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액세균 Myxococcus sp. KYC 1126을 이용한 고추 역병 생물학적 방제 효능
Biocontrol Activity of Myxococcus sp. KYC 1126 against Phytophthora Blight on Hot Pepper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7 no.2, 2011년, pp.121 - 128  

김성택 (선문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윤성철 (선문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점액세균은 토양에서 식물 병원균의 활성을 억제하는 2차 대사산물들을 분비하는데, 이들은 기존의 길항균들의 항생물질과는 전혀 다른 생리활성물질이므로 생물방제에 활용이 기대되는 미생물이다. 고추 역병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토양 미생물인 점액세균의 길항능력을 기내에서 검정한 후, 자실체 및 액체배양 여액을 엽권과 근권에 처리하여 온실에서 생물 검정하였다. 점액세균 생리활성 물질이 남아있는 PDCY 배지에 역병균을 접종한 결과 점액 세균 Myxococcus spp. 세 균주 중 KYC 1126과 KYC 1136은 균사생장을 완벽히 저해하였다. 토양 내 점액세균 생리활성물질 분비를 극대화하기 위해 기내에서 다량의 자실체 형성을 위해 먹이인 E. coli를 먼저 배양 후 점액세균 KYC 1126을 치상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이 방법으로 토양에 자실체를 먼저 투입하고 역병을 관주접종한 결과 방제 효과가 없었다. 한편 시험관에서 역병균 유주포자 현탁액과 점액세균 CYE 액체배양여액을 혼합한 후 고추 뿌리에 침지 접종한 결과 역병 발병을 지연시켜 배양여액의 길항능력을 확인하였다. 점액세균 배양여액을 엽권에 살포하거나 근권에 침지한 방제가는 각각 88%와 40%로서 dimethomorph+propineb의 100%와 propamocarb의 44%에 버금가는 결과였다. 배양여액을 기존 처리의 약 2배인 24시간 이상 뿌리에 침지하면 약해가 발생하였는데, 그 증상은 고추 묘에서 줄기가 잘록해지고 잎이 말려 들어가며 점액성의 물질이 뿌리를 덮어 썩는 것이었다. 선발된 점액세균 KYC 1126의 대량 생산 방안이 확보되면, 배양여액을 엽권에 예방적으로 정기 살포함으로써 고추 역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teriolytic myxobacteria have been known to secrete various antifungal metabolites against several soilborne phytopathogens including Phytophthora. Among the three isolates of Myxococcus spp., KYC 1126 and KYC 1136 perfectly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hytophtora capsici in vitro. In orde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점액세균 배양추출물로 식물병의 길항능력을 검정했던 기존 보고(김 등, 1998)보다 좀 더 실용적인 점액세균 처리방법으로 점액세균의 길항력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미생물 농약으로서 점액세균의 실용화 방안을 찾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점액세균의 생리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인 식물병 방제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기존 길항미생물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생리활성 항진균 물질을 분비하는 점액세균을 생물적 방제에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액체배양 여액의 대량확보를 통한 지속적인 예방 살포를 포장에서 검증하는 실험이 향후에 필요하다.
  • 토양을 배제하고 역병균과 점액세균을 직접 접촉시킨 혼합물을 고추뿌리를 침지한 결과 점액세균 액체배양여액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이 역병균에 길항력을 보이는 것은 확실하다. 본 연구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점액세균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 방안은 엽권에 배양여액을 직접 살포하는 것이었다. 특히 다른 연구에서처럼 점액세균의 항생물질을 추출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생균의 액체배양여액을 사용함으로써 항균활성물질을 다량 확보할 수 있었고 이를 온실의 고추묘에서 엽권과 근권에서 각각 5회 및 4회 반복 실험이 가능하였다.
  • 균주들 중 생리활성물질 분비를 극대화하는 길항 점액세균의 생물방제 처리 방안을 찾기 위해 1) 자실체 생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자실체를 직접 고추묘 뿌리에 투입하거나, 2) 점액세균 액체 배양여액을 고추 근권 및 엽권에 처리하여 생물학적 방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는 점액세균 배양추출물로 식물병의 길항능력을 검정했던 기존 보고(김 등, 1998)보다 좀 더 실용적인 점액세균 처리방법으로 점액세균의 길항력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미생물 농약으로서 점액세균의 실용화 방안을 찾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병이란? 역병은 토양에서 월동하면서 장기간 생존하는(이 등, 2005) 토양 전염병으로 연작 재배시 토양 내 염류가 집적되면서 병원균 밀도가 증가하여 피해가 점차 심각해진다. 가장 효과적인 방제 방안인 화학 농약 사용은 발병이 심할수록 사용량이 증대되어 저항성 균이 출현하므로 역병 방제에 다른 대안이 필요하다(Hwang과 Kim, 1995).
점액세균이란? 단세포 토착 미생물인 점액세균은 토양, 나무껍질, 썩은 식물체 등에 존재하는 그람 음성 활주 세균으로서 단세포임에도 독특한 군집 생활을 하며, 영양분이 고갈되거나 환경 조건이 불리해지면 다세포인 버섯 모양의 자실체를 형성한다. 형성된 자실체 내부에는 점액포자가 생성되며 이 과정에서 분비하는 2차 대사물질은 주위 미생물을 포획하거나 생거대분자를 분해한다(김 등, 2003; Shimkets 등, 1990).
길항제제로서 점액세균 활용이 보편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연구 시 어떤 까다로움이 있기 때문인가? 또한 점액세균 분비 물질인 myxothiazole이 토마토 역병을 98% 방제한다고 보고하였다(김 등, 1998). 하지만 점액세균은 배양 조건이 까다롭고, 생육 속도가 느리며, 액체 배양 시 세포가 배양 용기 내부 표면에 붙어 응집하려는 성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특성이 균주 조작이나 생장 측정을 정량화하기 어렵게 만들고, 독립된 세포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돌연변이 균주나 형질전환 균주 선별이 곤란하다(이 등, 2003; 조, 2001). 이러한 까다로움으로 인해 길항제제로서 점액세균 활용이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병섭, 안종웅, 조광연. 1998. 점액세균 KR025의 분리 동정 및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Kor. J. Plant Pathol. 14: 345-349. 

  2. 김용석, 배우철, 백성진. 2003. Myxobacteria의 생리활성 물질.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31: 1-12. 

  3. 농업과학기술원. 2001. 한국의 식물역병. 정부간행물등록번호: 1111-1390093-000063-01. 

  4. 윤경현, 이은탁, 김상달. 2001.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의 생육을 저해하는 Chryseomonas luteola 5042의 선발과 항균성 길항작용.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9: 186-193. 

  5. 이봉수, 이차율, 조경연. 2003. 분산 돌연변이 점액세균의 분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31: 342-347. 

  6. 이용세, 장태현, 류연주, 박정용, 임태헌. 2005. 온실에서 길항미 생물 Trichoderma hazianum DYMC 처리에 의한 고추 역병 억제 효과. 한국환경농학회지 24: 409-415. 

  7. 정진우, 이차율, 윤성철, 조경연. 2008. 고추탄저균 성장 억제 점액세균의 탐색.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36: 21-27. 

  8. 정희경, 김상달. 2003.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를 방제 하는 길항균주 Bacillus megaterium KL39의 선발과 길항물질.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31: 235-241. 

  9. 조경연. 2001. Myxobacteria의 군집생활, 자실체형성 및 생리활 성물질의 생산. 생물산업 14: 11-16. 

  10. 지형진, 조원대, 최용철. 1998. 국내산 야채쥬스의 역병균 영양 생장 및 생식생장용 배양기 이용.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4: 299-302. 

  11. Bull, C. T., Shetty, K. G. and Subbarao, K. V. 2002. Interactions between myxobacteria, plant pathogenic fungi, and biocontrol agents. Plant Dis. 86: 889-896. 

  12. Gerth, K. and Mller, R. 2005. Moderately thermophilic Myxobacteria: novel potential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product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Environ. Microbiol. 7: 874-880. 

  13. Hwang, B. K. and Kim, C. H. 1995.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and its control in Korea. Plant Dis. 79: 221-227. 

  14. Kim, H. S., Sang, M. K., Myung, I. S., Chun, S. C. and Kim, K. D. 2009.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uciferensis strian KJ2C12 from pepper root, a biocontrol agent of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Kor. J. Plant Pathol. 25: 62-69. 

  15. Lim, T. H. 2005. Antifungal activity of Streptomyces griseofuscus 200401 against pathogens causing late blight and anthracnose on pepper. Pestic. Sci. 9: 102-107. 

  16. Pal, K. K. and Gardener, B. M. 2006. Biological control of plant pathogens. The plant health instructor DOI:10.1094/PHI-A- 2006-117-02. 

  17. Porter, N. and Fox, F. M. 1993. Diversity of microbial products discovery and application. Pestic. Sci. 39: 161-168. 

  18. Shimkets, L. J. 1990. Social and developmental biology of the myxobacteria. Microbiol. Mol. Biol. Rev. 54: 473-501. 

  19. Shi, W., Khler, T. and Zusman, D. R. 1994. Motility and chemotaxis in Myxococcus xanthus. Mehods Mol. Genet. 3: 258-269. 

  20. Song, J. Y., Yoo, S. J. and Kim, H. G. 2002. Distribution and alteration of mating type of Phytophthora capsici population from red pepper in Korea. Kor. J. Mycol. 30: 152-156. 

  21. Wireman, J. W. and Dworkin, M. 1977. Developmentally induced autolysis during fruiting body formation by Myxococcus xathus. J. Bacteriol. 129: 798-8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