task Force (1989). Anti-Bias Curriculum: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DC:NAEYC. 

  27. Kendall, F. E. (1996). Diversity in the Classroom:New Approaches to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nd ed.) NY:Teachers College Press. 

  28. Klein, M. D., & Chen, D. (2001). Working with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backgrounds. Albany, New York:Delmar. 

  29. Morine-Dershimer, G. (1993). Tracing conceptual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9(1), 15-26. 

  30. Novak, J. D.,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Ramsey, P. G., & Williams, L. R. (2003). Multicultural education:A source book (2nd ed.). New York:Routledge Falmer. 

  32. Robles de Melendez, W., & Osterag, V. (1997). Teaching young children multicultural classrooms:Issue, concept, and strategies. New York:Delmer Publishers. 

  33. Sleeter, C. E., & Grant, C. A. (2009). Multicultural education. In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6th ed, pp. 136-173). Columbus, OH:Merrill. 

  34. York, S. (1991). Roots and wings. St. Paul, MN:Redleaf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