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Conceptual Diagrams of Education for Happin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1, 2014년, pp.59 - 79  

황해익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미진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연구원) ,  김병만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행복 교육에 대한 가능성과 지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각 50명씩 10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교사가 작성한 개념도는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내용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총 364회로 나타났으며, 총 21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내용에서 어린이집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총 296회로 나타났으며, 총 18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의 개념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하고 전문화된 지식체계로 발전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analysis of the conceptual diagra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ducation for happiness in an effort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guidelines of this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0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행복 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및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 행복 교육 내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 기초가 되는 교사의 지식을 알아보고,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행복 교육 관련 개념들을 토대로 교사들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개념들을 파악하여 이후 교사교육의 교수-학습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며, 직전 및 현직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행복 교육에 대한 가능성과 지침을 제안하고, 행복 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중심으로 얻어진 내용을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의 발전을 위한 기대효과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행복 교육의 내용을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유아교사의 지식을 개념도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교사 50명과 어린이집 교사 50명을 연구대상으로 행복 교육 내용에 대해 작성한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의 수, 특성, 종속개념의 수 및 밀도를 알아보고, 유아교사가 작성한 상위개념의 내용을 Seligman(2011/2011)이 제시한 행복에 대한 새로운 개념인 Flourish의 내용요소에 따라 재분류하여 의미를 제시하였다.
  • 그동안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교사 집단으로 교사 양성과정과 근무 기관 등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선행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라고 총칭하여 연구를 진행해 왔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유치원 교사, 혹은 어린이집 교사 집단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황해익, 김미진, 김병만, 2012).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를 중심으로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면서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하는 행복 교육의 공통적인 개념과 특수적인 개념을 함께 고찰하여 두 집단의 교사들이 갖고 있는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과 속성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각 집단에서 인식하는 차별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각 집단에서 강조하는 영역을 분석하여 행복 교육의 실행 가능성과 이후 구체적인 프로그램 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행복 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및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 행복 교육 내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 기초가 되는 교사의 지식을 알아보고,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행복 교육 관련 개념들을 토대로 교사들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개념들을 파악하여 이후 교사교육의 교수-학습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며, 직전 및 현직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또한 행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긍정적인 정서 체험이며, 일상생활에서 일관성 있게 자주 경험하는 즐거움, 유쾌함 등이 주관적 안녕감이라는 측면에서의 행복감에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 권석만(2011)의 의견과 그 맥을 함께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정서적 지지, 즐거움, 놀이, 자유, 긍정적 태도, 또래 관계 등의 내용이 포함된 행복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 이와 같이 개념도를 사용한 연구는 대부분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지적 영역을 대상으로 진행한 것이 대다수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행복 교육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최근 교육계의 화두인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복 교육이 교사의 지식과 역량에 따라 편차가 큰 이유는? 행복은 음악, 미술, 수학, 과학 등과 같이 교사들이 익숙하게 다루어왔던 교과목이 아닐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은 초‧중등교육에 비해 수업의 내용 및 방법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크기 때문에 교육의 질이 교사의 지식과 역량에 의해 좌우되는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다(박은혜, 2013). 따라서 행복 교육이 교사들에 의해 유아교육현장에서 구체적인 교육내용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우선 행복 교육에 대해 교사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행복이란? 행복이란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만족감과 마음의 평화를 누리는 상태로 행복한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충만함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적‧심리적 기능을 경험한다(김민정, 김정원, 2010; 박숙경, 2002). 행복은 유전적 요소가 50%, 환경적 조건이 10% 정도 작용하는데, 나머지 40%는 행복한 삶을 살고자 하는 개인적 노력 여부에 따라 행복감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황해익, 2013; Hoggard, 2005/2006; Lyubomirsky, 2008/2012; Seligman, 2004/2009), 긍정적인 마음 상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는 태도는 지속가능한 행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긍정심리학은 행복 교육이 어떤 미덕을 통해 가능하다고 하였나? 긍정심리학에서는 지혜와 지식(wisdom and knowledge), 용기(courage), 인간애(humanity), 정의감(justice), 절제력(temperance), 초월성(transcendence)의 여섯 가지 미덕과 그에 따른 24가지 성격 강점을 통한 행복 교육의 가능성 제시하였다(Seligman, 2004/2009). 또한 이경민(2009)은 유아 행복 교육 가능성에 대한 탐색을 통해 유아교육의 관점에서 행복 및 행복 추구는 유아가 다양한 능력들을 교육현장에서 학습하는 것과 같이 경험과 연습을 통해 개발될 수 있는, 그리고 개발해야만 하는 주요한 역량으로 그 자체로서 충분히 가치 있는 교육목적일 수 있으며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구체적인 교육활동으로의 전개가 가능한 교육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저자. 

  2. 김경옥(1997).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사의 인지과정 연구. 교육과정연구, 15(2), 1-18. 

  3. 김민정, 김정원(2010).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2), 5-28. 

  4. 김병만, 김미진(2013. 유아교사의 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239-262. 

  5. 김정주(2001). 개념도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수행.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혜진(2003).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명희(2012). 학교 교육과정에서 행복개념의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4), 117-132. 

  8. 박상희, 이효숙(2007). 예비유아교사의 협동적 개념도 활동이 동작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50, 183-204. 

  9. 박숙경(2002). 현실요법을 적용한 행복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은혜(2013).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1. 박창현, 박찬옥(2012).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회, 16(3), 245-270. 

  12. 박현주(1993). 교사의 사고과정의 성격과 근거. 교육과정연구, 12, 188-202. 

  13. 서혜은, 손유진(2013). 보육교사와 부모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유아교육연구, 33(1), 323-344. 

  14. 성원경(2007). 실습 전.후 및 초임시기의 유치원 교사 지식구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신득렬(2000). 행복과 교육. 교육철학, 18, 191-208. 

  16. 심성경, 이효숙, 변길희, 김은아, 박유미(2008). 유아문학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9(1), 355-371. 

  17. 심성경, 이효숙, 임선옥, 박순이, 허은주, 박지애(2003). 유아음악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4(4), 71-88. 

  18. 안부금(2002). 구성주의 개념도 전략을 통한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증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2), 1-20. 

  19. 윤정아, 박은혜(1998).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교사교육, 15(2), 107-127. 

  20. 이경민(2009)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8(1), 165-181. 

  21. 이경실, 강재희(2006). 유아동작교육 내용에 대한 현직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유아체육학회지, 7, 109-127. 

  22. 이기범(2009). 한국의 교육문화와 아동.청소년의 행복. 한국청소년연구, 20(1), 365-392. 

  23. 이성아(2005). 유치원교사의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송이, 손원경(2012).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67-87. 

  25. 이정욱(1998). 유아 교사교육과 개념도의 활용. 덕성여자대학교 논문집, 6, 155-173. 

  26. 이현옥, 최상순, 김정주(2005).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교육과학연구, 36(2), 177-194. 

  27. 이호영(2006).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에 관한 개념도 분석.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효숙(2004). 협동적 개념도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4(4), 331-349. 

  29. 이효숙(2007). 예비유아교사와 경력유아교사 간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에 대한 차이 연구. 교육종합연구, 4(2), 67-78. 

  30. 이효숙(2009). 실습 전 후 예비유아교사의 동작 교육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에 대한 차이. 육아지원연구. 4(2), 141-158. 

  31. 조혜영, 황인주(2012). 5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유아교육연구, 32(5), 181-205. 

  32. 최관경(2003). 행복과 행복교육. 교육사상연구, 12, 17-49. 

  33. 최관경(2007). 교육 목적관의 비교연구: 성공과 행복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21(3), 201-235. 

  34. 홍민경, 이경화(2011).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32(3), 241-255. 

  35. 홍은숙(2012). 행복한 학교를 위한 교육적 성찰. 도덕교육연구, 24(3), 241-265. 

  36. 황해익(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57-180. 

  37.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2012).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이미지 연구. 아동학회지, 33(5), 201-219. 

  38. 황해익, 최혜진, 김병만(2012).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주의 및 학과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6), 405-435. 

  39. Ben-Shahar, T. (2007).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NY: McGraw-Hill. 

  40. Beyerbach, B. A.(1988). Developing a technical vocabulary on teacher planing: Preservice teachers' concept map.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 339-347. 

  41. Fredrickson, B.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 218-226. 

  42. Grossman, P. L. (1995). Teachers' knowledge. In L. W. Anderson(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2nd ed.). UK: Elsevier Science. 

  43. Hoggard, L. (2006). 행복. (이경아 역). 서울: 예담. (원저는 2005년). 

  44. Houle, W. (1981). Case methods in the education of teachers. Teacher Education Quarterly, 17(1), 7-15. 

  45. Lyubomirsky, S. (2012).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 (원전은 2008년에 출판). 

  46. Morine-Dershimer, G. (1991). Tracing conceptual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9(1), 15-26. 

  47. Noddings, N. (2008). 행복과 교육 (이지헌, 김선, 김희봉 역). 서울: 학이당. (원전은 2003년에 출판). 

  48. Novak, J. D.,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NY: University Press. 

  49. Ramey, S. L., & Ramey, C. T. (2000). Early childhood experience and developmental competence. In J. Waldfogel & S. Danziger (Eds.), Securing the future: Investigating in children from birth to college(pp.122-150).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50. Schwartz. B., Ward, A., Monterosso, J., Lyubomirsky, S., White, K., & Lehman, D. (2002). Maximizing versus satisfying: Happiness is a matter of cho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2), 1178-1197. 

  51. Seligman, M. E. P. (2009).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김인자 역). 경기: 도서출판 물푸레. (원전은 2004년에 출판) 

  52. Seligman, M. E. P. (2011). 플로리시: 웰빙과 행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 (우문식, 윤상운 역). 경기: 물푸레. (원전은 2011년에 출판). 

  53. Seligman, M. E. P. & Pawelski, J. O. (2003). Positive psychology: FAQs. Psychological Inquiry, 14, 159-1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