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진단(拱辰丹)과 영신초(靈神草), 원지(遠志), 석창포(石菖蒲) 혼합제제의 기억력과 인지기능 개선 및 항불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ootropic and Anti-amnestic and Anxiolytic-like Effects of G.J.D-P.P.A. in Mice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2 no.2, 2011년, pp.85 - 105  

최철홍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김수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정대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and anxiolytic-like effects of Gongjin-dan and Polygala japonica, Polygala tenuifolia, Acorus gramineus mixed pills(G.J.D-P.P.A.). Methods :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G.J.D-P.P.A. determined by the passive av...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Dementia)는 여러 가지 원인질환에 의해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불안, 우울, 행동장애 등의 비인지적 증상들이 동반되며 대개 만성적으로 진행하여 일상생활의 유지에도 장애를 초래하는 증후군이다1). 불안과 우울은 치매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정서적 문제로, 불안은 광범위하게 매우 불쾌한, 그리고 막연히 불안한 느낌으로, 생체가 친숙하지 않은 환경에 적응하고자 할 때 나타나는 기본적인 반응양상이며 이와 관련하여 신체증상과 행동증상이 동반된다2).
한의학에서 치매의 원인을 무엇으로 보는가? 한의학에서 치매는 痴呆7), 呆病8)의 범주에, 불안은 驚悸와 怔忡9,10)의 범주에 속한다. 痴呆의원인은 稟賦不足, 肝腎不足, 心腎不交, 七情傷, 痰飮 등이 있고 塡精補髓, 滋補肝腎, 割痰順氣 등의 治法이 있으며, 驚悸와 怔忡의 원인은 心膽 虛怯, 心血虧損, 心氣不足, 肝腎陰虛, 痰飮內停 등이 있고 補血安神, 祛痰淸神, 寧心壯膽 등의 治法이 있다11).
benzodiazepine계 약물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현재 치매에 사용되는 약물들이 있지만 이들은 효과가 일시적이며 간독성과 다른 수용체와의 작용 등으로 장기간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고5), 불안을 치료하는 benzodiazepine계 약물은 임상적으로 항불안 효과뿐만 아니라 과도한 진정, 근육이완 등의 부작용 때문에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6), 부작용이나 독성이 적은 새로운 치료약물의 개발 및 기존 약재의 효능을 재발견하여 치료에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 한의학에서 치매는 痴呆7), 呆病8)의 범주에, 불안은 驚悸와 怔忡9,10)의 범주에 속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편. 한방신경정신의학. 파주:집문당. 2006:117-24, 125-30, 203-12. 

  2.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서울:一潮閣. 2005:189-98, 297-329. 

  3. Ferretti L, McCurry SM, Logsdon R, Gibbons L, Teri L. Anxiety and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001;14(1):52-8. 

  4. Mattson MP, Barger SW, Furukawa K, Bruce AJ, Wyss-Coray T, Mark RJ, Mucke L. Cellilar signaling roles of $TGF\beta,\;TNF\alpha\;and\;{\beta}APP$ in brain injury responses and Alzheimer's disease. Brain Res Rev. 1997;23:47-61. 

  5. Giacobini E. Present and future of Alzheimer therapy. J Neural Transm Suppl. 2000;59:231-42. 

  6. Chouinard G, Lefko-Singh K, Teboul E. Metabolism of anxiolytics and hypnotics: benzodiazepines, buspirone, zoplicone, and zolpidem. CellMolNeurobiol. 1999;19(4):533-52 

  7. 張介賓. 張氏景岳全書. 서울:翰成社. 1978:610-1. 

  8. 陳士澤. 國譯石室秘錄. 서울:書苑堂. 1984:102. 

  9. 虞博. 醫學正傳.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63:274. 

  10. 李?. 醫學入門. 서울:南山堂. 1982:487-8. 

  11. 陳輝. 實用中醫腦病學. 北京:學苑出版社. 1993:242-51, 784-91. 

  12. 危亦林. 世醫得效方.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0:271. 

  13. 許浚. 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1999:189-90,1180. 

  14. 이은경. 靈神草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행동 약리학적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15. 한신희, 길기정. 인삼산사복합방(人蔘山査複合方)이 Alzheimer성 치매 병태(病態) 생쥐의 뇌조직 손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6;21(4):123-31. 

  16. 손세규, 임채광, 김광중. Elevated plus-maze를 이용한 芍藥甘草湯의 항불안 효과. 동서의학. 2010;35(3):107-23. 

  17. LeDoux JE. Emotional memory system in the brain. Behav Brain Res. 1993;58(1-2):69-79. 

  18. Ebert, U. Kirch, W. Scopolamine model of dementia: electro- encephalogram findings and cognitive performance. Eur J Clin Invest. 1998;28(11):944-9. 

  19. Morris R.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Methods. 1984;11(1):47-60. 

  20. Yamaguchi Y, Miyashita H, Tsunekawa H, Mouri A, Kim HC, Saito K, Matsuno T, Kawashima S, Nabeshima T. Effects of a novel cognitive enhancer spiro[imidazo-[1,2-a]pyridine-3,2-indan]-2(3H)-one(ZSET1446), on learning impairments induced by amyloid-beta 1-40 in the rat. J Pharmacol. 2006;317(3):1079-87. 

  21. Ellman, GL, courtney KD, Andres JV and Feather-Stone RM. A new and rapid color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1961;7:88-95. 

  22. Handley SR, Tricklebank MD. Effects of alpha-adrenoceptor agonists and antagonists in a maze-exploration model of 'fear'-motivated behaviour. Naunyn Schmiedebergs Arch Pharmacol. 1995;327:1-5. 

  23. Overstreet DH, Pucilowski O, Rezvani AH, Janowsky DS. Administration of antidepressants, diazepam and psychomotor stimulants further confirms the utility of Flinders Sensitive Line rats as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Psychopharmacology(Berl). 1995;121(1):27-37. 

  24. Hattesohl M, Feistel B, Sievers H, Lehnfeld R, Hegger M, Winterhoff H. Extracts of Valeriana officinalis L. s.l. show anxiolytic and antidepressant effects but neither sedative nor myorelaxant properties. Phytomedicine. 2008;15(1-2):2-15. 

  25. 조맹제, 김기웅, 김병희, 김문두, 김봉조, 김신겸 등. 치매 노인 유병률 조사. 보건복지가족부. 2008. 

  26. 조은영, 조은희, 김소선. 가족 상호관계가 치매노인 가족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010;30(2):421-37. 

  27. 오세관. 신경전달물질과 뇌질환. 서울:신일상사. 2005:345-64. 

  28. Bains JS, Shaw CA. Neurodegeneration disorders in humans: The role of glutathione in oxidative stress-mediated neuronal death. Brain Research Review. 1997;25:335-58. 

  29. 이가옥. 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114-32. 

  30. Mattson MP, Chan SL, Camandola S. Presenilin mutations and calcium signaling defects in the nervous and immune system. Bioessays. 2001;23(8):733-44. 

  31. Trabace L, Cassano T, Steardo L, Pietra C, Villetti G, Kendrick KM, Cuomo V. Biochemical and neurobehavioral profile of CHF2819, a novel, orally activ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for Alzheimer's disease. J Pharmacol Exp Ther. 2000;294(1):187-94. 

  32. Trabace L, Cassano T, Steardo L, Pietra C, Villetti G, Kendrick KM, Cuomo V. Biochemical and neurobehavioral profile of CHF2819, a novel, orally activ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for Alzheimer's disease. J Pharmacol Exp Ther. 2000;294(1):187-94. 

  33. Higgins JP, Flicker L. Lecithin for dementia and cognitive impairment.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0;(4):CD001015. 

  34. Womer DE, Shannon HE. Reversal of pertussis toxin-induced thermal allodynia by muscarinic cholinergic agonists in mice. Neuropharmacology. 2000;39(12):2499-504. 

  35. Ventura M, Sternon J. Anticholinesterase agents in Alzheimer's disease. Rev Med Brux. 2001;22(4):387-93. 

  36. Cheng DH, Tang XC. Comparative studies of huperzine A, E2020, and tacrine on behavior and cholinesterase activities. Pharmacol Biochem Behav. 1998;60(2):377-86. 

  37. Greenwald BS, Kramer-Ginsberg E, Marin DB, Laitman LB, Hermann CK, Mohs RC, Davis KL. Dementia with coexistent major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989;146:1472-8. 

  38. 박건우. 치매의 행동신경심리증상에 대한 비약물학적 접근. 대한치매학회지. 2004;3(1):24-8. 

  39. Sandford JJ, Argyropoulos SV, Nutt DJ. The psychobiology of anxiolytic drugs. Part1: Basic neruobiology. Pharmacol. Ther. 2000;88:197-212. 

  40. 한설희. 치매의 행동심리증상의 개관. 대한치매학회지. 2004;3(1):1-4. 

  41. Leo RJ. Movement disorders associated with the serotonin selective reuptake inhibitors. Clin Psychiatry. 1996;57(10):449-54. 

  42. Hoffman EJ, Mathew SJ. Anxiety disorders: a comprehensive review of pharmacotherapies. Mt Sinai J Med. 2008;75(3):248-62. 

  43. 洪元植. 精校黃帝內經靈樞素問. 서울:東洋醫學硏究院. 1985:37, 68, 124, 196, 217-8, 229, 229, 342. 

  44. 王淸任. 醫林改錯. 台北:中國醫藥叢書. 1975:22-5. 

  45. 이근후 외. 최신임상정신의학. 서울:하나의학사. 1988:138, 216-28. 

  46. 成無己. 傷寒明理論.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0:28. 

  47.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교수 편. 本草學. 서울:永林社. 1999:496-7, 520-2, 523-4, 545-6, 578-80, 626-7. 

  48. Hsieh MT, Peng WH, Wu CR, Ng KY, Cheng CL, Xu HX. Review on experimental research of herbal medicines with anti-amnesic activity. Planta Med. 2010;76(3):203-17. 

  49. Park CH, Lee YJ, Lee SH, Choi SH, Kim HS, Jeong SJ, Kim SS, Suh YH, Dehydroevodiamine-HCl prevents impairment of learning and memory and neuronal loss in rat models of cognitive disturbance. J Neurochem. 2000;74(1):244-53. 

  50. 황선미, 정대규. 拱辰丹이 CT105로 유도된 Alzheimer's disease 病態 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5(2):103-18. 

  51. 김경호, 정현우, 이동원, 김정숙, 김영균, 조수인. 遠志 추출물이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3;18(1):99-108. 

  52. 최혁, 김상호, 이대용, 안대종, 강형원, 류영수. pCT105로 유도된 치매모델에서 石菖蒲 수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2;13(2):173-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