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Study of Subjective View on the Meaning of Well-dying Held by Medical Practitioners and Nursing Students: Based on Q-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1, 2014년, pp.10 - 17  

김선영 (신경대학교 간호학과) ,  허성순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  김분한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와 주관성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간호학과 학생 8명, 호스피스전문병원 임상간호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102개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이후 Q-방법론의 전문가인 간호학과 교수 1명과 간호학과 박사과정 중인 2명의 의견 교환 및 재조정을 통하여 총 33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4년제 간호학과 학생 11명과 경기도 일개 3차 종합병원의 간호사 9명과 의사 2명을 대상으로 총 22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P-표본은 선정된 33개의 진술문을 강제 정상분포가 되도록 7점 척도 상에 분류하도록 하였고, 양극단에 분류한 진술문과 관련하여 추가 진술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QUANL Program으로 요인 분석하였다. 결과: 분류된 의료인의 웰다잉 의미 유형은 모두 3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들 유형에 의해 설명된 전체 변량은 57.97%였다. 제1형은 '현실중시형'으로 부담 없이 아름다운 모습으로 임종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제2형은 '관계중시형'으로 죽기 전 자선을 베풀고 주변인들과 화해와 용서의 시간을 갖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제3형은 '자연순응형'으로 살만큼 살다 가족의 간호를 받으며 임종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결론: 웰다잉에 관한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주관성은 임종을 맞이하는 환자간호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의료인과 간호학생은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통찰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웰다잉에 대한 주관성 유형별 특징에 맞는 죽음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well-dying and types of such views held by medical practitioners and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Q-methodology was used to analyze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The P-sample was made up of 22 medical practitioners or 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본 연구는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와 주관성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웰다잉’ 개념에 대한 주관성의 구조를 밝혀냄으로써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인식하는 웰다잉에 대한 태도를 유형화 하고, 웰다잉 주관성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 기술하여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죽음교육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Q 방법론은 어떤식으로 진행되는가? 목적: 본 연구는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와 주관성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간호학과 학생 8명, 호스피스전문병원 임상간호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102개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이후 Q-방법론의 전문가인 간호학과 교수 1명과 간호학과 박사과정 중인 2명의 의견 교환 및 재조정을 통하여 총 33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4년제 간호학과 학생 11명과 경기도 일개 3차 종합병원의 간호사 9명과 의사 2명을 대상으로 총 22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P-표본은 선정된 33개의 진술문을 강제 정상분포가 되도록 7점 척도 상에 분류하도록 하였고, 양극단에 분류한 진술문과 관련하여 추가 진술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QUANL Program으로 요인 분석하였다.
Q 방법론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목적: 본 연구는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와 주관성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간호학과 학생 8명, 호스피스전문병원 임상간호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102개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이후 Q-방법론의 전문가인 간호학과 교수 1명과 간호학과 박사과정 중인 2명의 의견 교환 및 재조정을 통하여 총 33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임종장소가 가정에서 의료시설로 변화됨은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 임종장소가 가정에서 의료시설로 변화됨에 따라 의료인은 더 자주 임종과정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죽음에 대한 이들의 태도, 인식, 가치는 임종환자와 가족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8,9). 따라서 의료인의 긍정적인 죽음관 형성을 위해서는 간호교육과정에서부터 이를 반영하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Lee GJ, Hwang KH, Ra JR, Hong JA, Park CS. Concept analysis of good death. J Res Inst Hosp Palliat Care 2006;10:23-39. 

  2. Shim HW.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Koreans about well ddying-Q methodological approach.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1;18:87-96. 

  3. Hong MS. A study on attitude of nurses toward euthanasia.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00;14:446-63. 

  4. Oh JT. The last present. Seoul:Sejong Books;2007. 

  5. Han NY, Yoon HJ, Park EW, Cheong YS, Yoo SM. Perception of a good death in the elderly. J Korean Acad Fam Med 2002;23:769-77. 

  6. Kim MH, Kwon KJ, Lim YO. Study on 'good death' that Korean aged people recognize. Korean J Soc Welf 2004;56:195-213. 

  7. Choi Jk. A study on the effects of elderly people's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ies and social support upon uneasiness about death [dissertation]. Cheongju: Cheongju Univ.; 2005. Korean. 

  8. Braun M, Gordon D, Uziely B. Associations between oncology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Oncol Nurs Forum 2010;37:E43-9. 

  9. Kim SH, Kim DH. Nursing students' attitude to death, deathrelated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1;17:405-13. 

  10. Kim JH, Kang YW, Ryu K, Rie JI. Predictors of ego-integrity in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among the elders. Korean J Soc Per Psychol 2009;23:115-30. 

  11. Park HK.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attitudes of the aged toward death : analysis on the attitudes toward the services of death education, social supports and ego integrity [dissertation]. Yongin: Kangnam Univ.; 2009. Korean. 

  12. Jeon SY. A study on the attifude of the people toward euthanasia. Journal of KSSSS 2009;18:125-38. 

  13. Takezako Y, Tamiya N, Kajii E. The nursing home versus the hospital as the place of dying for nursing home residents in Japan. Health Policy 2007;81:280-8. 

  14. Kim MA, Im SH. Subjectivity toward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Keimyung J Nurs Sci 2002;6:43-54. 

  15. Jung SY, Lee EK, Kim BH, Park JH, Han MK, Kim IK. Attitude toward death in nur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1;17:168-77. 

  16. Kim BH, Kim JK. A Q study for meaning of cancer and hospice. Journal of KSSSS 2002;7:52-69. 

  17. Grosswiler P. Subjectivity or the death of the subject : Q theory Vs. postmodern theory. J Human Subjectivity. 2005;3:39-58. 

  18. Yeun EJ. Subjectivity toward death among health care personnel - a Q-methodology. J Korean Acad Adult Nurs 1999;11:205-14. 

  19. Jung EJ, Byun SH. Impact of education for welldying on workers related to senior welfare. JKCA 2012;12:215-22. 

  20. Oh CT, Kim CG.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J Korean Gerontol Soc 2009;29:51-69. 

  21. Jung JG. A study on death education program for old people. J East Asian Soc Thoughts 2007;16:197-236. 

  22. Nuland SB. How we die: reflections of life's final chapter. New York:A.A. Knopt : Distributed by Random House, Inc.;1994. 

  23. Kim MS.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s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n happiness and good death. J Humanit Stud 2012;86:307-52. 

  24. Jeong HS. Recognition towards good death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an area [dissertation]. Busan: Catholic Univ. of Pusan; 2010. Korean. 

  25. Shim HW.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attitude on well-dying in undergraduate students-Q methodological approach.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2;19:233-43. 

  26. Jo KH. The meaning of dignified dying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0;16:72-82. 

  27. Kim SH, Kim DH. Nursing students' attitude to death, death-related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1;17:405-13. 

  28. Lee SM, Kim S. A study of Korean's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life & death. J Korean Bioethcis Assoc 2012;13: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