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식 기질과 동반종이 조름나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bitat substrates and companion plants on the growth of Menyanthes trifoliat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3 no.3, 2011년, pp.613 - 621  

이광문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름나물(Menyanthes trifoliata L.)은 주로 산지습지에 서식하는 우리나라 멸종위기 식물로, 인간에 의한 교란과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감소되고 있다. 생물의 서식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환경과 종간경쟁이 있으므로 조름나물의 분포가 제한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식 환경 뿐아니라 함께 서식하는 다른 종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식 기질과 동반종이 조름나물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식기질로는 물이끼 매트와 논흙을 두었으며, 각 조건에서의 식생과 조름나물의 생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물이끼 매트에서 조름나물의 상대피도가 높았으며, 조름나물보다 초고가 큰 종은 적었다. 반면, 논흙에서는 많은 종이 조름나물에 비해 높은 초고를 보였다. 조름나물의 최대 피도는 물, 물이끼 매트, 논흙 조건 순으로 낮아졌다. 이를 통해 조름나물은 식물 간의 경쟁에 의해 생육이 제한됨을 확인하였다. 조건 간 조름나물의 초고는 큰 차이가 없어, 조름나물은 위로 성장하여 경쟁력을 키우기 보다는 다른 식물이 잘 살지 못하는 곳으로 지하경을 확장하여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 조름나물의 보존 또는 서식지 조성을 위해서는 조름나물 이외의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조건을 만들어 주어야 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g bean (Menyanthes trifoliata L.) i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inhabiting in montane wetlands. Its' habitats are decreasing due to artificial disturbances and climate change in Korea. Interspecies competitions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a species and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effe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조름나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 기질을 제공하고, 각각의 기질에서 자연적으로 정착한 다양한 관속식물들과 조름나물이 함께 생육하도록 하였다. 각 서식 기질 간 식생과 조름나물의 생육을 비교하여, 동반종이 조름나물에 영향을 미치는 지, 영향을 미친다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조름나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두 번째 연구로, 서식 기질과 동반종이 조름나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조름나물은 양분이 많은 환경에서 더 큰 생장량을 보이지만, 연구 결과 양분이 많은 논흙 기질에서는 동반종과의 경쟁으로 인해 오히려 생장이 저해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조름나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서식 기질과 동반종을 두었으며, 이러한 요인이 조름나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름나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 기질을 제공하고, 각각의 기질에서 자연적으로 정착한 다양한 관속식물들과 조름나물이 함께 생육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름나물은 어떤 식물인가? 조름나물(Menyanthes trifoliate L.)은 다년생 정수식물로 멸종위기 보호야생동․식물 Ⅱ급으로 지정된 보호종이다. 조름나물은 아시아, 유럽, 북미대륙의 한대와 아한대에 넓게 분포하는 종이나, 고도가 높은 저위도 지역에서도 제한적으로 서식 한다(Hewett 1964).
조름나물은 어디에 서식하는가? )은 다년생 정수식물로 멸종위기 보호야생동․식물 Ⅱ급으로 지정된 보호종이다. 조름나물은 아시아, 유럽, 북미대륙의 한대와 아한대에 넓게 분포하는 종이나, 고도가 높은 저위도 지역에서도 제한적으로 서식 한다(Hewett 1964). 조름나물의 분포에 관한 한 우리나라는 저위도 지역으로 강원도와 울진 등의 고산 습지에서 발견되었다(이창복 1998, 이영노 2006).
조름나물이 분포가 제한된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조름나물의 분포에 관한 한 우리나라는 저위도 지역으로 강원도와 울진 등의 고산 습지에서 발견되었다(이창복 1998, 이영노 2006). 이렇게 제한된 분포를 보이나 이 또한 인위적 교란 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서식지가 축소되거나 소실되고 있는 상황이다(장병오 등 2006, 양해근과 최태봉 2009, 이수동 2009). 현재 비공식적으로는 강원도의 여러 장소에서 조름나물이 서식한다고 알려졌지만, 공식적으로는 대암산 용늪과고성의 석호만 보고되고 있다(최효정과 허권 2009,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양해근, 최태봉. 2009. 물수지를 고려한 신안장도 산지습지의 관리방안. 한국지형학회지 16(4): 61-71. 

  2. 이광문, 김재근. 2011. 조름나물의 성장에 미치는 서식 기질의 영향. 한국습지학회지 13(2): 355-362. 

  3. 이수동. 2009. 산지습지의 육상화 진행실태 및 관리방안-양산시 화엄늪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91권 1호 pp 114-116. 

  4.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5. 이창복. 1998.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6. 장병오, 신성욱, 최기룡. 2006. 지리산 왕등재늪의 식생 변천사 연구. 한국생태학회 29(3): 287-293. 

  7. 최기룡, 고재기. 1989. 대암산 습원의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12(4): 237-244. 

  8. 최효종, 허권. 2009. 고층습원 대암산 용늪의 식물상 모니터링. 한국자연보호학회지 3(2): 93-104. 

  9.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10. 2010 전국내륙습지 일반조사. 환경부. pp 606-621. 

  10. Austin MP, Fresco LFM, Nicolls AO, Groves RH, Kaye PE. 1988. Competition and relative yield: Estimation and interpretation at different densities and under various nutrient concentrations using Silybum marianum and Cirsium vulagare. Journal of Ecology 76: 157-171. 

  11. Bolnick DI, Ingram T, Stutz WE,Snowberg LK, Lau OL, Paull JS. 2010. Ecological release from interspecific competition leads to decoupled changes in population and individual niche width.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77: 1789-1797. 

  12. Haraguchi A, Matsui K. 1990. Nutrient dynamics in a floating mat and pond system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vegetation. Ecological Research 5(1): 63-79. 

  13. Haraguchi A. 1991. Effect of flooding-drawdown cycle on vegetation in a system of floating peat mat and pond. Ecological Research 6(3): 247-263. 

  14. Haraguchi A. 1993. Phenotypic and phenological plasticity of an aquatic macrophyte Menyanthes trifoliata L. Journal of Plant Research 106: 31-35. 

  15. Haraguchi A. 1996. Rhizome growth of Menyanthes trifoliata L. in a population on a floating peat mat in Mizorogaike pond, central Japan. Aquatic Botany 53: 163-173. 

  16. Hewett DG. 1964. Menyanthes Trifoliata L. Journal of Ecology 52(3): 723-735. 

  17. Hutchison GE. 1957. Concluding remarks. Cold Spring Harbor Symposia Quantitative Biology 22: 415-427. 

  18. Kamphake LJ, Hannah SA, Cohen JM. 1967. Automated analysis for nitrate by hydrazine reduction. Water Research 1(3): 205-216. 

  19. Liddicoat ML, Tibbits MI, Butler EI. 1975. The determination of ammonia in seawater. Limnology and Oceanography 20(1): 131-132. 

  20. Malmer N, Albinsson C, Svensson BM, Wallen B. 2003. Interferences between Sphagnum and vascular plants: effects on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peat formation. Oikos 100: 469-482. 

  21. Mitchley J, Grubb PJ. 1986. Control of relative abundance of perennials in chalk grassland in Southern England. Journal of Ecology 74: 1139-1166. 

  22. Pulliam HR. 2000.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iche and distribution. Ecology Letters 3: 349-361. 

  23. Solorzano L. 1969. Determination of ammonia in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nology and Oceanography 14: 799-801. 

  24. van Breemen N. 1995. How Sphagnum bogs down other plants.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0(7): 270-275. 

  25. van den Broek T, Boudewijn B. 2006. Germination and seedling survival in fens undergoing succession. Plant Ecology 185: 221-237. 

  26. Wilson SD. 1993. Competition and resource availability in heath and grassland in the snowy mountain of Australia. Journal of Ecology 81: 445-451. 

  27. Yoon J, Kim H, Nam JM, Kim JG. 2011. Optimal environmental range for Juncus effusus, an important plant species in an endangered insect species (Nannopya pygmaea) habitat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2): 223-2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