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Ways to Improv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4, 2011년, pp.422 - 434  

곽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경우 교사들 스스로 과학개념이나 내용에서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이렇듯 초등교사들이 과학에 부담을 느끼고 과학내용지식에 부족함을 느끼는 상태에서 수업을 하게 되면, 좋은 수업이나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수업이 되기는 어렵다고 경력교사들은 지적하였다. 이러한 초등학교 수업의 전반적인 특징과 초등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에 대한 문제의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등교사와의 면담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과학을 가장 선호하다가 고학년이 되면서 과학을 가장 기피하는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활동이나 실험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hands-on 활동에 머물지 않고 minds-on 활동을 만드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초등 과학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교사의 과학내용전문성 재교육의 필요성, 초등과 중등 간의 교류의 필요성,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공식적인 입문 프로그램의 필요성, 초등학교 5, 6학년의 경우 교과전담 체제 도입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수업 내실화를 위해 요청되는 초등학교 현직교사 연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and ways to improve it. I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teachers themselves tend to have science misconceptions and insufficient science content knowledge. Experienced teachers argued that it cou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의 주요 목적은? 학교급을 막론하고 과학교육의 주요 목적은 자연세계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알고, 활용하고, 해석하며, 과학적 증거와 설명을 생성하고 평가하고, 과학지식의 본성과 발달을 이해하고, 과학적 실천과 담론에 생산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갖춘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NRC, 2007). 초·중등을 막론하고 과학교육의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초등학교 과학수업 내실화를 위해 요청되는 초등학교 현직교사 연수 방안을 결론으로 제언하면? 먼저, 교사들의 학습공동체가 필요하다. 경력교사들은 무엇보다도 교사들끼리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전문가와 초보자의 차이점은 머릿속에 들어있는 명제적 지식에 대한 이해는 별 차이가 없지만 너무 많은 다양성과 불완전성이 존재하는 실제 현실세계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방식에서 차이가 난다고 한다. 즉, 실제상황에서 직면한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하는 방식에서 전문가와 초보자의 차이가 드러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교사들은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각자가 지닌 실천적 지식의 완성도를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 교사들끼리 소통의 방편으로 관심있는 교사들끼리의 모임이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교사들로 구성된 실천공동체가 수업 개선 및 학생들의 학습개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Wenger, 1998). 교사들로 구성된 실천공동체를 통해 반성적 실천의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천공동체에서 교사들은 학습단원을 공동으로 준비하고, 학생 활동이나 녹화된 수업비디오를 분석하며, 서로를 코칭하고 멘토링하게 된다. 이러한 실천공동체가 조직된 경우, 수업개혁을 실천에 옮기고 교사와 학생의 관계 개선은 물론 학생들의 성취도를 개선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르치는 일을 배우는 것은 평생을 통해 학습되고 발전되어나가는 것이다. 여기서 교육대학을 포함하여 교사교육과 재교육의 역할은 교사가 필요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각 교사의 성향에 따라 어떤 교사는 학생들이 못 알아듣고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서 스스로 깨우치기도 하고, 실천에 대한 반성을 통해 배우기도 하고, 실천 공동체에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배우기도 한다(Eggen and Kauchak, 2009; 최승현 외, 2008). 그러므로 연수 등을 통해 교사들에게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제 수업을 중심으로 한 교사연수를 조직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의 학습 및 실천공동체를 구성하되, 수업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학습공동체를 조직할 필요가 있다. 참신한 실험방법이나 도구를 개발하고, hands-on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교사학습 공동체도 의미가 있지만, 이제는 서로의 수업을 공개하고 수업에 대해 이야기할 시점이라고 경력교사들은 말한다. 예컨대 촬영되거나 시범실시된 수업을 중심으로 선후배 교사들이 모여서 서로의 수업에 대해 컨설팅 하는 형태의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과학과 연수는 초등이나 중등을 막론하고 새로운 실험 아이템을 소개하고 실험의 노하우를 공유하는 (심화)실험연수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실험연수라 하더라도 실제 수업맥락에서 어디서 어떻게 실험 활동을 활용할 것인지를 중심으로 연수의 초점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수업을 소재로 하여 동료교사들끼리 컨설팅을 하게 할 경우 교사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언어화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다른 교사들이 해석하는 자기 수업의 목적과 의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서로의 관점을 공론화하는 과정에서 과학수업의 목적이나 초등교육은 이래야 한다는 혼자만의 관점이 여러 사람들의 관점과 피드백에 의해 좀 더 상호주관적인 관점으로 평가되고 수정된다고 한다. 수업을 보여준다는 것은 그 수업이 개선될 여지를 마련한다는 것이고, 수업이 개선되면 결국 해당 교사한테 배우는 학생들이 좋아진다는 것이므로, 수업을 소재로 한 연수는 학생들의 학습기회 개선으로 직결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초등교사들에게 ‘과학을 하는(doing science)’ 기회를 제공하는 교사연수 프로그램이 과학 수업전문성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교사연수를 통해 초등교사들 스스로 과학활동을 체험하고 탐구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교사연수를 통해 교사는 과학의 주요 개념들을 학습하고 과학적 탐구에 참여하는 방법을 터득하며, 동료들과의 구조화된 논의를 통해 그러한 과학수업과 경험을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수업 개선을 위한 교사의 학습이나 전문성 개발은 교사가 실제로 가르치는 과학적 맥락 속에서 조직되어야 한다. 예컨대 과학내용 전문성을 갖춘 초등교사가 부족한 실정을 고려할 때 초등교사 과학수업 연수에서 과학 교사교육자나 자격을 갖춘 전문 교사들의 참여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끝으로 경험에 대한 반성적 실천의 기회를 제공하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교직의 특성상 머릿속으로나 이론적으로는 수업은 어떠해야 된다는 것을 많이 알더라도 실제 실천을 통해서 경험적 지식을 쌓아나갈 필요가 있다고 경력교사들은 지적하였다. 실천이나 경험이 뒷받침되지 않은 공허한 이론만 전달하거나, 경험의 의미에 대해 반추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실습 위주의 연수로는 효과가 적고, 이론과 실천을 결합한 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실전에서 자신이 가진 이론과 실천을 연계할 공간이 필요하며, 학습공동체라는 교사문화를 통해 이러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습공동체 내에서 경력교사가 저경력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시간에 경험한 것을 토대로 이야기해주고 저경력교사들이 시도해볼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 시행착오를 겪지 않도록 해주면 좋을 것이다. 예컨대 탐구를 어떻게 지도하는지, 정말 잘하는 좋은 수업이 무엇인지 등 수업을 볼 수 있거나 수업을 하는 교사에게 무언가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교사들은 강조하였다(최승현 외, 2008). 따라서 현직 연수를 통해 교사들의 실제 경험을 이론적 렌즈로 재조명해보거나, 반성적으로 들여다볼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PCK의 의미는? 교과교육학 지식 또는 내용교수 지식으로 번역되는 PCK로 대변되는 것은 교과영역 별 내용전문가와 차별화되는 교직의 전문성을 규명하고, 일반 교육학 지식(Pedagogical Knowledge, PK)과 차별화되는 교과별 교사지식의 특징을 포착하여 교사가 지닌 고유한 전문성이 있음을 보여주려는 것이다(최승현 외, 2008). 따라서 PCK는 특정 교과내용을 가르치는 데 요구되는 전문성을 의미한다. 교사만이가지고 있는 고유한 전문성의 한 형태인 PCK는 교과별 교사 전문성의 요체로 간주되므로, 경쟁력 있고 전문성을 갖춘 교과 교사를 정의하는 핵심적인 구인이다(민희정 외, 2010; 임청환, 2003; Magnusso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민희정, 박철용, 백성혜, 2010,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437-451. 

  2. 박성혜, 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671-683. 

  3. 이화진, 홍선주, 권점례, 상경아, 2007, 초등 초임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 자료 개발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7-4-1, 267 p. 

  4. 임청환, 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4, 258-272. 

  5.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618-632. 

  6. 최승현, 강대현, 곽영순, 장경숙, 2008,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II)-중등 초임교사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8-3, 402 p. 

  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멘토링 체제 연구-국어, 사회,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9-7, 394 p. 

  8. 홍미영, 2008, 국내외 교실 학습 연구(II)-우리나라, 핀란드, 호주의 중학교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8-1-1, 177 p. 

  9. Coke, P.K., 2005, Practicing what we preach: An argument for cooperative learning opportuniti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ors. Education, Winter 2005, 126, 392-398. 

  10. Duschl, R. and Osborne, J., 2002, Supporting and promoting argumentation discours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8, 39-72. 

  11. Eggen, P.D. and Kauchak, D.P., 2009,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8th ed.). Prentice-Hall, NJ, USA, 515 p. 

  12. Hashweh, M.Z., 1987, Effects of subject-matter knowledge in the teaching of biology and physic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 109-120. 

  13. Hill, H.C., Rowan, B., and Ball, D.L., 2005, Effects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2, 371-406. 

  14. Lehrer, R., Carpenter, S., Schauble, L., and Putz, A., 2000, Designing classrooms that support inquiry. In Minstrell, J. and Zee, E.V. (eds.), Inquiring into inquiry learning and teaching in 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Washington, D.C., USA, 80-99. 

  15. Lemke, J.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NJ, USA, 276 p. 

  16. Magnusson, S., Krajcik, J., and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CK. In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Dordrecht, Netherlands, 95-132. 

  17. Martin, M.O., Mullis, I.V.S., Gonzalez, E.J., and Chrostowski, S.J., 2004, Findings From I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h Grades. TIMSS and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MA, USA, 467 p. 

  18. Metz, K.E., 2004,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Their conceptualization of uncertainty in investigations of their own design. Cognition and Instruction, 22, 19-290. 

  19. Mortimer E. and Scott, P., 2003,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Open university press, Berkshire, England, 160 p. 

  20.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348 p. 

  21. Sanders, L.R., Borko, H., and Lockard, J.D., 1993, Secondary science teachers knowledge base when teaching science courses in and out of their area of certifi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 723-736. 

  22. Shulman, L.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23. Shulman, L.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1. 

  24. Smith, C.L., Maclin, D., Houghton, C., and Hennessey, M.G., 2000, Sixth-grade students' epistemologies of science: The impact of school science experiences on epistemological development. Cognition and Instruction, 18, 285-316. 

  25. Thagard, P., 1992, Conceptual revolution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NJ, USA, 310 p. 

  26. van Esa, E.A. and Sherinb, M.G., 2008, Mathematics teachers' "learning to notice" in the context of a video club.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 244-276. 

  27.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USA, 336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