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웰다잉에 관한 인식과 태도 - Q 방법론적 접근 -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Attitude on Well-Dy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Q methodological approach-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2, 2012년, pp.233 - 243  

심형화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about well-dying. Method: Q-methodology, which is effective in scientifically measuring individual subjectivity, was used. The result of the Q-short of the 34 Q-statements by 42 participants was analyz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내재화하고 있는 웰다잉 개념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Q 방법론을 통해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확인,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을 위한 웰다잉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이 나타낸 웰다잉에 관한 인식과 태도는 4유형으로 분류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에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웰다잉’ 개념에 대한 대학생들의 주관성의 구조를 밝혀냄으로서 그들의 관점에 따른 보다 깊이 있는 간호를 강조하며, 나아가 죽음교육을 위한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기초자료의 일익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웰다잉은 어떤 의미인가? 최근 들어 우리사회에서도 죽음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웰다잉을 바라보는 시선도 다양해지고 있다. 웰다잉은 어의상 ‘잘 죽는다’는 의미인데, 서양에서는 ‘dying well’로 표현하고, 비슷한 의미를 가진 기존의 ’좋은 죽음(good death)'이나 ‘존엄사(dying with dignity)' 등으로 개념화되어 있다(Yoo, 2008).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로는 외국의 경우, 임종기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Debate of the Age Health and Care Study Group (1999)이 ‘열두가지의 좋은 죽음의 원리’를 제안하였고, ‘Good Death'의 구성요소를 ‘통증과 증상조절, 분명한 의사결정, 죽음준비, 성취, 타인에 대한 기여, 전체성으로서의 개인에 대한 긍정’ 등의 6가지 속성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Steinhauser et al.
자살은 10대부터 30대까지 사망원인 중, 몇 위를 차지하는가? 2명의 세배에 가깝다(Statistics Korea, 2010). 더욱이 자살은 10대부터 30대까지 사망원인 중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성이 크며, 2011년 상반기에는 카이스트 대학생 네 명이 자살한 사건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베르테르 효과에 대한 논의를 불러 일으키기도 하였다(Lee & Choi, 2011).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게 하고 삶을 바르고 성실하게 이끌어주는 죽음준비교육이,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이유는? 이렇듯 현대의 청소년들은 과거에 비해 더 많은 죽음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가족이나 애완동물의 죽음을 통해 겪게 되는 직접적인 경험은 물론 텔레비전, 영화, 게임, 만화,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해 겪게 되는 간접적인 경험의 홍수속에 살아간다. 영상 매체나 각종 게임을 통한 간접적이고 비인간화된 죽음은 그들에게 죽음에 대한 문제를 진지하게 내면화하는 기회를 주기보다 생명경시 현상이나 폭력성을 배가 시킬 수 있다(Kim, 2010). 따라서, 충동성이 강한 그들에게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게 하고 삶을 바르고 성실하게 이끌어주는 죽음준비교육은 다른 어느 세대보다 더욱 절실하게요청된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k, H. M. (2007). The trends and patterns on suicide in Korea. Korean Institute of Crimino logy, Research Project, 1, 13-188. 

  2. Becker, C. (2004). Death education and religion in schools and modern society.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19, 3-22. 

  3.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4. Choi, M. K., & Seo, J. M. (2011). Attitudes of adolescents toward suicide: Q-methodology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539-549. 

  5. Debate of the Age Health and Care Study Group. (1999). The future of health and care of older people: The best is yet to come. London: Age Concern. 

  6. Ha, J. H., & An, S. H. (2008). The verification of a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suicidal ideation to stress, coping styles,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impulsivit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 1149-1171. 

  7. Han, N. Y., Yoon, H. J., Park, E. W., Cheong, Y. S., & Yoo, S. M.(2002). Perception of a good death in the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 769-777. 

  8. Jang, H. Y., & Kang, S. G. (2000). A study of traditional ceremonies and a view of death in Korea.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10, 265-283. 

  9. Jo, K. H. (2010). The meaning of dignified dying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 72-82. 

  10. Jung, H. O., Chung, K. T., Hwang, W. D., Kim, Y. S., An, J. H., & Kim, D. H., et al. (2010).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orientation and attitudes on hospice -To develop homo humanitas thanatology-.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22, 153-168. 

  11. Kang, K. A. (2010). Comparison of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well-dy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0, 156-162. 

  12. Kim, D. H. (2010). Death edu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texts.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Education, 46, 1-30. 

  13. Kim, I. W. (1994). A study on the cultural foundation of Korean education. Seoul: Moon-umsa. 

  14. Kim, J. H., & Min, K. H. (2005). The influence of gender and personality on fear of death and death acceptance among young adul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4(2), 11-36. 

  15. Kim, M. A., & Kim, S. W. (2003). Subjectivity toward death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9, 7-16. 

  16. Kim, M. H., Kwon, K. J., & Lim, Y. O. (2004). Study on 'good death' that Korean aged people recogniz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 195-213. 

  17. Kim, S. E. (2007). Q method & sociology. Busan: Goldwell Publishing Inc. 

  18. Kim, S. M., Lee, Y. J., & Kim, S. Y. (2003). Attributes considered important for a good death among elderly and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3(3), 95-110. 

  19. Lee, J. K., & Choi, M. E.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uicide coverage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college student's intention for suicide: With a focus on suicide coverage of public figures and college students, stress, impulsivity, self-esteem,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s. Broadcasting & Communication, 12(4), 147-187. 

  20. Lee, O. J., & Yang, N. Y. (2007). A study on the death-related attitude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 389-397. 

  21. Lee, S. M., Kang, D. K., Son, S. K., Kim, S. C., & Lee, E. S. (2005). The view of death of Korean and bioethics., Busan: Sejong Press. 

  22. Moon, S. Y. (2009). A study on bio-ethics in universit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10(2), 13-24. 

  23. Oh, C. T., & Kim, C. G. (2009).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1), 51-69. 

  24. Pan, S. H. (2007). Suicide in the korean young adulthood: Special features and dialectical behavioral treatment's intervention. University and Christian Mission, 13, 235-258. 

  25. Park, J. E. (2009).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the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of the elderly.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8, 79-109. 

  26. Statistics Korea. (2010). 2009 Death origin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9, 2010,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bSeq&aSeq179505&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7. Steinhauser, K. E., Clipp, E. C., McNeilly, M., Christakis, N. A., Mclntyre, L. M., & Tulsky, J. A. (2000). In search of a good death: Observations of patients, families, and provider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2, 825-832. 

  28. Hankookilbo. (2010, March). Needs for beautiful death. Retrieved March 22, 2010, from Hankookilbo http://www.Hankooki.com 

  29. Yi, G. H. (2009). Death acceptance and religion in the case of Koreans. Survey Research 10(3), 131-156. 

  30. Yoo, K. J. (2008). Conditions and direction of well-dying from the viewpoint standing on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of Koreans. The Society of Eastern Philosophy, 55, 7-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