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Time-Driven Activity-Based Costing)을 이용한 일 내과병동 간호단위 원가계산 및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Cost and Efficiency of a Medical Nursing Unit Using Time-Driven Activity-Based Costi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4, 2011년, pp.500 - 509  

임지영 (Department of Nursing, Inha University) ,  김미자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  박창기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ime-driven activity-based cost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nursing activity cost and efficiency of a medical uni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at a medical unit of a general hospital. Nursing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a nursing activities inventory and classified as 6 domains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전통적 활동기준원가계산에서는 총원가집계액이 개별 간호활동을 통해 소비되 어진다고 전제하기 때문에 실제 조직 운영 시 발생하게 되는 비효율의 부분이 모두 개별 간호활동의 원가 속에 포함되므로 비부가가치 활동에 대한 정보가 감추어지게 된다. 반면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 계산에서는 이러한 감추어져 있는 비효율의 부분을 계량화된 값으로 환원해 내기 때문에 관리자로 하여금 조직의 효율성 수준을 파악, 분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도시지역 일 대학부속 3차 종합병원 내과병동 간호단위를 대상으로 Kaplan과 Anderson(2004)이 제안한 시간-동인활동 기준원가계산 모델을 적용하여 간호활동원가를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전통적 활동기준원가계산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간호원가관리를 통한 간호단위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략을 구축하는 데에 유용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연구 이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전통적 활동기준 원가계산에서는 총원가집계액을 각 개별 간호활동이 얼마씩 소비 하는가를 파악하여 활동당 원가를 산출하는 것이 핵심인 반면,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에서는 활동당 원가 측정 외에 활동원가 총액과 총원가집계액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Kaplan & Anderson, 2007).
  • 본 연구에서는 일 대학부속 3차 종합병원의 내과병동 간호단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간호활동을 대상으로 시간-동인활동기준원 가계산을 시도하였다. 해당 내과병동의 특성은 총 병상 수는 48병상이며 월평균 병상가동률은 90%이다.
  •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 시도한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은 간호단위의 간호활동원가계산뿐 아니라 직접적으로 간호단위의 원가소비 측면에서의 조직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함께 제공해 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전통적 활동기준 원가계산에서는 총원가집계액을 각 개별 간호활동이 얼마씩 소비 하는가를 파악하여 활동당 원가를 산출하는 것이 핵심인 반면,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에서는 활동당 원가 측정 외에 활동원가 총액과 총원가집계액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Kaplan & Anderson, 2007).
  • 이에 본 연구는 Kaplan과 Anderson(2004)이 제안한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의 개념과 구성요인, 적용과정을 소개함으로써 실무 적합성이 높은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에 대한 간호실무자의 이해감을 증진하고, 아울러 실제 일 종합병원 내과병동 간호단위를 대상으로 전통적 활동기준원가계산을 적용한 경우와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을 적용한 경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장의 간호관리자로 하여금 간호원가관리를 통한 간호단위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략을 구축하는 데에 유용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은 어떤 방법인가? 이러한 전통적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보다 현실의 조직에 적용이 간편하면서도 원가관리에 대한 실제적 정보를 제공해 주며 동시에 조직 내 다양한 변화요인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제안된 방법이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Time-Driven Activity-Based Costing, TDABC)이다(Kaplan & Anderson, 2004). 전통적 활동기준원가계산과는 달리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은 시간과 관련된 2개의 지표 측정만으로 원가를 분석할 수 있도록 구조화 되어 있으며, 활동별 소비시간을 측정함에 있어서도 관리자 또는 실무자의 단순한 예측을 이용하거나 기존 자료를 이용하여서도 원가와 성과 간의 관련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00년대 이후 병원원가관리시스템으로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이후 병원원가관리시스템으로서 주목받기 시작한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Based Costing, ABC)은 전통적 원가계산 방식과는 달리 조직은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동은 자원을 소비하여 산출물을 생산한다는 2단계 원가계산시스템의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Hong, 2001). 따라서 전통적 원가계산 방식에서 직접노무비, 기계시간 또는 직접재료비와 같이 제품 생산량에 비례하는 소수의 요소를 배부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활동기준원가계 산에서는 이외에도 작업횟수, 구매건수, 검사건수 등과 같이 제품 생산량에 비례하지 않는 다양한 배부기준을 활용함으로써 원가계 산의 적합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추구한다(Hong).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은 기존의 활동기준원가계산에 비해 이해하기 쉽고, 적용이 간편하며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이유는? Kaplan과 Anderson (2004)이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을 제시 하게 된 이유는 활동기준원가계산이 기업이나 조직에 널리 퍼져 활성화되지 못하는 데에 의문점을 가지고 반대의 관점에서 활동기준 원가계산의 도입에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상쇄하면서도 원가관리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적 원가관리모델을 제안하고자 한 데에 있다. 따라서 시간-동인활동기준원가계산은 기존의 활동기준원가계산에 비해 이해하기 쉽고, 적용이 간편하며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ofler, R. A., & List, J. (2004). Valuation on the frontier: Calibration actual and hypothetical statements of value.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6, 213-221. doi:10.1111/j.0092-5853.2004.00573.x 

  2. Hong, C. G. (2001). The understanding of two-stage costing system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with an emphasis on activity-based costing. Korean Accounting Review, 26, 1-24. 

  3. Jang, J. B. (2004). Study on estimation of the costs incurred by ED nursing activities by applying the activity based costing.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 Kang, K. H. (1999). Analysis of nursing activities and cost of nursing service based on the ABC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5, 389-400. 

  5. Kaplan, R. S., & Anderson, S. R. (2004). Time-driven activity-based costing. Harvard Business Review, 82, 131-138. 

  6. Kaplan, R. S., & Anderson, S. R. (2007). The innovation of time-driven activity- based costing. Journal of Cost Management, 21(2), 5-15. 

  7. Kim, I. S., Kang, K. H., Lee, H. J., Kim, M. J., Kang, S. J., & Joo, Y. M. (2002). Cost analysis of nursing services in the delivery room using activity-based cos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 17-29. 

  8. Kim, J., Ham, U., & Rhieu, S. (2009). Analysis of efficiency in hospitals by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Daehan Journal of Business, 22, 1867-1889. 

  9. Kim, J. S. (2000). A study on the activity analysis method for activity based costing system: Using existing firm material in service industry. Unpublished master thesis,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10. Lee, S. D., Lee, S. H., & Seo, J. H. (2001). Hospital cost accounting. Seoul: Imagination, Publishing. 

  11. Lee, S. J. (2003). Cost analysis of home health care with activity-based costing (ABC).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Lim, J. Y. (2008). An analysis of cost and profits of a nursing unit using performance-based costing: Case of a general surgical ward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161-171. 

  13. Louie, G. H., & Ward, M. M. (2010). Sex disparities in self-reported physical functioning: True differences, reporting bias, or incomplete adjustment for confounding?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 1117-1122. doi:10.1111/j.1532-5415.2010.02858.x 

  14. MaCleod, J., Hickman, M., & Smith, G. D. (2005). Reporting bias and self-reported drug use. Addiction, 100, 562-563. 

  15. Oh, D., Lee, J., & Min, I. (2007). Analysis on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Korean regional public hospital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Using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statistical approach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13, 173-198. 

  16. Park, J. H., Sung, Y. H., Song, M. S., Cho, J. S., & Sim, W. H. (2000). The classification of standard nursing activ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1411-1426. 

  17. Storfjell, J. L., Omoike, O., & Ohlson, S. (2008). The balancing act: Patient care time versus cost.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 244-249. doi:10.1097/01.NNA.0000312771.96610.df 

  18. Yoon, J., Jung, S., Kim, J., & An, S. (2003). Cost management using activity based costing in hospitals: A study on the case study in the K hospital. Journal of Taxation and Accounting, 4, 295-327. 

  19. Yoon, K. J. (1998). A comparison of DEA and SFM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ublic departmen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2, 257-2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