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봇과 예술인터페이스(Art Interface): 백남준의 "Robot K456"을 중심으로 원문보기

공학교육 = Engineering education, v.18 no.2, 2011년, pp.14 - 17  

이준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지털디자인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작업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작품은 아니지만, 장르 통합, 테크놀러지와 예술과의 결합, 열린 예술의 개념, 대중 참여 유도, 전시가치의 중요성, 낯설게 하기(verfremdung), 소통과 행위중시, 그리고 인터페이스(interface)로서의 작품화 등등의 현재 예술뿐만 아니라 21세기의 시대적 징후들을 모두 함유하고 있다. 본 글에서 필자는 전통예술의 시각을 통해서는 K456이 분석되기 어려움을 간단히 밝히고, 현재의 시각에서의 K456의 예술 공학적 의의를 서술하도록 한다.
  • 필자의 전도상학적 기술을 기반으로 도상학적 분석을 시도 해보자. 아마 1960년대 사람들은 많은 문헌과 유형사를 추적해 본다 하더라도 저 가운데 있는 K456의 존재를 알아내기 쉽지 않았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사실 백남준은 비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는 듯하다. 또한 전통적인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측면에서 K456은 해석이 가능한가? <사진2>에 대해 그것이 하나의 그림이라고 가정하고 1960년대 사람들의 입장을 최대한 살려서 간단히 전도상학적 기술을 해보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obot K456은 누구의 작품인가? 백남준의 작업 「Robot K456」(이하 K456)은 예술과 기술의 융합 그리고 예술인터페이스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이 작업이 1960년대의 아방가르드 예술의 극단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술의 종언’ 이후의 예술 -특히 미디어 예술- 의 기본적 모델이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징후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페이스를 필자는 아주 간단하게 뭐라고 말하는가? 인터페이스(interface)가 무엇이냐 하는 질문에 필자는 아주 간단히 새로운 세상으로 진입하는 통로라고 말하고 싶다. 과거 점성술사의 구슬이나 마법사의 지팡이가 신비로운 세상으로 인도하는 인터페이스였고, 음악가에게는 음악의 세계로 인도하는 인터페이스가 악기였다면, 과학자에겐 현미경과 망원경이 그러한 인터페이스였을 것이다.
K456이 백남준의 작품 중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K456은 백남준의 작품 중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의 작품 중에서 로봇형상을 한 비디오 설치 작업은 종종 발견되지만 키네틱 예술 작업은 드물기 때문이다. 또한 K456의 작업과정의 특이성, 로봇을 적극적으로 퍼포먼스에 ‘참여’ 시킨 점, 예술 인터페이스(art interface)로서의 로봇, 독특한 최후 등등 이 작업에는 범상치 않은 사연들로 가득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이용우, 백남준 그 치열한 삶과 예술, 열음사, 2000 

  2. Claudia Giannetti, The Subject-project: Metaformance and Endoesthetics 

  3. 에디트 데커, 백남준:비디오 예술의 미학과 기술을 찾아서, 궁리출판, 2001 

  4. 진중권, 이수진, GCT711:원리로 보는 미술사 강의록 한국과학기술원, 2006 

  5. 진중권, 미학오디세이 1, 2, 3, 휴머니스트 출판, 2006 

  6. R. Packer, K. Jordan, Multimedia: From Wagner to Virtual Reality, W.W. Norton & Company, 2001 

  7. 한스 게오로그 가다머, 예술의 종언? : 예술의 과거성에 관한 헤겔의 이론으로 부터 오늘날의 반예술에 이르기까지, 1984 

  8. 진중권,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휴머니스트 출판, 2005 

  9. 이준, 음악과 휴먼컴퓨터 인터페이스, 한국진동공학회지, 5월호, 20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