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 on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원문보기

韓國保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17 no.4, 2017년, pp.187 - 208  

민보경 (인천시 송월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이시자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Novak과 Gowin(1984)이 고안한 개념도를 사용하여 유아교사가 지닌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내용지식 및 그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유아교사와의 소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에 의해 사용되어진 유아역사교육의 상위개념의 범주는 11개로 확인되었으며, 그 가운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상위개념은 '생활양식', 그 뒤를 이어 '문화/예술', 위인'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둘째, 특정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 수의 평균을 알아본 결과, '생활양식'이 가장 많은 종속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 활동방법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가 알고 있는 유아역사교육 내용 가운데 '생활양식'에 대한 지식의 폭이 가장 넓다는 것을 의미하며, 교수-학습 방법의 지식 폭도 상대적으로 넓은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위인의 경우는 상위개념에서 빈번하게 확인되었으나 종속개념에서는 그렇지 않아, 그 지식의 폭이 좁은 것으로 확인된다. 학자들은 교사의 교과내용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높을수록 다양한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확장, 분화하여 가르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유아역사교육에 대해서도 교사의 지식이 깊고 체계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사 재교육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ed 60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he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o examine the contents and extent of the teachers'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by using the definition map designed by Novak and Gowin(1984). To be more specif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작성한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개념도를 분석하여 유아교사의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내용지식과 그 지식수준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개념도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의 내용 분석을 통해 내용지식을 알아보았으며 이를 누리과정의 내용과 비교하였다.
  • 또한 유아교사의 역사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역사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를 분석하여 그들의 지식체계와 수준을 파악하였다. 추후에는 이러한 교사의 지식과 수준이 역사교육의 효율성과 유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사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 사전적으로, 역사는 인류 사회의 발전과 관련된 의미 있는 과거 사실들에 대한 인식으로 정의된다. 또한 Carr(1961)는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상호작용의 부단한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Carr가 제시한 역사란 ? 사전적으로, 역사는 인류 사회의 발전과 관련된 의미 있는 과거 사실들에 대한 인식으로 정의된다. 또한 Carr(1961)는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상호작용의 부단한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이다.”라고 정의했다.
역사교육의 주요 개념을 학자들은 어떻게 제시했는가 ? 유아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역사교육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역사교육의 주요 개념을 바르게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Seefeldt(2005)는 역사의 주요 개념으로 시간, 변화, 인류의 지속성, 과거, 역사가의 탐구 방법을 제시하였고, Melendez, Wilma, R., Beck, Vesna, Fletcher & Melba(2000)는 시간, 사람, 공간과 장소, 사건의 변화를 들었다. 우리나라 교육인적 자원부(2005)에서는 유아역사교육의 주요개념으로 시간, 변화, 인과관계, 생활의 연속성, 리더십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 교육인적자원부(2005b). 유아를 위한 역사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권경숙, 배지희, 곽승주(2009).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315-339. 

  4. 김경낭(2011). 동화를 활용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희(2013). 확률과 통계 영역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MKT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란(1999). 유아교육 예비 교사와 현직교사의 교육신념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지영(2013).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진희(2010). '원시시대'를 주제로 한 역사경험 활동이 유아의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한종(2007). 역사수업의 원리. 서울: 책과 함께. 

  10. 김한종 외(2005),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서울: 책과 함께. 

  11. 김혜진(2003).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혜진(2005). 의미탐색을 통한 역사교육활동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남궁설(2011). 유아기 역사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실태조사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윤미(2011). 역사이야기 그림책을 통한 교육이 유아의 역사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은미, 이석순(2013). 보육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과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179-200. 

  16. 박은혜(2002).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유아교사의 지식. 서울: 창지사. 

  17. 박은혜(1996). 반성적 사고와 유아교사교육. 유아교육연구, 16(1), 175-192. 

  18. 송연숙, 황해익(2004).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지식의 변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87-105. 

  19. 심성경, 이효숙, 변길희, 김은아, 박유미(2008). 유아문학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9(1), 355-371. 

  20. 유혜자(2006). 역사교육활동이 유아의 국가 정체성 형성과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정아(1998). 유아사회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경옥(1999). 개념도를 이용한 제7차 과학과 생물영역 교육과정의 분석 및 상세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명희(2005). 유아기의 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시현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봉자(2015). 역사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유아역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0(6), 57-91. 

  25. 이성아(2006). 유치원교사의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성희, 라은미(2015). 유아기 역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0(6), 223-245. 

  27. 이연선, 류수민, 김현령(2014).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부모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8(3), 411-431. 

  28. 이영자, 유효순, 이정욱(2001). 유아사회교육. 서울: 교문사. 

  29. 이정아(2015). 건국신화에 기초한 역사교육 활동이 유아의 역사의식 발달과 전통문화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정욱(1998). 유아교사교육과 개념도 활용. 교육연구, 6, 155-173. 덕성여자대학교 고등교육연구소. 

  31. 이혜림(2008). 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장희경(2007).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정선영 외2001). 역사교육의 이해. 서울: 삼지원. 

  34. 정여진(2015). 체험중심 역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시간개념과 역사적 사고력 및 역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여진, 조은진(2016). 체험중심 역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시간개념과 역사적 사고력 및 역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1(1), 29-52. 

  36. 정지현(2010). 자기 주도적 역사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최상훈 외(2007).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서울: 책과 함께. 

  38. 최윤희(2014). 누리과정의 역사교육에 관한 교사 인식 및 실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하새봄(2013). 유아건강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개념도 분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현은순(2014). 생활사 중심의 유아역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홍민경(2010). 유아다문화교육의 내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2014).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55-79. 

  43. Barton, K. C.(2002). "Oh, that's a tricky piece!": Children, mediated action, and the tools of historical tim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3(2), 161-186. 

  44. Bruner, J. S.(1966).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5. Bruner, J. S.(1971). The relevance of education. NY: Norton. 

  46. Carr, E. H.(1998). 역사란 무엇인가. (김승일 역). 서울: 범우사.(원전은 1961에 출판) 

  47. Melendez, Wilma, R., Beck, Vesna, Fletcher, Melba.(2000). Teaching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NY: Delmar. 

  48. National Center for History in the Schools.(1994). National standards for history for grades K-4. CA: National Center for History in the Schools. 

  49. Novak, D., Gowin, D. B.(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Paul, C., Claire, C.(2012). Future teachers of the past: An analysis of initial teacher training students and their preparation to teach primary his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Historical Learning, Teaching and Research, 11(1), 40-59. 

  51. Seefeldt, C.(2005).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52. Shallcross, D. C.(2013). Using concept maps to assess learning of safety case studies: the escher train disaster.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9(5), 1281-1293. 

  53. Woodbury, s., Gess-Newsome(2002). Overcoming the Paradox of Change without Difference: A Model of Change in the Arena of Fundamental School Reform. Educational Policy. 16(5). 763-78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