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름나물의 성장에 미치는 서식 기질의 영향
Effects of Habitat Substrates on Growth of Menyanthes trifoliat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3 no.2, 2011년, pp.355 - 362  

이광문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 식물인 조름나물(Menyanthes trifoliata L.)은 긴 지하경을 가지는 다년생 정수식 물이며, 양분이 적은 이탄습지 또는 산지 호수의 가장자리에 주로 서식한다. 조름나물의 복원 시 적절한 서식지 기질을 결정하기 위하여, 양분 함량이 다른 물, 물이끼 매트, 논흙을 기질로 사용한 메조코즘을 조성하여 조름나물의 성장을 조사하였다. 논흙의 경우에는 침수와 포화습윤 조건으로 나누어 조성하였다. 각 조건마다 약 10cm의 지하경을 심고, 피도, 잎의 면적, 잎의 개수, 지하경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각 변수들은, 양분이 적은 수경 재배와 물이끼 매트에서 8월경에 최고치를 보이다가 감소하였다. 양분이 많은 논흙에서는 10월까지 계속 성장하여 모든 변수에서 시작 때의 2배 이상으로 성장하였다. 지하경의 무게는 위의 기질 조건 각각에서 49, 77, 239, 312g으로 증가하였다. 본 실험결과는 조름나물이 자연에서는 양분이 적은 곳에 서식할지라도 단독으로 자라는 조건에서는 양분이 많은 환경에서 더 잘 자란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는 조름나물의 서식 기질에서의 기본적인 생태적 지위와 실제적인 생태적 지위가 다름을 의미한다. 조름나물의 성공적인 복원을 위해서는 조름나물의 서식지를 제한하는 다른 요인과 생존 전략을 밝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g bean (Menyanthes trifoliata L.) i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and a perennial macrophyte with long rhizome, inhabiting in oligotrophic fen or edges of montane lakes. To decide appropriate substrate type for restoration of this plan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bstrates (e.g. water, Sp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름나물의 복원을 위해 조름나물의 생태 특성을 밝힐 가장 기초적인 연구로서, 양분 상태가 다른 기질 조건을 주고 이에 따른 조름나물의 성장을 비교해 보고자한다. 양분의 상황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질 조건을 고려하고, 그 밖의 요인에 의한 교란이 없도록 변인 통제가 가능한 메조코즘 실험을 설계 수행하였다.
  • 2000).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양분의 상태가 다른 기질을 제공하고 각 기질에서의 조름나물의 성장을 비교해 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조름나물이 논흙과 같이 양분이 많은 환경에 놓여졌을 때, 다른 빈영양환경에서 발견되는 일부 종처럼 성장이 억제되는지, 혹은 다른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 이러한 사실은 이탄습지가 부족하고, 일반적인 습지의 복원이 비교적 양분이 많은 환경에서 조성되는 우리나라와 같은 상황에서, 조름나물을 복원할 때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즉, 본 연구에서는 조름나물의 실현지위가 아닌 기본지위를 밝힘으로써 멸종위기 식물인 조름나물을 양분이 많은 지역에서 복원할 수 있는 1차적인 복원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멸종위기종은 서식지를 제한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유영한과 김해란 2010).

가설 설정

  • 조름나물의 잎 면적은 소엽을 타원형이라고 가정하여 계산하였으며, 소엽의 장축 길이를 측정한 후, 장축과 단축의 비(0.60±0.09)를 고려하여 식 (1)에 따라 잎 1개당 면적을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는 조름나물이 주로 어디에서 서식하는가? 조름나물은 북반구의 한대와 아한대에 분포하며, 위도가 낮은 곳에선 높은 고도에 서식한다(Hewett 1964). 우리나라는 조름나물이 서식할 수 있는 남방한계선에 속하며, 울진 및 대관령, 대암산, 평북, 한남, 함북 등의 고산지역의 습지에서 보고되었다(이창복 1998, 이영노 2006, 최효정와 허권 2009). 이처럼 우리나라에서 조름나물 서식처는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그 마저도 인위적 교란 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점점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장병오 등 2006, 양해근과 최태봉 2009, 이수동 2009).
조름나물의 성장은 어떤 환경에서 왕성한가? 2004, 김재근 2009), 이러한 환경에서 조름나물의 성장은 미약하였다. 반면에 논흙의 양분이 제공되는 환경에서는 조름나물은 왕성하게 성장하였다. 이는 조름나물은 이탄습지와 같이 양분이 부족한 서식지에서는 자신의 성장 능력에 필요한 양분을 충분히 얻지 못하여 성장이 제한되므로 양분이 더 많은 곳에서는 더 잘 자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름나물은 주로 어디에 서식하는가?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 식물인 조름나물(Menyanthes trifoliata L.)은 긴 지하경을 가지는 다년생 정수식 물이며, 양분이 적은 이탄습지 또는 산지 호수의 가장자리에 주로 서식한다. 조름나물의 복원 시 적절한 서식지 기질을 결정하기 위하여, 양분 함량이 다른 물, 물이끼 매트, 논흙을 기질로 사용한 메조코즘을 조성하여 조름나물의 성장을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Garvera EG, Dubbea DR, Pratta DC. 1988. Seasonal patterns in accumulation and partitioning of biomass and macronutrients in Typha spp. Aquatic Botany 32(2): 115-127. 

  2. Greulich S, Bornettea G, Amorosa C, Roelofsb JGM. 2000. Investigation on the fundamental niche of a rare species: an experiment on establishment of Luronium natans. Aquatic Botany 66: 209-224. 

  3. Han M, Kim JG. 2006. Water-holding capacity of a floating peat mat determines the survival and growth of Menyanthes trifolita L.(bog bean) in an oligotrophic lake. Journal of Plant Biology 49(1): 102-105. 

  4. Haraguchi A. 1996. Rhizome growth of Menyanthes trifoliata L. in a population on a floating peat mat in Mizorogaike pond, central Japan. Aquatic Botany 53: 163-173. 

  5. Hewett DG. 1964. Menyanthes Trifoliata L. Journal of Ecology 52(3): 723-735. 

  6. Hutchinson GE. 1957. Concluding remarks. Ecology 22: 415-427. 

  7. Kamphake LJ, Hannah SA, Cohen JM. 1967. Automated analysis for nitrate by hydrazine reduction. Water Research 1(3): 205-216. 

  8. Kufel L, Kufel I, Krolikowska J. 2004. The effect of lake water characteristics on decomposition of aquatic macrophytes. Polish Journal of Ecology 52(3): 261-273. 

  9. Liddicoat ML, Tibbits MI, Butler EI. 1975. The determination of ammonia in seawater. Limnology and Oceanography 20(1): 131-132. 

  10. Malmer N, Albinsson C, Svensson BM, Wallen B. 2003. Interferences between Sphagnum and vascular plants: effects on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peat formation. Oikos 100: 469-482. 

  11. Solorzano L. 1969. Determination of ammonia in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nology and Oceanography 14: 799-801. 

  12. Spatt PD, Miller MC. 1981. Growth conditions and vitality of Sphagnum in a tundra community along the Alaska Pipeline Haul Road. Arctic 34(1): 48-54. 

  13. Unckless RL, Makarewicz JC. 2007. The impact of nutrient loading from Canada Geese (Branta canadensis) on water quality, a mesocosm approach. Hydrobiologia 586: 393-401. 

  14. USDA 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2005. Plant profile for Menyanthes trifoliata (Buckbean). Retrieved July 26, 2005, from http://plants.usda.gov/java/profile ?symbol METR3. 

  15. van Breemen N. 1995. How Sphagnum bogs down other plants.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0(7): 270-275. 

  16. Yoon J, Kim H, Nam JM, Kim JG. 2011. Optimal environmental range for Juncus effusus, an important plant species in an endangered insect species (Nannopya pygmaea) habitat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2): 223-235. 

  17. 김재근. 2009.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특성: I. 소황병산늪. 한국습지학회지 11(1): 15-27. 

  18. 양해근, 최태봉. 2009. 물수지를 고려한 신안장도 산지습지의 관리방안. 한국지형학회지 16(4): 61-71. 

  19. 유영한, 김해란. 2010. 멸종위기 부엽식물 가시연꽃 개체군의 분포, 멸종 원인 key factor에 대한 실험과 보전을 위한 관리 전략. 한국습지학회지 12 (3): 49-56. 

  20. 이수동. 2009. 산지습지의 육상화 진행실태 및 관리방안-양산시 화엄늪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91권 1호 pp 114-116. 

  21.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p 82. 

  22. 이창복. 1998.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 76. 

  23. 장병오, 신성욱, 최기룡. 2006. 지리산 왕등재늪의 식생 변천사 연구. 한국생태학회 29(3): 287-293. 

  24. 최효정, 허권. 2009. 고층습원 대암산 용늪의 식물상 모니터링. 한국자연보호학회지 3(2): 93-1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