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정책 비교분석
The Local Government Analysis of Muticultural Family Policy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4 no.3, 2010년, pp.37 - 51  

강기정 (백석대학교 기독교복지학과) ,  변미희 (백석대학교 기독교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cal government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For this study, researchers first compared Canada, Australia and Japan and, second, analyzed the foreign policy plan data in Kore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Gyunggi province had many plans for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5년 이후 학계에서는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실태조사와 적응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정책을 비교·분석하는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서비스를 분석함으로써, 즉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캐나다, 호주, 일본의 다문화 가족복지 정책과 서비스를 비교·분석하고,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서비스를 비교하기 위해 제1차 외국인 정책 기본계획자료 (외국인정책위원회, 2009) 중 9개도(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내용분석 하였다.
  • 본고에서는 문화다원주의의 경우 다문화주의와 유사하므로, 다문화주의 유형, 동화주의 유형, 차별 배제유형 등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보다 앞서 이주민을 수용한 예를 통해 통합정책의 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 와 유사한 문화다원주의 유형, 동화주의 유형(Assimilationist Model), 차별배제 유형(Differential Exclusionary Model) 등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설동훈, 2000; 조옥라 외 2006; 한건수, 2006; 최명민 외, 2009). 본고에서는 문화다원주의의 경우 다문화주의와 유사하므로, 다문화주의 유형, 동화주의 유형, 차별 배제유형 등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보다 앞서 이주민을 수용한 예를 통해 통합정책의 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서비스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다문화가족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내용은 차이가 있는가?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정책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구체적으로 무엇이 있는가? 첫 번째로 다문화가족정책은 도입 초기이므로, 타 지역의 정책을 비교ᆞ분석함으로써,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에 대한 정보 습득과 향후 지자체에서 다문화 가족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후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주민의 의도와 요구를 파악하여, 지역의 현실에 적합한 차별적 지방행정을 운영하고 있지만(서재호,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투표권이 없는 경우가 많아, 이들의 욕구가 지방정부의 정책에 반영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다문화 가족정책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는 중앙정부의 다문화 가족정책을 유형화하는 이혜경(2007, 2009)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보고 되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금까지 다문화 가족에 관련한 연구들은 다문화 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와 여성결혼이민자가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들 ‒ 예를 들면 언어문제, 심리부적응, 문화차이, 가족갈등, 빈곤 문제 등 ‒을 밝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등 한국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적 자립을 이루기 위한 자활모델로서의 창업에 관한 연구도 발표되었다(강기정ᆞ변미희).
국제결혼으로 형성된 다문화 가족의 대부분은 어떤 문제에 직면하는가? 국제결혼으로 형성된 다문화 가족의 대부분은 문화의 차이, 언어문제, 경제적 어려움, 자녀양육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강기정ᆞ정천석, 2009). 특히 결혼중개업자에 의한 결혼은 다문화 가족의 적응에 구조적인 문제를 야기하며, 다양한 인권침해의 상황들을 발생하고 있다(08.
다문화 사회에서 통합(inergration)’ 개념을 정의하거나 통합의 대상을 규정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이유는? 다문화 사회에서 이주민이 사회적 원칙과 가치를 존중하고 이에 따라 해당 사회에 통합 되는 것이 통합정책의 기본전제이다. 각 나라별로 이주민을 수용한 배경과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통합(inergration)’ 개념을 정의하거나 통합의 대상을 규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 최근 통합정책의 접근 방식은 이주민을 수동적인 복지 수혜자로 위치 지우기보다는 유입국 사회의 한 부분이 되어 구성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영ᆞ 관리 접근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기정, 변미희(2009). 다문화 가족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련 변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23-136. 

  2. 강기정, 정천석(2009).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정생활 적응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153-167. 

  3. 강휘원(2006).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 요인과 통합 정책. 국가정책연구 20(2), 5-34. 

  4. 김비환(2007).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문제. 다문화사회 한국 사회과학의 과제.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지역 연구소 심포지엄 발표논문집, 61-88. 

  5. 법무부(2008). 결혼이민자 현황. 법무부. 

  6. 서재호(2008). 지방지차단체 실시와 지방자치단체 복지행정기구의 변화에 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2(2), 191-215. 

  7. 설동훈(2006). 한국의 결혼이민자 가족 현황과 정책. 2006년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 학술대회, 1-20. 

  8.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2006). 서울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 복지 네트워크 워크숍 자료집. 

  9. 외국인정책위원회(2008). 제1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2008-2012. 2009년도 중앙부처 시행계획. 

  10. 유정석(2003). 캐나다 ? 다문화주의 제도화의 산실. 민족연구(11), 12-26. 

  11. 이선주, 민무숙, 신현옥, 이태정(2009).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III).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2. 이혜경(2007). 결혼이주자 가족정책 및 서비스 분석 모형. 다문화가족연구. 평택대학교다문화가족센터. 

  13. 이혜경(2009).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5, 147-166. 

  14. 장명선(2009). 폭력피해이주여성 자활지원센터 타당성 검토 및 운영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5. 최명민, 이기영, 최현미, 김정진(2009).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서울 : 학지사. 

  16.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충남여성포럼(2007).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지역사회의 과제. 제12회 여성주간 충남여성정책개발원 8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17. 통계청(2007-2008). 인구동태(혼인). www.nso.go.kr. 

  18.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2007). 한국사회와 다문화가족. 서울 : 양서원. 

  19.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20. Goldberg, David(ed). 1994. Multiculturalism: A Critical Reader. New York : Blackwell. 

  21. Wliiett, Cynthia(ed.). 1998. Theorizing Multiculturalism: A Guide to the Current Debate. New York : Blackwe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