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한.미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5 no.3, 2011년, pp.63 - 81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research. Because the United States has developed and maintained its own culture, this was an appropriate country to compare to Korea in terms of social...

주제어

참고문헌 (60)

  1. 곽재석 역(2009). 다문화사회 미국의 이민자 통합정책. 서울: 내일을 여는 지식정치. Fix, M.(ed.) (2007). Securing the Future: The US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A Reader. Washington, D.C.: Migration Policy Institute and the Bertelsmann. 

  2. 구차순(2007).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 319-359. 

  3. 김민재(2009). 미국의 이민자 사회통합정책 벤치마킹을 통한 국내거주 외국인의 지역사회 통합방안 연구. 서울: 행정안전부 교육훈련 정보센터. 

  4. 김선영(2009). 한국과 독일의 다문화 비교: 다문화정책 환경과 정책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9(1), 175-194. 

  5. 김오남(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33-44. 

  6. 김오남.김경신.이정화(2008). 결혼이민자 남편의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69-84 

  7. 김연수(2008).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탄력적 부모 되기 프로그램' 적용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4, 189-222. 

  8. 김영란(2006).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 45(1), 143-189. 

  9. 김영옥(2007). 새로운 '시민들'의 등장과 다문화주의 논의. 아시아여성연구, 46(2), 129-160. 

  10. 김혜숙(2005).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주의: 열린 주체 형성의 문제. 철학연구, 76, 203-219. 

  11. 김혜순(2008).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한국사회학, 42(2), 36-71. 

  12. 문경희(2006). 국제경혼 이주여성을 계기로 살펴보는 다문화주의와 한국의 다문화상. 21세기정치학회보, 16(3), 68-93. 

  13. 박명선(2007). 독일 이민법과 통합정책의 외국인 차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41(2), 271-303. 

  14. 박병섭(2009). 다문화주의에 관한 철학적 연구. 사회와철학연구회, 18, 291-356. 

  15. 법무부 보도자료(2008. 12. 17). 제1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심의.확정 - '외국인과 함께하는 세계 일류국가' 추진을 위한 5개년 계획 - 

  16. 설동훈(2010). 다문화 가족정책의 현황과 과제. 월간복지동향, 138(4), 13-17. 

  17. 양성은(2008). 국제결혼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4, 37-60. 

  18. 양순미(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 여성 부부 중심. 한국농촌사회학회, 16(2), 151-179. 

  19. 양순미.정현숙(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20. 엄한진.이선미(2006). 전지구적 맥락에서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 이민논의. 한국사회학, 8, 1-243. 

  21. 이무영.강기정(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 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2(2), 29-44. 

  22. 이로미.장서영(2010). 다문화국가 이민자 정착 정책 및 지원 서비스 분석: 미국과 캐나다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소, 14(1), 179-208. 

  23. 이영주(2008).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31, 209-236. 

  24. 이윤정(1998). 용광로(Melting Pot) 이론으로부터 샐러드볼(Salad Bowl) 이론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양순미.정현숙(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26. 장자혜.설동훈(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 전국사회학대회논문, 85-85. 

  27. 조상균.이승우.전진희(2008). 다문화가정 지원 법제의 현황과 과제. 전남대학교 5,18 연구소, 8(1), 147-174. 

  28. 주미영(2010). 이민정책을 둘러싼 미국 멕시코 간 갈등과 변화. 중남미연구소, 8, 415-444. 

  29. 최연실(2008). 인구통계자료에 나타난 한국인 국제결혼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279-298. 

  30. 최현실(2009). 다문화가정 증가에 따른 한국 사회통합 정책 연구-중국과 싱가포르의 상호성 원리의 한국 사회에 적용가능성-. 한국민족문화학회, 35, 343-375. 

  31. 한진자, 김용(2010). 문화 다양성과 미국의 신이주민을 위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19-29. 

  32. 행정안전부(2008). 국제결혼이민자 현황. 

  33. 황정미.김이선.이명진.최현.이동주(2007). 한국사회의 다민족, 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4. Berry, J.W., Phinney, J.S., Sam, D.L., & Veddler, PEds.)(2006). Acculturation Identity and adaptation across National Context.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 

  35. Bumbaut, R. G., Foner, N., & Gold, S. J. (1999). Immigration and Immigration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2(9), 1258-1263. 

  36. Castles, S. & Miller, M.J.(2003).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m World. (3rd revised edition). Basingstoke and New York: Palgrave-Macmillan and Guilford Books. 

  37. Chipenda-Dansokho, S. & Hunter, A. (2009). Immigration research: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realities. Family Focus on mmigration/Migration.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F13-F14. 

  38. Chun, K. & Akutsu, P.(2003). Acculturation among ethnic minority families. In Chun, K., Organista, P., & Marin, G. (eds.), Acculturation: advances in theory, measurement and applied research (pp. 95-12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9. Cornelius, W. A. & Tsuda, T. (2004). Controlling Immigration: A Global Perspectiv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40. Harris, K.(1999). The health status and risk behaviors of adolescents in immigrant families. In Hermandez, D. & Charney, E. (eds.), Children of immigrants (pp.286-315).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ress. 

  41. Kelly, M.(2009). An unintended consequence of U.S. "family reunification" immigration policy: keeping families apart. Family Focus on Immigration/Migration.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F11-F12. 

  42. LeMay, M. (2004). U.S. Immigration: a reference handbook Santa Barbara. California: ABC-CLIO, Inc. 

  43. Levin, H. M. & Belfield, C. R.(2002). Families as Contractual partners in Education. UCLA Law Review 49(6), 1799-1824. 

  44. Nguyen, H. H.(2006). Acculturation in the United States. In Sam, D. L. & Berry, J. W.(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Acculturatio Psychology (pp. 311-332).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Phinney, J.S. & Kohatsu, E.L.(1997). Ethnic and racial identity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In Schulenberg, J., Maggs, J. L., & Hurrelmann, K.(Eds.), Health risks and developmental transitions during adolescence(pp. 420-443).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Phinney, J., & Ong, A. (2007).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ethnic identity: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 271-281. 

  47. Pumariega, A. J.(1997). Body dissatisfaction among Hispanic and Asian-American girl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1, 1-19. 

  48. Rogler, L., Cortes, D., & Malgady, R. (1991). Acculturation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status among Hispanics. American Psychologist, 46(6), 585-597. 

  49. Shaub, M. H.(2009). Transitions : Adjustment Strategies of American Immigrants. Lanham, Marylan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50. Szapocznik, J., Kurtines, W. M., & Femandez, T. (1980) Biculturalism and adjustment among Hispanic youth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4, 353-375. 

  51. Trask, B. S.(2009). Migr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transnational famille. Family Focus on Immigration/Migration.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F3-F5. 

  52. U.S. Commission on Immigration Reform (1994). U.S. Immigration Policy: Restoring Credibility. 

  53. Waldfogel, J. & Lahaie, C.(2009). The role of preschool and After-School Policies in Improving the School Achievement of Children of Immigrants. In Lansford, J. E., Deater-Deckard, K., & Bornstein, M. H. Immigrant Families in Contemporary Society (pp. 177-193). NY:The Guilford Press. 

  54. http://en.wikipedia.org/wiki/English_Plus 

  55. www.goe.go.kr/index.asp 

  56. http://www.kiip.kr/ 

  57. http://www.mest.go.kr/web/1236/silkuk/list.do?silkukSeq8&gubun1&selectId1236 

  58. http://www.mogef.go.kr/korea/view/intro/intro03_01.jsp 

  59.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Guide/policyGuide06_04_01.jsp 

  60.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Guide/policyGuide06 04_02.js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