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웰다잉에 관한 한국인의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Koreans about Well Dying - Q Methodological Approach -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1, 2011년, pp.87 - 96  

심형화 (부산가톨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ity of Koreans about well-dying by dividing the cognition and attitudes of Koreans about well-dying into five types and analyzing and interpreting each type. Method: Q-methodology, which is effective in scientifically measuring ind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인들이 내재화하고 있는 웰다잉 개념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확인, 분석함으로써 웰다잉에 관한 한국인들의 주관성을 파악하여, 간호대 상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상자의 욕구에 근거한 임종과 호스피스 간호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개인의 주관성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데 효용이 큰 Q 방법론을 적용하여 34개 진술문을 42명의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응답자들에게 Q-sorting을 한 결과를 PQM 프로그램으로 요인분석을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에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웰다잉’ 개념에 대한 주관성의 구조를 밝혀냄으로서 한국인의 관점에 따른 보다 깊이 있는 간호를 강조하며, 나아가 죽음에 관한 한국적 간호이론 정립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웰다잉(well-dying)' 문화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최근 사회적으로 ‘어떻게 죽는 것이 인간답게 죽는 것인가’ 라는 문제의식이 대두되면서 ‘잘 죽는 것’ 혹은 ‘품위있는 죽음’을 의미하는 ‘웰다잉(well-dying)'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善終)과 올해 초 법정스님의 유언은 우리 사회에 ’아름다운 죽음‘이라는 과제를 던졌고, 지난해의 김 할머니 존엄사 판결 또한 죽음에 대한 큰 화두가 되었다.
웰다잉과 관련된 외국의 선행연구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웰다잉은 어의상 ‘잘 죽는다’는 의미인데, 서양에서는 ‘dying well’로 표현하고, 비슷한 의미를 가진 기존의 ‘좋은 죽음 (good death)’이나 ‘존엄사(dying with dignity)’ 등으로 개념화 되어 있다(Yoo, 2008).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외국의 경우, 임종기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Debate of the Age Health and Care Study Group (1999)이 ‘열두가지의 좋은 죽음의 원리’를 제안하였으며, ‘Good Death’의 구성요소에 대해 환자와 가족 그리고 의료진 등 75명의 포커스 그룹을 4 개월간 심층 면접한 결과 ‘통증과 증상조절, 분명한 의사결정, 죽음준비, 성취, 타인에 대한 기여, 전체성으로서의 개인에 대한 긍정’ 등의 6가지 속성을 보고하였다(Steinhauser et al., 2000).
인간사회는 죽음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가? 죽음은 모든 인간에게 적용되는 보편적이며 피할 수 없는 경험이지만, 인간사회는 죽음을 생물학적, 자연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현상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므로 죽음은 시대적인 상황에 따라 그 의미를 다르게 부여하고 있고, 이러한 죽음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죽음에 대한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T. Y. (2008). Korean happiness sustain-ability index. Seoul: Book Scope. 

  2.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3. Cho, M. O. (1997). A study of meaning of death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7(3), 1-35. 

  4. Choi, J. S. (2009). On formation of the death view of Korean - from traditional view to modern view.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77 (Supplement 4), 1039-1048. 

  5. Debate of the Age Health and Care Study Group (1999). The future of health and care of older people: the best is yet to come. London: Age Concern. 

  6. Ferrel, B., & Coyle, N. (2006).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 Gu, I. H., & Reem, J. S. (2003). Philosophy of life and death: Philosophical analysis on the core questions in bioethics. Seoul: Acanet. 

  8. Gwon, B. G., & Hong, S. Y. translation (2005), Kuhl, D. R. (2002). Well-Dying. Seoul: Bada Publishing Co. 

  9. Han, N. Y., Yoon, H. J., Park, E. W., Cheong, Y. S., & Yoo, M. Y. (2002). Perception of a good death in the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6), 769-777. 

  10. Jang, H. Y., & Kang, S. G. (2000). A study of traditional ceremonies and a view of death in Korea.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uon, 10, 265-283. 

  11. Kang, K. A. (2010). Comparison of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welldy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0(2), 156-162. 

  12. Kim, I. W. (1994). A study on the cultural foundation of Korean education. Seoul: Moon-umsa. 

  13. Kim, J. S. translation (2002), Loustaunau, M. O., & Sobo, E. J. (1997). The cultural context of health, illness, and medicine. Hanul Publishing Company. 

  14. Kim, M. A., & Kim, S. W. (2003). Subjectivity toward death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9(1), 7-16. 

  15. Kim, M. H., Kwon, K. J., & Lim, Y. O. (2004). Study on 'good death' that Korean aged people recogniz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2), 195-213. 

  16. Kim, S. E. (2007). Q method & Sociology. Pusan: Goldwell Publishing Inc. 

  17. Kim, S. M., Lee, Y. J., & Kim, S. Y. (2003). Attributes considered important for a good death among elderly and adult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3(3), 95-110. 

  18. Lee, G. J., Hwang, K. H., Ra, J. R., Hong, J. A., & Park, C. S. (2006). Concept analysis of good death. The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 & Palliative care, 10, 23-37. 

  19. Lee, O. J., & Yang, N. Y. (2007). A study on the deathrelated attitude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4), 389-397. 

  20. Lee, S. M., Kang, D. K., Son, S. K., Kim, S. C., & Lee, E. S. (2005). The view of death of Korean and bioethics. Seok Dang Academic Series, 11, Pusan: Sejong Press. 

  21. Oh, J. T. (2007). The Last Present. Seoul: Sejong books. 

  22. Park, J. S. (1996). A survey for the construction of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 traditional view of human and expectation of sick ro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4), 782-798. 

  23. Proulx, K., & Jacelon, C. (2004). Dying with dignity: The good patient versus the good death.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21, 116-120. 

  24. Steinhauser, K. E., Clipp, E. C., Mcneilly, M., Christakis, N. A., McIntyre, L. M., & Tulsky, J. A. (2000). In search of a good death: Observations of patients, families, and provider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2(10), 825-832. 

  25. Stephenson, W. (1982). Q-methodology, interbehavioral psychology and quantum theory. The Psychological Record, 3, 238-248. 

  26. Vig, E. K., Navenport, N. A., & Pearlman, R. A. (2002). Good deaths, bad deaths, and preferences for the end of life: A qualitative study of geriatric out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0(9), 1541-1548. 

  27. Weekly Newsmagazine (2009, June). Well-Dying. Retrieved June 2, 2009, from Sisapress Web site: http://www.Sisapress.com 

  28. Yi, G. H. (2009). Death acceptance and religion in the case of Koreans. Survey Research, 10(3), 131-156. 

  29. Yoo, K. J. (2008). Conditions and direction of well-dying from the viewpoint standing on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of Koreans. The Society of Eastern Philosophy, 55, 7-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