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1 no.5, 2011년, pp.69 - 77
이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학과) , 이연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이수진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연구소)
In order to solve social exclusion and segregation phenomenon and to realize social integration, the necessity of social combination and consensus has been presented and existing conception about the public lease apartment confronts a turning point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apartment supply sys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은평뉴타운 1지구 거주자 대상으로 진행한 사회적 혼합아파트 혼합 방식의 선호 특성, 사회적 행태 특성 연구결과 요약은? | 먼저, 향후 혼합아파트 선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대소유 특성 별 분석에서 분양동 분양세대와 혼합동 분양세대가, 분양형태별 분석에서는 분양 자가세대가 향후 혼합단지와 혼합동 모두를 선택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또한 혼합동의 임대세대 비율에 대해 임대동과 혼합동의 임대세대 거주자는 40-60%의 임대세대 비율을 선호한 반면, 분양동과 혼합동의 분양세대 거주자는 20% 미만의 비율을 바람직하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행태 특성으로는 이웃 교류 특성,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 생활의식을 분석하였다. 이웃 교류 특성에 대해, 임대동과 혼합동의 임대세대가 분양동과 혼합동의 분양세대보다 상대적으로 이웃과 교류하는 거주자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활동에 대해, 분양동 분양세대의 거주자가 다른 집단에 비해 주민 모임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전체 거주자들의 전반적 참여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이는 집단간 비교라는 상대적인 수준에서만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분양동 분양세대 거주자가 다른 집단에 비해 지역사회에 대해 가장 좋은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하면서 느껴지는 만족감, 차별감, 스트레스, 갈등 등은 임대세대와 분양세대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모든 문항에서 긍정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양세대는 혼합단지가 아닌 분양세대만 있는 곳으로 이사하고자 하는 응답이 26.8%에 그치는 것에 반해, 임대세대는 임대가 아닌 일반 분양세대로 이사하고 싶다는 의견이 62.5%에 달했다. 결론적으로, 평형과 주택 형태가 다양하고 일반 분양, 국민임대, 장기전세의 세 가지 공급형태가 혼합되어 있는 은평 뉴타운의 혼합방식은 일반적으로 임대세대 거주자에게 선호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의 임대주택과 분양주택 혼합 주거단지의 저소득층 집단화로 인한 사회적 이미지 저하, 장기적으로는 주거계층 분화에 따른 사회적 배제 문제를 이러한 단지조성 방법에 의한 사회적 혼합방식이 완화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분양세대 거주자들의 혼합방식에 대한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낮은데, 이는 물리적 환경 조성의 차원을 넘어 여전히 사회통합적 인식의 확대라는 사회적 합의 수준을 찾아 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
정부주도의 주택 공급이 낳은 문제점은? | 도심의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주도의 주택 공급이 시작되었고, 1990년 말 전국적으로 50% 초반 수준이던 주택보급률은 2008년에 100%를 넘어섰다1). 그러나 이 과정에서 주택가격이 급상승하고 주택이 투기의 대상이 되면서, 상승된 주택보급률은 저소득층에 실질적인 효과를 가져 오지 못했다2). | |
도심의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진행한 것은? | 우리나라는 지난 반세기 동안 유례없이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이루어냈으며, 이로 인해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심으로 인구가 빠르게 집중되었다. 도심의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주도의 주택 공급이 시작되었고, 1990년 말 전국적으로 50% 초반 수준이던 주택보급률은 2008년에 100%를 넘어섰다1). 그러나 이 과정에서 주택가격이 급상승하고 주택이 투기의 대상이 되면서, 상승된 주택보급률은 저소득층에 실질적인 효과를 가져 오지 못했다2). |
김성옥 (2008). 사회통합에 관한 혼합단지 내 주거만족도 조사 연구 : 수원 매탄 주공 그린빌 아파트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주진.서수정.정경일 (2005), 사회통합을 고려한 임대주택정책 및 개발사례의 특성 연구, 국토계획, 제40권 제6호.
김태경.윤지영 (2006), 주택공급정책에 있어 사회적 통합에 관한 연구 -국민임대주택의 공간적 입지선택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기본연구2006-22).
김현호 (2010), 소셜믹스개념을 도입한 공동주택 계획기법. 대한건축학회, 건축 제54권, 제7호.
나강열 (2007). 공공임대아파트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주동공간계획 연구.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배순석 외 (2006), 도시 주거공간의 사회통합 실현방안 연구(국토연 2006-23), 국토연구원
서수정?김주진?정경일 (2004). 임대주택단지의 사회통합적 계획을 위한사회적 배제 실태 조사연구. 공간과 사회 제22권.
서수정.김주진.정경일.설정임 (2004). 국민임대주택의 사회통합적 계획 방안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서종녀 (2007). 공동주택단지 유형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련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수진(1989). 근린생활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거주자의 사회적 행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연숙 (2009). 미래사회 위기에 대응하는 아파트 주거문화 혁신을 위한 사회통합적 기능유닛삽입 적응형 건물 시스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위기의 한국, 사회통합.녹색성장을 위한 도시공간건축혁명' 심포지엄 발제강연, 2009.10.13., 프레스센터.
장옥영 (2007). 임대분양 혼합단지 가시화에 따른 대응방안 모색, SH공사 주택연구실.
하성규 (2010). 헌법과 국제인권규범을 통해서 본 주거권과 "적절한 주거" 확보 방안. 한국사회정책, 제17권 1호.
홍인옥 (2005). 영구임대주택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 해결 및 사회통합 방안. 도시와 빈곤 제76호.
파이낸셜뉴스, '서울 뉴타운 '소셜믹스'엔 주민 갈등만', 2011년 4월 8일.
통계청 http://kosis.kr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