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의 체중변화와 섭취량과 배설량 균형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take and Output Balance and Body Weight Change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2, 2011년, pp.168 - 176  

김화순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영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지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진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추상순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보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intake and output balance and body weight changes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differenc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ere 65 medical surgical ICU pati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적절한 수액요법을 통해 중환자들의 체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매일 측정하는 I&O 균형이 대상자들의 체내 체액 균형 상태에 대한 지표로 고려되는 체중에 대해 얼마나 정확하고 유용한 근사치인지 그리고 두 값의 차이에 관련요인 및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중환자들의 체중변화와 중환자실에서 정규적으로 측정하고 있는 I&O 균형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 그 차이는 어느 정도이며 그 차이에 대한 관련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65명의 내·외과 중환자를 대상으로 환자기록지 검토를 통해 수집한 체중과 I&O 자료를 분석한 후향적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I&O 균형 상태와 체중변화의 일치 정도와 두 변수 사이의 관계 및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들에서 I&O 균형과 체중변화의 차이 및 관계를 확인하고, 두 변수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중환자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을 통해 체중과 I&O의 동시 측정이 중환자 모두에게 필수적인 활동인지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경우 체액균형이 깨질경우 무엇을 초래하는가? 연구의 필요성 인체 내 체액 균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수분균형에 대한 사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경우 이러한 체액균형이 깨질 경우 울혈성 심부전이나 폐부종, 섬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여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Kim, 2011; Suhayda & Walton, 2002; Welch, 2010). 이러한 체액 균형 상태를 사정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중환자들의 체중변화와 중환자실에서 정규적으로 측정하고 있는 I&O 균형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들에서 평균적인 체중변화 값과 I&O 값은 매우 근사한 차이를 보여 임상에서 체중 측정이 어려운 경우 체중의 추정치로서 I&O를 측정하는 것이 체액 균형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각 대상자들에서 체중을 기준으로 할 때 I&O의 과소추정 정도나 과다추정 정도가 크게 나타나 I&O 균형 만으로 대상자들의 체내 체액 균형 평가를 모든 환자들에게 보편적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상당한 신중함이 요구된다.
인체 내 체액 균형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의 필요성 인체 내 체액 균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수분균형에 대한 사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경우 이러한 체액균형이 깨질 경우 울혈성 심부전이나 폐부종, 섬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여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Kim, 2011; Suhayda & Walton, 2002; Welch,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ung, L.H., Chong, S., & French, P. (2002). The efficiency of fluid balance charting: An evidence-based management projec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0, 103-113. 

  2. Daffurn, K., Hillman, K., Bauman, A., Lum, M., Crispin, C., & Ince, L. (1994). Fluid balance charts: do they measure up?. British Journal of Nursing, 3(16), 816-820. 

  3. Eastwood, G. (2006).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recorded fluid balance to approximate body weight change in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Heart & Lung, 35(1), 27-33. 

  4. Gil, C., & Mendoza, D. (2003). Accumulated fluid balance in patients admitted to the ICU: Is it really reliable?. Enfermeria Intensiva, 14(4), 148-155. 

  5. Gross, C. R., Lindquist, R. D., Woolley, A. C., Granieri, R., Allard, K., & Webster, B. (1992). Clinical indicators of dehydration severity in elderly patients.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0(3), 267-274. 

  6. Guyton, A., & Hall, J. (2000).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0th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Co. 

  7. Hoff, R. G., Dijk, G. W., Algra, A., Kalkman, G. J., & Rinkel, G. J. (2008). Fluid balance and blood volume measurement after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Neurocirtical Care, 8(3), 391-397. 

  8. Kim, S. (2011).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volume status: A practical view. The Korean Journal Internal Medicine, 80(10), 1-7. 

  9. Meguid, M. M., Lukaski, H. C., Tripp, M. D., Rosenburg, J. M., & Parker, F. B. (1992). Rapid bedside method to assess changes in postoperative fluid status with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Surgery, 112(3), 502-508. 

  10. Meiner, S. E. (2002). Fluid balance documentation: A case study of daily weight and intake/output omissions. Geriatric Nursing, 23(1), 46-47. 

  11. Popowski, L., Oppliger, R., & Lambert, G. (2001). Blood and urinary measures of hydration status during progressive acute dehydra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3(5), 747-753. 

  12. Randerath, W. J., Meier, J., Genger, H., Domanski, U., & Ruhle, K. H. (2002). Efficiency of cold passover and heated humidification under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1), 183-186. 

  13. Roos, A., Westendorp, R., Frolich, M., & Meinders, A. (1993). Weight chang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evaluated by fluid balances and impedance measurements. Critical Care Medicine, 21(6), 871-877. 

  14. Shirreffs, S. M. (2003). Markers of hydration statu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7(Suppl 2), 56-59. 

  15. Suhayda, R., & Walton, J. (2002). Preventing and managing dehydration. MEDSURG Nursing, 11(6), 267-279. 

  16. Sund-Levander, M., Forsberg, C., & Wahren, L. (2002). Normal oral, rectal, tympanic and axillary body temperature in adult men and wome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 16, 122-128. 

  17. Tang, V. & Lee E. (2910). Fluid balance chart: Do we understand it?. Clinical Risk, 16, 10-13. 

  18. Welch, K. (2010). Fluid balance. Learning Disability Practice. 13(6), 33-38. 

  19. Wise, L., Mersch, J., Racioppi, J., Crosier, J., & Thompson, C. (2000). Evaluating the reliability and utility of cumulative intake and output.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14(3), 37-42. 

  20. Yamaguchi, H., Yamauchi, H., Hazama, S., & Hamamoto, H. (2000). Evaluation of body fluid status after cardiac surgery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The Journal of Cardiovascular Surgery, 41(4), 559-566. 

  21. Yang, Y. H., Choi, S., Kim, E. K., & Sung, I. S. (1996). A study of the fluid balance of the patients on soft die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6(3), 688-6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