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료전지 항공기를 위한 고체상태 NaBH4의 수소발생 및 연료전지 구동 특성
Characteristic of Hydrogen Generation from Solid-State NaBH4 and Fuel Cell Operation for Fuel Cell Aircraft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39 no.9, 2011년, pp.858 - 865  

이충준 (조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대학원) ,  김태규 (조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연료전지 항공기를 위한 고체상태 $NaBH_4$의 수소발생 및 연료전지 구동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수소 저장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고체상태 $NaBH_4$염산을 반응시켜 수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양한 반응 조건에서 고체상태 $NaBH_4$의 수소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고체 $NaBH_4$의 수소 발생률은 염산의 주입속도와 농도에 영향을 받지만, 환경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료전지를 고체 $NaBH_4$ 수소 발생기에 연결하였다. 전기적 부하가 서서히 혹은 급격히 증가하여도 안정적인 출력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n generation from solid-state $NaBH_4$ and fuel cell operation for fuel cell aircraft. The solid-state $NaBH_4$ was used for a high hydrogen storage density, and was reacted with hydrochloric acid to generate hydrogen. The hyd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염산의 주입속도 및 농도에 의한 수소발생 성능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나, 이는 모두 가수분해라는 화학반응이며, 일반적으로 화학반응은 주변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본 연구 목표 대상인 항공기의 운용 특성을 고려해보면, 항공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 태양의 복사열과 같은 환경 온도라는 요소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외적으로도 고체상태의 NaBH4를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하여 고체상태의 NaBH4에서 수소를 얻는 방법과 그에 따른 수소 발생 성능 변수와 더불어 이를 통한 연료전지의 구동 가능성, 기본적인 작동 특성을 확인하여 고체상태의 NaBH4를 직접 이용하여 수소 저장밀도를 높이는 방법과 연료전지 항공기에 적용을 위한 연구의 기본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수소 연료전지 항공기의 체공시간 향상 및 비행효율 증가를 위해 연료원인 수소의 저장밀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서 기초 연구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 앞선 실험에서 일정속도 이하의 주입속도에서는 고체상태의 NaBH4수소 분해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한 주입속도를 기준으로 염산의 농도를 변화시켜 수소 분해 성능이 변화하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 연료전지 구동실험에 앞서, 전지 자체의 기본 구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고압 수소 저장용기에서 수소를 공급하여 그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은 약 1W의 출력을 20분 이상 유지하는 수소 유량을 확인하는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작동결과 중 하나를 그림 6에 정리하였다.
  • 급격하게 부하가 증한 경우도 앞서 수행한 순차적인 부하 증가 실험과 비교하면, 최대 1V정도의 추가적인 전압강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압강하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출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실제 시스템으로 구성될 경우 급격한 전압강하로 인하여 전체적인 출력이 저하되는 상황을 불러오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해결책을 찾고, 수소 발생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까지 연료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수소의 저장방법인 액화저장, 고압저장, 수소 저장 합금을 이용한 저장 방법을 항공기에 적용하기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 연료전지를 탑재한 항공기의 장시간 비행 성능 혹은 비행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는 에너지 저장 밀도를 높이는 방법이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연료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수소의 저장방법을 살펴보면 액화저장, 고압저장, 수소 저장 합금을 이용한 저장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는 모두 위험성 혹은 부수적인 시스템으로 인한 무게 증가, 단가 및 유지비 상승과 같은 문제가 뒤따르기 때문에 항공기에 적용하기에는 적절한 해답이 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 들어 NaBH4(Sodium Borohydride, 수소화붕소나트륨)라는 수소화물이 주목을 받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를 처음 소개한 사람은 누구인가? 1839년 윌리엄 그로브에 의해 처음으로 수소연료전지가 소개되어 20세기 초를 거쳐 그 개념이 확립되었다. 그 후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인류의 새로운 도전, 우주개척을 통해 연료전지의 숨겨진 가능성이 발견되지만 당시 풍부하고 인프라가 잘 구축된 화석연료로 인하여 연료전지는 특수 분야를 제외하고는 관심대상에서 멀어지게 된다.
20세기 중반, 우주개척을 통해 연료전지의 숨겨진 가능성이 발견되어도 관심받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1839년 윌리엄 그로브에 의해 처음으로 수소연료전지가 소개되어 20세기 초를 거쳐 그 개념이 확립되었다. 그 후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인류의 새로운 도전, 우주개척을 통해 연료전지의 숨겨진 가능성이 발견되지만 당시 풍부하고 인프라가 잘 구축된 화석연료로 인하여 연료전지는 특수 분야를 제외하고는 관심대상에서 멀어지게 된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인류는 고갈되어 가는 화석연료와 지구환경과의 공존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끌어안게 되었고, 이에 대한 돌파구로 연료전지의 높은 에너지 효율과 수소를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특성을 재조명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A. Zuttel., "Materials for Hydrogen Storage", materialstoday, Sept. 2003, pp. 24-33. 

  2. 김태규, 이기성, 권세진, "연료전지 무인 항 공기 설계 및 시험 결과", 한국항공우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2009, pp. 508-511. 

  3. 김태규, "소형 연료전지 무인기용 수소발생 장치의 성능시험",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10 년도 춘계학술대회, 2010, pp. 126-129. 

  4. S. Murugesan and V. Subramanian, "Effects of acid accelerators on hydrogen generation from solid sodium borohydride using small scale devices", J Power Sources, 187 2009, pp. 216-223. 

  5. Moore JM, Adcock PL, Lakeman JB, et al. "The effects of battlefield contaminants on PEMFC performance", Journal of Power Sources, 85(2), 2000, pp. 254-2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