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 섭취 흰쥐에서 양파 껍질 추출물의 보충 섭취가 혈중 지질농도와 혈행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nion Peel Extracts on Blood Lipid Profile and Blood Coagulation in High Fat Fed SD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3, 2011년, pp.442 - 450  

정혜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양팀) ,  신민정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 본 연구는 고지방 섭취 동물 모델에서 양파 추출물을 용량별(0.01%, 0.02%, 0.05%, 0.1%)로 8주간 보충 섭취시킨 후 혈중 지질 농도와 혈행 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2. 양파 껍질 추출물 섭취에 따라 total cholesterol과 HDL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은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분석 결과 LDL-cholesterol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고지방 대조군 및 고지방+양파 껍질 추출물 그룹이 유의하게 높았고, 고지방 대조군 대비 0.1% 양파 껍질 추출물 섭취군의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HDL-cholesterol은 정상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가 양파 껍질 추출물 섭취에 따라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3. Hematocrit, WBC, RBC, platelet count, MPV, MCV, MCH, MCHC 등 혈액학적 지표는 처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emoglobin의 경우, ANOVA 분석 시 군간 유의한 평균값의 차이를 보였으나, Bonferroni correction을 통한 사후분석 결과 각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혈액 응고 지표로 분석된 PT, aPTT, TT와 fibrinogen은 ANOVA 분석 시 모든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t-test 결과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0.05% 양파 추출물 첨가군에서 aPTT가 유의적으로 연장되었다. 5. 체중 증가의 cut-off에 따라 low gainer와 high gainer로 나누어 항혈전 지표를 비교한 결과, high gainer에서는 0.01%, 0.02%, 0.05% 양파 추출물 섭취군이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PT와 aPTT가 전반적으로 길어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6. 이상의 결과에서 고지방 섭취 동물 모델에서 용량별 양파 추출물 첨가는 혈중 지질 농도에 영향을 주는 한편, 혈액응고시스템에 현저한 변화를 유발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0.05% 양파 추출물 첨가 시aPTT의 유의적인 증가는 양파 추출물이 내인성 혈액 응고시스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향후 비만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다양한 농도 범위의 양파 보충의 효과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mer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ietary flavonoids contribute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Onion contains many functional phytochemicals such as quercet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nion peel extracts supplementation affect blood lipid profiles and blood coagulation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본 연구는 고지방 섭취 동물 모델에서 양파 추출물을 용량별(0.01%, 0.02%, 0.05%, 0.1%)로 8주간 보충 섭취시킨 후 혈중 지질 농도와 혈행 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 동물 모델에서 양파 추출물 용량별 투여가 혈액학적 분석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Table 2). 그 결과, Hematocrit, WBC, RBC, platelet count, MPV, MCV, MCH, MCHC은 6군간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고지방 식이 및 양파 추출물 첨가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이는 양파 추출물 첨가가 혈액 응고를 지연시켜 혈행 장애 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이 부분적으로 있음을 보여주며,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혈액개선 평가를 위해 측정한 혈액 응고 지표인 PT와 aPTT는 혈액 응고 시스템중 extrinsic pathway와 intrinsic pathway를 각각 반영하는 지표로 항혈전 효과 추정을 가능케 한다. 외인성 응고계의 선별검사인 PT는 Ca2+이 포함된 tissue-thromboplastin을 혈장에 넣어 응고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외인성 응고계에 작용하는 혈장 응고인자 II, V, VII, X과 섬유소원 등의 농도 및 기능을 평가 하기 위해 이용된다.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섭취 흰쥐를 이용한 동물 모델에서 quercetin을 지표물질로 하는 양파 껍질 추출물 보충이 혈중 지질농도와 혈행 장애 개선 효과를 지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지질 강하 측면에서는, 고지방 대조군 대비 0.
  • 한편, 본 연구에서는 양파 껍질 추출물의 혈행 개선에 대한 잠재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유의한 혈행 개선 효과를 보이지 않아 선행 연구 결과들과 차이를 보였다. 이는 연구기간이나 연구 모델 등에서 부분적으로 원인을 찾을 수 있겠는데, 본 연구에 사용된 동물 모델은 흰쥐에게 고지방 식이를 투여하여 체중 증가를 유발함으로써 일정 수준의 thrombotic state를 유도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식이섭취량에 비해 체중증가량으로 평가되는 식이섭취효율은 고지방 및 양파 껍질 추출물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고지방 식이를 통해 기대수준만큼의 체중 증가를 유도하지는 못한 것이 부분적으로 연구결과에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 또한 quercetin은 간에서 지방생합성과 중성지방의 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간에서의 VLDL-TG 형성을 저해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Gnoni 등 2009). 이러한 결과는 양파의 섭취와 만성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부여하는 한편,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 이러한 자료들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섭취 흰 쥐에서 quercetin을 지표 물질로 하는 양파 껍질 추출물의 용량별 보충 섭취가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한편, 혈액 응고 및 혈액학적 지표의 변화 등 혈행 장애 개선 효과를 지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행 장애란? 고지혈증은 심혈관 질환의 대표적 위험요인으로서 혈중 LDL-cholesterol 농도는 심혈관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에 큰 영향을 끼친다(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2002). 또한 혈행 장애는 혈류의 항상성이 파괴된 상태로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혈관 내 지혈 작용과 억제 작용이 균형을 이루며, 정상적인 혈류의 흐름을 유지한다. 그러나 혈액 응고 인자가 지나치게 활성화되거나 혈소판 응집이 촉진되면 혈류의 항상성이 깨지면서 혈행 이상이 발생되고, 그 결과 혈전증(thrombosis) 및 색전증(embolism)이 초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un EJ 2003).
혈중 LDL-cholesterol 농도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따라서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와 의료비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을 조기에 예방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고지혈증은 심혈관 질환의 대표적 위험요인으로서 혈중 LDL-cholesterol 농도는 심혈관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에 큰 영향을 끼친다(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2002). 또한 혈행 장애는 혈류의 항상성이 파괴된 상태로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혈관 내 지혈 작용과 억제 작용이 균형을 이루며, 정상적인 혈류의 흐름을 유지한다.
양파의 지질 강하와 혈행 개선 효과는 어떤 성분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어지는가? 따라서 양파의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과 만성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실제 몇몇 선행 연구들을 통해 양파 섭취가 지질대사와 혈행 개선에 미치는 영향이 보고된 바 있다. 예를 들면 25 ㎎ quercetin을 함유한 양파 가루 섭취가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를 감소시킴을 동물실험(Lee 등 2008)과 고지혈증 환자 대상 임상실험을 통해 보고하였다(Lee 등 2010b). 다른 실험 연구들에서는 quercetin이 세포 수준에서 oyxgen free radical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고(Cai 등 1997), 저밀도 지단백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며 hydrogen peroxide에 의해 유도되는 DNA 손상을 저해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Duthie 등 1997; Noroozi 등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li M, Thomon M, Afzal M. 2000. Galic and onions: their effect on eicosanoids metabolism and its clinical relevance.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52:55-73 

  2. Azuma K, Minami Y, Ippoushi K, Terao J. 2007. Lowering effects of onion intake on oxidative stress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Clin Biochem Nutr 40:131-140 

  3. Block E, Naganatha S, Putman D, Zhao S. 1992. Allium chemistry: HPLC analysis of thiosulfinates from onion, galic, chive and Chinese chives. Uniquely high allyl to methylrations in some garlic samples. J Agric Food Chem 40:2418-2430 

  4. Block E. 1986. Antithrombotic organosulfur compounds from galric. J Am Soc 108:1045-1050 

  5. Cai Q, Rahn RO, Zhang R. 1997. Dietary flavonoids, quercetin, luteolin and genistein, reduce oxidative DNA damage and lipid peroxidation and quench free radicals. Cancer Lett 119:99-107 

  6. Campos KE, Diniz YS, Cataneo AC, Faine LA, Alves MJ, Novelli EL. 2003. Hypoglyca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onion, Allium cepa: Dietary onion add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hypoglycaemic effects on diabetic rats. Int J Food Sci Nutr 54:241-246 

  7. Cho EY, Bae SJ, Yoo HJ, Chang YS, Lee JH. 2003. Effect of obesity on blood coagulation factors. Abstract 128,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Nutrition 

  8. Chung JH. 2010. Establishment of functionality evaluation system for the homeostasis of health functional food. http://kfda. go.kr/index.kfda?mid102&seq709&cmd. Cited 2010.08.18 

  9. Duarte J, Perez-Palencia R, Vargas F, Ocete MA, Perez-Vizcaino F, Zarzuelo A, Tamargo J. 2001. Antihypertensive effects of the flavonoid querceti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Br J Pharmacol 133:117-124 

  10. Duthie SJ, Collins AR, Duthie GG, Dobson VL 1997. Quercetin and myricetin protect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strand breaks and oxidized pyrimidines) in human lymphocytes. Mutat Res 393:223-231 

  11. Fontana L, Eagon JC, Trujillo ME, Scherer PE, Klein S. 2007. Visceral fat adipokine secretion is associated with systemic inflammation in obese humans. Diabetes 56:1010-1013 

  12. Formica JV, Regelson W. 1995. Review of the biology of quercetin and related bioflavonoids. Food Chem Toxicol 33:1061-1080 

  13. Gnoni GV, Paglialonga G, Siculella L. 2009. Quercetin inhibits fatty acid and triacylglycerol synthesis in rat-liver cells. Eur J Clin Invest 39:761-8 

  14. Guglielmone HA, Agnese AM, Nunez Montoya SC, Cabrera JL. 2002. Anticoagulant effect and action mechanism of sulphated flavonoids from Flaveria bidentis. Thromb Res 105:183-188 

  15. Hermann K. 1976. Flavoniod and flavones in food plants, A review. J Food Tec 11:433 

  16. Hung H. 2007. Dietary quercetin inhibits proliferation of lung carcinoma cells. Forum Nutr 60:146-157. 

  17. Igarashi K, Ohmuma M. 1995. Effects of isorhamnetin, rhamnetin, and quercetin on the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and lipoperoxide in the serum and liver and on the blood and liver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of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59:595-601 

  18. Joo ST, Hur JI, Lee JR, Kim DH, Ha HR, Park GB. 1991. Influence of dietary onion peel on lipid oxidation, blood characteristics and antimutogenicity of pork during storage. Kor J Anim Sci 41:671-678 

  19. Kamada C, da Silva EL, Ohnishi-Kameyama M, Moon JH, Terao J. 2005. Attenua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hyperlipidemia by quercetin glucoside in the aorta of high cholesterol fed rabbit. Free Radic Res 39:185-194 

  20. Kim SK, Kim MK. 2004. Effect of dried powders of ethanol extracts of onion flesh and peel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and antithrombogenic capacities in 16-month-old rats. Korean J Nutr 37:623-632 

  2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1), pp. 24-31 

  22. Lanza F, Beretz A, Stierle A, Corre G, Cazenave JP. 1987.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prevent aggregationof human platelets by raising cyclic AMP andreducing cytoplasmic free calcium mobilization. Thromb Res 45:477- 484 

  23. Lee HJ, Lee KH, Cha YJ, Park EJ, Shin MJ. 2010a. Effects of onion peel extracts on blood circulation in male smok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790-1799 

  24. Lee HJ, Lee KH, Park EJ, Chung HK. 2010b. Effect of onion extracts on serum cholesterol in borderline hypercholesterolemic particip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783-1789 

  25. Lee KH, Kim YH, Park EJ, Hwang HJ. 2008: Effect of onion powder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in high fatcholesterol fed SD rats. J Food Sci Nutr 13:71-76 

  26. Lee KH, Park E, Lee HJ, Kim MO, Cha YJ, Kim JM, Lee H, Shin MJ. 2011. Effects of daily quercetin-rich supplementation on cardiometabolic risks in male smokers. Nutr Res Prac 5:28-33 

  27. Miean KH, Mohamed S. 2001. Flavonoid(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s. J Agric Food Chem. 49:3106-3112 

  28. Moon CH, Jung YS, Kim MH, Lee SH, Baik EJ, Park SW. 2000. Mechanism for antiplatelet effect of onion: AA release inhibition, thromboxane A2 synthase inhibition and TXA2/ PGH2 receptors blockade.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62:277-284 

  29.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3143-3421 

  30. Noh KH, Park CM, Jang JH, Shin JH, Cho MK, Kim JO, Song YS. 2009. Effects of nattokinase fibrinol supplementation on fibrinolysis and atherogenesis. J Life Science 19:289-298 

  31. Noroozi M, Angerson WJ, Lean ME. 1998. Effects of flavonoids and vitamin C on oxidative DNA damage to human lymphocytes. Am J Clin Nutr 67:1210-1218 

  32. Odbayar TO, Badamhand D, Kimura T, Takashi Y, Tsushida T, Ide T. 2006. Comparative stud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 (quercetin, rutin, and ferulic acid) affecting hepaticfatty acid synthesis in mice. J Agric Food Chem 54:8261-8265 

  33. Park JH, Kim JM, Park YJ, Lee KH. 2008. Effect of chungkukjang addded with onion on lipid and antioxidant metabolisms in rats fed high fat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44-1250 

  34. Ra KS, Suh HJ, Chung SH, Son J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95-600 

  35. Ramos FA, Takaishi Y, Shirotori M, Kawaguchi Y, Tsuchiya K, Shibata H, Higuti T, Tadokoro T, Takeuchi M. 2006.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quercetin oxidation products from yellow onion(Allium cepa) skin. J Agric Food Chem 54:3551-3557 

  36. Samad F, Yamamoto K, Loskutoff DJ. 1996. Distribution and regulat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in murine adipose tissue in vivo. Induction by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lipopolysaccharide. J Clin Invest 97:3746 

  37. Tzeng SH, Ko WC, Ko FN, Teng CM. 1991.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by some flavonoids. Thromb Res 64: 91-100 

  38. Vidyashankar S, Sambaiah K, Srinivasan K. 2010. Regression of preestablished cholesterol gallstones by dietary garlic and onion in experimental mice. Metabolism 59:1402-12 

  39. Yun EJ. 2003. Effects of exercise on blood coagulation and anticoagulants. MS Thesis. Sungkyunkwan Uni.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