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갈변 억제제 개발을 위한 양파, 사과 및 감귤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및 갈변 저해 효과
Effects of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browning of Extracts from Onion, Apple and Mandarin Orange Peel as Natural Antibrowning Ag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3, 2011년, pp.406 - 413  

장민선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안세진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문철 (한국식품연구원) ,  김동만 (한국식품연구원)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갈변 저해제 소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양파, 사과 그리고 감귤 과피를 열수 및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에 대하여 PPO 저해활성을 측정하고, DPPH radical 소거능,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등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추출물을 사과슬라이스에 침지하여 외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양파 및 감귤 과피 추출물이 사과 추출물보다 PPO 저해활성, DPPH radical 소거능, 총 페놀에 대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또한 $Fe^{2+}$의 chelating 효과가 우수하였다. 각 추출물에 대하여 사과 슬라이스에 침지하여 처리한 결과에서도 양파 및 감귤 과피 추출물에서 L값과 ${\Delta}E$값이 낮게 나타나, 색 변화가 적게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양파와 감귤 과피 추출물이 천연 갈변 저해제로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various extracts and antibrowning effects of extracts in apple slices were investigated by ${\Delta}E$ value and PPO relative activity. Apples were cut into 1.5 cm thickness and they were dipped in 1% extract solu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파, 사과 및 감귤 과피 등의 천연 농산물로부터 PPO 활성 저해력과 항산화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사과 슬라이스에 적용하여 갈변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 천연 갈변 억제제로서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1) Each values are means±S.D.,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놀성 화합물은 무슨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가? 페놀성 화합물은 여러 가지 식물류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flavonoid류가 주를 이루며, 단순한 phenol류, phenolic acid류, phenol성 quinone류 등을 포함한다 (Kim 등 2001). 최근에 이런 페놀성 화합물 등이 항산화(Serafini 등 1996), 항암(Sadzuka 등 1996; Stoner & Mykhtar 1995), 항균(Vijaya 등 1995)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런 생리활성물질 중 항산화성이 있는 식물류로부터 천연 항산화제 및 천연 갈변 저해제 개발도 시도되고 있으며 (Ohmori 등 1995; Hattori 등 1990), 그 중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재배되는 감귤류는 전체 과수 생산량 중 30%를 차지하는 농산물로 가공 공정 시 감귤 과피가 가공부산물로 발생하며, 이러한 과피의 활용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Cheigh 등 2010).
페놀성 화합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페놀성 화합물은 여러 가지 식물류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flavonoid류가 주를 이루며, 단순한 phenol류, phenolic acid류, phenol성 quinone류 등을 포함한다 (Kim 등 2001). 최근에 이런 페놀성 화합물 등이 항산화(Serafini 등 1996), 항암(Sadzuka 등 1996; Stoner & Mykhtar 1995), 항균(Vijaya 등 1995)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신선편이 농산물의 소비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과 신선 및 천연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가 증가하면서 신선편이 농산물의 소비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Chung 등 2008; Park 등 1998). 이러한 신선편이 농산물은 생산 단계에서 세척, 박피 및 절단 등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절단 전의 세포에 비하여 호흡이 빠르고, 미생물의 침입에 대한 저항성이 약화되기 쉬우며 산화적 갈변을 일으키기 쉽다(Wiley 1994). 수확 후 가공 처리되는 과정에서 과일 및 채소류의 조직이 손상되어 일어나는 갈변은 품질 손실에 중요한 요인이 되며(Hur J 2007; Vamos-Vigyazo L 1981), 이는 식물 내에 들어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이 산소의존재 하에 polyphenol oxidase(PPO)에 의해서 퀴논 화합물로 산화된 후에 일련의 산화반응을 거쳐 중합체인 갈색 색소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wang 등 2010; Kim YA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hn SC, Lee GC. 2005. Effects of antibrowning agents on browning of apple slice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24-31 

  2. Bocco A, Cuvelier ME, Richard H, Berset C.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sition of citrus peel and seed extracts. J Agric Food Chem 46:2123-2129 

  3. Cheigh CI, Jung WG, Chung EY, Ko MJ, Cho SW, Lee JH, Chang PS, Park YS, Paik HD, Kim KT, Chung MS. 2010. Comparison on the extraction efficienc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 from citrus peel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ood Engineering Progress 14:166-172 

  4.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23-727 

  5. Chung HS, Toivonen P, Moon KD. 2008. Combined effects of vanillin and antibrowning agent on changes of quality and microorganisms in fresh-cut apples. Korean J Food Preserv 15:385-389 

  6. Coleman MN, Soum MH, Boivin P, Berset C. 1990. Antioxidant activity of barley and mait: Relationship with phenolic content. Lebensm Wiss Technol 29:238-242 

  7. Dennis D, Miller JW. 1998. Enzymatic Browning. In: Kinetics of Tyrosinase. Chapman & Hall, Inc. New York pp.44-49 

  8. Florence CRF, Pascale MG, Jacques JN. 1992. Cysteine as an inhibitor of enzymatic browning. 2 Kinetic studies. J Agric Food Chem 40:2108-2113 

  9. Gulcin I.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caffeic acid (3,4-dihydroxycinnamic acid). Toxicology 21:213-220 

  10. Hattori M, Namba T, Hara Y. 1990. Effect of tea polyphenols on glucosyltransferase from Streptococcus mutans. Chem Pharm Bull 38:717-720 

  11. Hur J. 2007. Effect of citrate and phosphate on the inhibition of browning in minimally processed potato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3:254-259 

  12. Hwang TY, Sohn KH, Lim JH, Moon KD. 2010. Antibrowning effects of Licorice extracts on chopped garlic. Korean J Food Preserv 17:160-164 

  13. Jung SW, Lee NK, Kim SJ,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891-896 

  14. Kang JH, Duk CJ, Kim KJ, Seo JS, Byun MW. 2003 Physical activities of citrus peel 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gamma irradiation. Korean J Food Preserv 10:388-393 

  15. Kim HK, Choi YJ, Kim KH. 2002.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 assisted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013-1017 

  16.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80-85 

  17. Kim HS, Han MR, Kim AJ, Kim MH. 2001.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for pesticides removal in mangarine orange peel by ultraviolet rays and photocatalytic materials. Food Engineering Progress 15:28-33 

  18. Kim HW, Bae SK. 2002. The effect of antibrowning agents on enzymatic reaction in apple concentr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54-458 

  19. Kim MH, Kim MC, Park JS, Kim JW, Lee JO. 200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plants used as tea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12-18 

  20. Kim YA. 1998. Effects of antibrowning agents on the browning reaction of enzymatic garlic hydrolyz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201-206 

  21. Kim YD, Kim YJ, Oh SW, Kang YJ, Lee YC.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Citrus sudachi juice and peel. J Korean Food Sci Technol 31:1613-1618 

  22. Lee GC, Ahn SC. 1997. Inhibition effect of several cereal extracts on enzymatic browning. Korean J Soc Food Sci 13:390-395 

  23. Lee MK, Kim YM, Kim NY, Kim GN, Kim SH, Bang SH, Park I. 2002. Prevention of browning in potato with a heat-treated onion extract. Biosci Biotech Biochem 66:856-858 

  24. 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1997. Composition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5:847-853 

  25. Manthey JA, Grohmann K. 2001. Phenolics in citrus peel byproducts. Concentrations of hydroxycinnamates and polymethoxylated flavones in citrus peel molasses. J Agric Food Chem 49: 3268-3273 

  26. Mondy NI, Munski CB. 1993. Effect of boron on enzymatic discoloration and phenolic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potatoes. J Agric Food Chem 41:554 

  27. Ohmori Y, Kishi M, Mizutani H, Katada T, Konishi H. 1995. Antiallergic constituents from oolong tea stem. Biol Pharm Bull 18:683-686 

  28. Oszmianski J, Lee CY. 1990. Inhibition of polyphenol oxidase activity and browning by honey. J Agric Food Chem 38: 1892-1895 

  29. Park WP, Cho SH, Lee DS. 1998. Screening of antibrowning agents for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278-282 

  30. Ramatahman N, Osawa T, Ochi H, Kawakishi S. 1995.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s Food Sci Tech 6:75-82 

  31. Rhyu MR, Kim EY, Bae IY, Park YK. 2002. Content of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in premature Korean citrus fruits. J Korean Food Sci Technol 34:132-135 

  32. Rupasinghe HPV, Murr DP, Dell JR, Odumeru J. 2005. Effects of 1-methylcyclopropene(1-MCP) and NatureSeal on the quality of fresh-cut apples. J Food Quality 28:289-307 

  33. Sadzuka Y, Sugiyama T, Miyagishima A, Nozawa Y, Hirota S. 1996. The effects of theanine, as a novel biochemical modulator,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adriamycin. Cancer Lett 105:203-209 

  34. Santoru K, Kazuhiko T, Nori M, Jinetsu U. 2002. Antioxidative activitiy of apple skin or flesh extracts associated with fruit development on selected apple cultivars. Scient Horticul 96:177-185 

  35. Sapers GM, Miller RL. 1992. Enzymatic browning control in potato with ascorbic acid-2-phosphate. J Food Sci 57:1132 

  36. Seong HM, Seo MS, Kim SR, Park YK, Lee YT. 2002. Characteristics of barl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775-779 

  37. Serafini M, Ghiselli A, Ferro-Luzz A. 1996. In vivo antioxidant effect of green and black tea in man. Eur J Clin Nutr 50:28-32 

  38. Son SM, Moon KD, Lee CY. 2000. Rhubarb juice as a natural antibrowning agent. J Food Sci 65:1288-1289 

  39. Stoner GD, Mykhtar H. 1995. Polyphenols as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J Cell Bio Chem 22:169-180 

  40. Vamos-Vigyazo L. 1981. Polyphenol oxidase and peroxidase in fruits and vegetables. CRC Crit Rev in Food Sci Nutr 15:49-127 

  41. Vijaya K, Ananthan S, Nalini R. 1995. Antibacterial effect of theaflavin, Polyphenon 60(Camellia sinensis) and Euphorbia hirta on Shigella spp. J Ethnopharmacol 49:115-118 

  42. Weller A, Sims CA, Matthews RF, Bates RP, Brecht JK. 1997. Browning susceptibility and changes in composition during storage of carambola slices. J Food Sci 62: 256 

  43. Wiley RC. 1994. Minimally Processed Refrigerated Fruits and Vegetables. Chapman & Hall, Inc. New York, pp.1-14 

  44. Wong JY, Chey FY. 2009. Antioxidant properties of selected tropical wild edible mushrooms. J Food Comp Anal 22: 269-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