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화학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according to Germination Peri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9, 2011년, pp.1265 - 1270  

김현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부) ,  김태명 (충북대학교 수의학과) ,  박동식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부) ,  김재현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부) ,  김대중 (충북대학교 수의학과) ,  이연리 (대전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벼의 적당한 발아기간을 선정하기 위하여 발아기간에 따른 다양한 성분변화를 살펴보았다. 조단백질은 발아 0일차의 71.67 mg/g에서 발아 8일차에는 85.20 mg/g으로, 조지방은 2.19%에서 3.58%로 발아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p<0.05) 조회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hytic acid는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서 6.25 mg/g(0일차)에서 1.54 mg/g(8일차)으로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p<0.05), 유리지방산은 0.17%에서 0.32%로 증가하였다. 발아 벼의 지방산은 oleic acid(C18:1)가 가장 많았으며, 발아기간의 증가에 따라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05). 비타민 E와 ${\gamma}$-oryzanol은 발아 0일차에 각각 2.94 mg/100g 및 6.47 mg/g에서 발아 4일차에 5.55 mg/100 g 및 8.16 mg/g으로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능성성분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3~4일 간의 발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valuated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according to germination period. Rough rice was germinated at $37^{\circ}C$ for 8 days. Crude protein content increased from 71.67 mg/g in raw rough rice to 85.20 mg/g after 8 days of germination. Crude lip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종자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아처리 공정이 적용되고 있으며, 벼의 경우 현미와 전곡에 대한 발아 시 성분 변화와 생리활성 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적당한 발아기간의 선정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아전곡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발아정도 및 발아기간에 따른 다양한 성분변화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벼의 적당한 발아기간을 선정하기 위하여 발아기간에 따른 다양한 성분변화를 살펴보았다. 조단백질은 발아 0일차의 7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의 발아기간에 따른 일반성분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조지방은 어떠한 경향을 보였는가? 05). 조지방 함량은 발아 0, 2, 4, 6 및 8일에 각각 2.19, 2.39, 2.57, 2.85 및 3.58%로 발아가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5).
곡물의 배유 부분에는 무엇이 저장되어 있는가? 종자의 발아는 씨눈과 배젖에 있는 비활성상태의 DNA 유전정보와 각종 효소, 영양소 등이 외적 환경 여건이 좋아지면 활성화 되어 식물로서의 생명을 시작하는 것으로 발아 시 각종 영양소가 갖추어지게 된다 (2). 곡물의 배유 부분에는 전분이 저장되어 있고 외피 부분에는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과 flavonoid, cyanidin, phytic acid 및 ferulic acid 등 다양한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또한, 미강 부분은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항산화 효과 및 혈압상승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5).
벼의 발아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무엇에 대하여 진행되어 왔는가? 종자를 발아시키면 발아 전에는 적거나 없던 물질이 증가하거나 새롭게 생성되어 다양한 성분의 변화가 발생하며, 생리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벼의 발아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현미에 대하여 진행되어 왔으며 현미의 발아 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 변화(7), 항돌연변이 작용(8), 생리활성(9), 발아음료(10) 및 제빵의 품질특성(11) 등과 같이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메밀(12), 들깨(13), 대두 (14) 및 유채(15) 등의 종자에 대한 발아기간별 성분변화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으나 벼 자체를 발아시킨 연구는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항암활성에 대한 연구(16,17)와 발아 맥류의 화학성분 변화(18)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o SC, Kim BK, Lee KS, Choi WY, Choi HR, Cho EA, Yun SJ. 2005. Varietal difference in enzyme activities during preharvest germination of rice. Korean J Crop Sci 50: 378-383. 

  2. Bartnick M, Szafranska J. 1987. Charge in phastase content and phytase during the germination of some cereals. J Cereal Sci 5: 23-28. 

  3. Ramarathnam N, Osawa T, Namiki M, Tashiro T. 1986. Stud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tive activity of rice hull and germination ability of rice seeds. J Sci Food Agric 37: 719-726. 

  4. Saunder RM. 1990. The properties of rice bran as a food stuff. CFW 35: 632-636. 

  5. Andreason MF, Christensen LP, Meyer AS, Hansen A. 2000. Release of hydrodynamic and hydrobenzoic acid in rye by commercial plant cell degrading enzyme preparation. J Sci Food Agric 79: 411-413. 

  6. Lee YR, Kim JY, Woo KS, Hwang IG, Kim KH, Kim KJ, Kim JH, Jeong HS. 2007.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od Sci Biotechnol 16: 1006-1010. 

  7. Kang BR, Park MJ, Lee HS. 2006.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89-394. 

  8. Chun HS, Kim IH, Kim HJ. 1995. Effect of brown rice extract on mitomycin C-induced chromosome aberration in cultured CHL cells. J Korean Food Sci Technol 27: 1003-1007. 

  9. Choi SW, Nam SH, Choi HC.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rice brans. Food Sci Botechnol 5: 305-309. 

  10. Kim SS, Lee WJ. 1997.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sikhe production. J Korean Food Sci Technol 29: 101-106. 

  11. Choi JH.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prouted brown rice flour. J Korean Soc Food Cookery Sci 17: 323-327. 

  12. Lee EH, Kim CJ. 2008. Nutritional changer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Culture 23: 121-129. 

  13. Ghung DS, Kim HK. 1998. Changes of protein and lipid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Perilla frutescens seeds. Korean J Life Sci 8: 318-325. 

  14. Kim JS, Kim JG,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J Korean Food Sci Technol 36: 294-298 

  15. Kim IS, Kwon TB, Oh SK. 1988.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 and minerals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188-193. 

  16. Kim HY, Hwang IG, Joung EM, Kim TM, Kim DJ, Park DS, Lee JS, Jeong HS. 201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germinated-Korean rough rice extract o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25-330. 

  17. Kim HY, Hwang IG, Kim TM, Kim DJ, Park DS, Kim JH, Lee JS, Jeong HS. 201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germinated rough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07-1112. 

  18. Kim HY, Hwang IG, Woo KS, Kim KH, Kim KJ, Lee CK, Lee JS, Jeong HS. 2010. Chemical components changes of winter cereal crops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00-1704. 

  1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35. 

  20. Lee JI, Kye BM. 1970. Effect of oil quality by extracting hour on rape. Res Rept RDA (C.P) 13: 89-94. 

  21. Haung W, Lantzsch HJ. 1983. Sensitive method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phytate in cereals and cereal products. J Sci Food Agric 34: 1423-1426. 

  22. Lee J, Landen WO Jr, Phillips RD, Eitenmiller RR. 1998. Application of direct solvent extraction to the LC quantification of vitamin E in peanuts, peanut butter and selected nuts. Peanut Sci 25: 213-218. 

  23. Lee MH, Son HS, Choi OK, Oh SK, Kwon TB. 1994.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J Korean Food Nutr 7: 267-273. 

  24. Lee SH, Chung DH. 1982. Studies on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 on growth and nutrient compositions in soybean sprout. J Korean Agric Chem Soc 25: 75-82. 

  25. Farhangi M, Valadon LRG. 1983. Effect of light acidified processing and storagd on carbohydrates and other nutrients in mung bean sprouts. J Sci Food Agric 34: 1251-1256. 

  26. Kim WJ, Kim NM, Sung HS. 1984. Effect of germination of phytic acid soluble minerals in soymilk.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358-362. 

  27. Kim HY, Hwang IG, Woo KS, Kim KH, Kim KJ, Lee CK, Lee JS, Jeong HS. 2010. Chemical components changes of winter cereal crops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00-1704. 

  28. Lee WJ. 1989. Phytic acid content and phytase activity of barley. J Korean Soc Food Nutr 18: 40-46. 

  29. Son SJ, Keum JW, Lee MH, Jeong JH, Oh MJ. 1996. 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ayers of rice grain. J Korean Soc Food Nutr 25: 497-503. 

  30. Kwon TB. 1994. Changes in rutin and fatty acid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Nutr 7: 124-127. 

  31. Tanczos OG. 1982. Effect of $\alpha$ -tocopherol on growth membrane-bound adenosine triphosphatase activity of the root, membrane fluidity and potassium uptake in rice plants. Physoil Plant 55: 289-295. 

  32. Kim IS, Han SH, Han KW. 1997.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amino acid and vitamin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058-10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