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abyung is a culture-bound anger syndrome in Korea. It manifests as one or more of a wide range of physical symptoms, in response to emotional stress. This case describes a 26-year old woman diagnosed as Hwabyung by HBDIS. She complained chiefly of binge eating and sleep disorder. She also complain...
Hwabyung is a culture-bound anger syndrome in Korea. It manifests as one or more of a wide range of physical symptoms, in response to emotional stress. This case describes a 26-year old woman diagnosed as Hwabyung by HBDIS. She complained chiefly of binge eating and sleep disorder. She also complained of chest discomfort, abdominal discomfort,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throat, burning sensation and so on. We treated the patient with herbal medication, acupuncture, cupping, and moxa. After treatment, her condition improved. Standardized patients (SP) were used in teaching and practicing interviewing and physical examination skills for This report suggests that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such as herbal medication, acupuncture, cupping, moxa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Hwabyung patients.
Hwabyung is a culture-bound anger syndrome in Korea. It manifests as one or more of a wide range of physical symptoms, in response to emotional stress. This case describes a 26-year old woman diagnosed as Hwabyung by HBDIS. She complained chiefly of binge eating and sleep disorder. She also complained of chest discomfort, abdominal discomfort,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throat, burning sensation and so on. We treated the patient with herbal medication, acupuncture, cupping, and moxa. After treatment, her condition improved. Standardized patients (SP) were used in teaching and practicing interviewing and physical examination skills for This report suggests that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such as herbal medication, acupuncture, cupping, moxa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Hwabyung patien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증례는 수년간 지속되어 온 폭식을 동반한 火病환자로 2011년 1월 3일부터 2011년 3월 3일까지 본원에서 한의학적 치료를 시행한 결과 유효한 효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이상으로 폭식을 주소로 하는 환자를 火病과 신경성 폭식증으로 진단하고 그에 따른 치료를 통하여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③ 問診:대변이 시원하지 않으며 2~3일에 한번 무른 변을 보며 소변상태는 양호하다고 한다. 손발에 땀이 잘나며 눈이 잘 충혈된다고 한다.
제안 방법
동방침구제작의 0.25×30mm의 毫鍼을 사용하여 초기에는 疏肝解鬱의 목적으로 肝大腸勝格, 火熱을 치료하는 小腸正格을 사용하였고 火熱의 증상이 사라진 치료 51일째부터는 補脾健脾의 목적으로 脾膽正格을 기본으로 하여 四關, 上脘, 中脘, 下脘등을 配穴하여 주 2회씩 시술하고 25분간 留鍼하였다.
① 화병면담도구(HBDIS)를 사용하여 환자의 심리상태를 평가하였다. 본 환자는 來院 당시 검사에서 火病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 되어 火病으로 진단하였다.
① 화병면담도구(HBDIS)를 사용하여 환자의 심리상태를 평가하였다. 본 환자는 來院 당시 검사에서 火病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 되어 火病으로 진단하였다.
② 우울척도(BDI)를 측정하였다. 본 환자는 2011년 1월 3일 초진 시에 32점으로 심한 우울상태로 나타났다.
③ DSM-Ⅳ의 신경성 폭식증 진단 기준으로 폭식 행동을 평가하였다. 본 환자는 같은 시간에 다른 사람에 비해 확실히 많은 양을 먹으며 식욕을 억제할 수 없고 먹는 것을 멈추기가 힘들다고 하였다.
① 胸悶, 복부불편감, 上熱感, 梅核氣, 項强, 心悸亢進둥, 善太息등의 증상을 근거로 肝氣鬱結氣鬱化火 肝火上炎으로 변증하였다.
② 腸鳴音, 面色黃 舌苔厚膩 脈滑數하며 대변이 무른 경향을 보이며 무표정하며 권태로워하는 모습 등의 陰的인 행동양상을 바탕으로 脾氣損傷 脾虛生痰으로 변증하였다.
치료 시작 후 50일간은 疏肝解鬱, 瀉火解毒 시키고자 黃連解毒湯과 柴胡疏肝散을 合方하여 2첩을 함께 1시간 탕전하여 240cc의 전탕액을 얻어 1일 3회 80cc씩 식후에 복용하도록 하였다. 치료 51일째부터 다른 증상의 회복정도에 비해 소화불량증상이 비교적 회복이 느리고 속이 더부룩하고 메스껍다는 증상 등이 있어 脾氣損傷 脾虛生痰한 것으로 판단하여 消痰補脾시키는 목적으로 香砂六君子湯을 기존의 한약 복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용하도록 하였다.
치료 시작 후 50일간은 疏肝解鬱, 瀉火解毒 시키고자 黃連解毒湯과 柴胡疏肝散을 合方하여 2첩을 함께 1시간 탕전하여 240cc의 전탕액을 얻어 1일 3회 80cc씩 식후에 복용하도록 하였다. 치료 51일째부터 다른 증상의 회복정도에 비해 소화불량증상이 비교적 회복이 느리고 속이 더부룩하고 메스껍다는 증상 등이 있어 脾氣損傷 脾虛生痰한 것으로 판단하여 消痰補脾시키는 목적으로 香砂六君子湯을 기존의 한약 복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용하도록 하였다. 黃連解毒湯은 <外臺秘要>에 출전된 處方으로瀉火解毒하는 효능이 있으며 柴胡疏肝散은 <景岳全書>에 출전된 處方으로 肝脾不和로 인하여 胸脇과 脘腹이 不舒한 증을 치료하는 方劑인 四逆散에 肝氣의 疏泄과 行氣止痛의 효능이 강화된 方劑이다.
下焦의 기운을 補하고 下腹冷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 2회 關元에 間接灸를 시행하였다.
전신순환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膀胱經 제1,2선에 주 2회로 7~8분간 留官療法을 시행하였다.
胸中의 氣滯를 풀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초진 시와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내원한 치료 16일째膻中穴과 주변 압통점에 瀉血療法을 시행하였다.
타병원에서 7년 전부터 처방받아 잠자기 전 1일 1회로 복용해오던 seroquel(항정신용제) 25mg, xanax tab(항불안제) 0.25mg은 치료기간 동안 계속 복용토록 하였다.
① 2011년 1월 3일(초진):비만한 체형의 환자로 체중감량 상담을 위해 내원하였다. 상담 중 당장의 체중감량보다 폭식과 불면에 대한 치료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위해그 기반에 자리한 火病에 대한 치료가 우선으로 필요하다 생각되어 환자, 보호자와 상담 후火病 치료를 하기로 하였다. 7~8년간 지속된불면증상으로 항상 피곤하며 늘 속이 더부룩 하고 답답하다고 하다.
하지만 속이 불편한 느낌은 30%정도의 호전도만 있다고 하며 몸이 무겁고 피곤한 증상은 큰 호전이 없다고 하였다. 과거 폭식하는 습관과 오랫동안 鬱滯되어 있던 肝氣로 인해脾의 생리작용에 장애가 생긴 것으로 판단하였고 面色이 어둡고 舌苔厚膩, 脈滑하는 등의 상태로 보아 痰이 內盛한 것으로 생각하여 처방을 香砂六君子湯으로 바꾸어 복용하도록 하였다.
본 환자의 치료에 임함에 있어서 제반 증상의 기본적인 원인은 스트레스로 인한 肝의 生理作用障碍 와 그로 인한 氣機鬱滯 氣鬱化火 肝火上炎과 肝鬱克脾로 인한 脾氣損傷 脾虛生痰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한의학적 치료로 黃連解毒湯과 柴胡疏肝散을合方하여 50일간 복용하도록 한 후 51일경부터는香砂六君子湯을 복용하도록 하였고 針治療, 灸治療, 附缸治療, 瀉血療法을 병행하였다.
진료 날짜 별로 증상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폭식행동은 지난 1주일간의 폭식행동 회수를 표시하였고 그 외의 증상은 초진 시에 환자가 느끼는 증상의 정도를 10으로 기준으로 하여 환자가 느끼는 정도를 수치로 표시하였다.
진료 날짜 별로 증상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폭식행동은 지난 1주일간의 폭식행동 회수를 표시하였고 그 외의 증상은 초진 시에 환자가 느끼는 증상의 정도를 10으로 기준으로 하여 환자가 느끼는 정도를 수치로 표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② 우울척도(BDI)를 측정하였다. 본 환자는 2011년 1월 3일 초진 시에 32점으로 심한 우울상태로 나타났다.
① 2011년 1월 3일(초진):비만한 체형의 환자로 체중감량 상담을 위해 내원하였다. 상담 중 당장의 체중감량보다 폭식과 불면에 대한 치료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위해그 기반에 자리한 火病에 대한 치료가 우선으로 필요하다 생각되어 환자, 보호자와 상담 후火病 치료를 하기로 하였다.
이론/모형
胸悶증상이 더 심해져 숨쉬기도 힘들다고 하였다. 胸中의 氣滯를 풀어주기 위해 膻中穴과 주위壓痛點에 瀉血療法을 시행하였다.
성능/효과
火病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여성에 많고, 비교적 연령이 높고, 교육정도는 낮으며, 별다른 직업이 없고, 경제적으로는 중하층이며, 발병기간은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있고,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가족 내 갈등이 가장 많다. 火病 환자의 감정은 화, 분노, 억울, 분함에서 점차 불안, 초조, 우울, 의욕상실의 양태로 바뀌는 양상을 보이고, 火病 환자의 신체적 증상은 답답함, 두근거림, 치밀어 오름, 열감 등이 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3).
⑧ 2011년 3월 3일(치료 66일째):복부불편감은 50%정도로 줄어들었다고 하며 초진 시에 다양하게 호소하던 증상에 대한 언급은 확연히 줄어들고 문진 시 대부분의 증상에 대해 괜찮다고 하며 왼쪽 발목을 삐끗하여 이에 대한 치료를 받고 싶다고 하였다. BDI 점수는 17점으로 초진 시에 비해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이후 火病에 대한 치료는 종결되었다.
본 환자의 치료에 임함에 있어서 제반 증상의 기본적인 원인은 스트레스로 인한 肝의 生理作用障碍 와 그로 인한 氣機鬱滯 氣鬱化火 肝火上炎과 肝鬱克脾로 인한 脾氣損傷 脾虛生痰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한의학적 치료로 黃連解毒湯과 柴胡疏肝散을合方하여 50일간 복용하도록 한 후 51일경부터는香砂六君子湯을 복용하도록 하였고 針治療, 灸治療, 附缸治療, 瀉血療法을 병행하였다.
치료 시작 후 16일 정도는 증상에 대한 호전이 없었으나 25일정도의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반응이 나타났다. 치료 시작 34일 후에는 부수증상이 전반적으로 50%정도의 호전 반응을 보이며 초조해하고 불안해하던 환자가 다소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을보였으며 폭식행동이 없어졌으며 수면장애에 대한 만족감 역시 보이기 시작했다.
치료 시작 후 16일 정도는 증상에 대한 호전이 없었으나 25일정도의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반응이 나타났다. 치료 시작 34일 후에는 부수증상이 전반적으로 50%정도의 호전 반응을 보이며 초조해하고 불안해하던 환자가 다소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을보였으며 폭식행동이 없어졌으며 수면장애에 대한 만족감 역시 보이기 시작했다. 43일이 지난 후 생활의 전반적인 부분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43일이 지난 후 생활의 전반적인 부분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치료 51일 후에는 대부분의 증상에 큰 만족감을 보였으며 폭식행동 역시 소실되는 등의 호전반응을 보였다. 치료 66일이 지나서는 대부분의 증상에 대한 회복을 보였고 우울척도(BDI)측정시 초진시 32점에서 17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치료 51일 후에는 대부분의 증상에 큰 만족감을 보였으며 폭식행동 역시 소실되는 등의 호전반응을 보였다. 치료 66일이 지나서는 대부분의 증상에 대한 회복을 보였고 우울척도(BDI)측정시 초진시 32점에서 17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Table 1.
수년간 지속되어 오던 폭식과 불면을 주소로 하고 梅核氣, 胸悶, 복부불편감, 上熱感등의 증상을 동반한 화병 환자에 대해 한의학적으로 氣機鬱滯 氣鬱化火 肝火上炎과 肝鬱克脾로 인한 脾氣損傷 脾虛生痰 辨證하고 한약복용과 針治療, 灸治療, 附缸治療, 瀉血療法의 治療로 폭식행동과 부수증상은 소실되고 수면상태도 유의하게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
비록 치료기간에는 빠른 호전을 보였지만 여러 요인에 의해 재발의 위험이 높은 만큼 추적조사를 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스트레스가 주요 발병인자로 작용한 만큼 환자의 마음가짐이 치료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고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하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으며 앞으로 더 많은 치료사례를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성 폭식증의 특징으로 많은 양의 음식 섭취는 어떤 상황을 의미하는가?
DSM-Ⅳ에 의하면, 신경성 폭식증의 폭식은 특수한 형태의 과식으로, 많은 양의 음식 섭취와 먹는 것에 대한 조절력의 상실을 그 특징으로 한다. ‘많은 양의 음식 섭취’란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사한 상황에서 동일한 시간동안 먹는 것보다 분명하게 많은 양을 빠른 속도로 먹는 것을 말하며, ‘먹는 것에 대한 조절력의 상실’이란 어떤 음식을 얼마나 먹어야 할지 스스로 조절할 수 없고, 또 일단 음식을 먹기 시작하면 멈출 수 없을 것 같다는 조절력의 상실감이다. 또 다른 신경성 폭식증의 필수 증상은 폭식후 체중증가를 막기 위한 부적절한 보상행위(자가유발구토, 하제나 이뇨제 사용, 극단적 운동, 굶기 등) 와 체중이나 몸매에 의해 자기 평가가 과도하게 영향 받는 것이다.
火病이란 무엇인가?
火病은 정서적 스트레스를 제대로 발산하지 못하고 억제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병으로 七情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하며, 초기에는 분노와 불안, 그리고 후기에는 우울이 주로 나타나는 우리나라의 문화관련 증후군 중 하나이다3).
민간에서 火病이라고 하는 증상에 상응하는 한의학적용어는 무엇이 있는가?
한의학에서는 火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 內經시대부터 있어 왔기 때문에 火病이 광범위하게 火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질환을 통칭하기도 했지만, 火 의 기본 개념이 기본적으로 정신과 연관성이 많음으로 인하여 火病은 정신적인 문제에서 발생되면서 火 의 성질을 가진 질환으로 설명하고 있다2). 그 중 민간에서 火病이라고 하는 증상에 상응하는 한의학적용어를 살펴보면 梅核氣, 百合病, 奔豚, 煩躁, 上氣, 驚悸, 怔忡, 藏躁, 鬱症, 脫營, 失精 등에서 찾아 볼수 있다8).
참고문헌 (15)
Kwon JH, Park DG, Kim JW, Lee MS, Min SG, Kwon H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wa-Byung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8;27(1):237-252.
Kim JW, Hyun KC, Whang WW. A Study on the origin of Hwabyung(Fire Syndrome).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9; 10(1):205-16.
Kim JH, Kim JW, Whang WW.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 of the clinical appearances and stress perception of Hwabyung patients, according to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0;11 (1):47-57
Rutz W.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Social Psychiatric Assocciation. 1994:864
American Psychis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Seoul:하나의학사. 1995:1083, 697-711
Kim HE, Park K. The Effects of Women's Depression and Ways of Stress Coping on Binge Eating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3;8(3):51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