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수소화합물을 이용한 소형 무인항공기용 연료전지 시스템 연구 - I. 경량 수소 발생 및 제어 장치
Fuel cell system for SUAV using chemical hydride - I. Lightweight hydrogen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1 no.3, 2013년, pp.226 - 232  

홍지석 (Korea Aerospace University, School of Aerospace and Mechanical Engineering) ,  정원철 (Korea Aerospace University, School of Aerospace and Mechanical Engineering) ,  김현진 (Korea Aerospace University, School of Aerospace and Mechanical Engineering) ,  이민재 (Korea Aerospace University, School of Aerospace and Mechanical Engineering) ,  정대성 (Korea Aerospace University, School of Aerospace and Mechanical Engineering) ,  전창수 (Korea Aerospace University, School of Aerospace and Mechanical Engineering) ,  성홍계 (Korea Aerospace University, School of Aerospace and Mechanical Engineering) ,  신석재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uel Cell Center) ,  남석우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uel Cell Center)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형 무인항공기의 동력장치로 연료전지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화학수소화합물 수소 저장방법을 이용한 소형 수소 발생 제어장치를 설계하였다. 효율이 높은 소형/경량 수소 발생 제어장치를 설계하기 위하여 $NaBH_4$ 수용액 공급 유량에 따른 Co-B 촉매의 수소 전환율을 확인하였고, 100W 스택의 최대 수소 발생량에 적합한 Co-B 촉매양을 제안하였다. 효율적인 연료 소모를 위해 Dead-end 방식의 스택을 선택하였고, 수소 발생 제어장치 내부 압력을 이용한 펌프 on/off 제어로 수소 생성량을 제어하였다. 소형 수소 발생 제어장치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각 작동구간에서 안정된 운전을 확인하였다. 장시간 운전 실험을 통하여 최대 7시간 운전이 가능하며, 임의의 비행 프로화일에 요구되는 추력 프로화일은 최소 4시간 이상 조정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mpact hydrogen generation device of fuel cell system using chemical hydride storage technique was designed to fit the propulsion device requirement of a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UAV). For high efficient, compact, and lightweight hydrogen generation control device, the Co-B catalyst hydro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에서 요구되는 수소를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촉매 양을 결정하고 수소 전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실험적으로 접근한다. 또 연료전지의 출력에 따른 수소 발생량 제어 방법에 대해 다루고 소형 수소 발생 제어장치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장시간 안정성을 평가하여 무인항공기의 추진시스템으로 적용에 타당한지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형 수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무인항공기의 추진시스템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안정되고 수소 전환 효율이 높은 수소 발생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수소화합물 저장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에는 압축수소 저장법, 액체수소 저장법, 금속 수소화물 저장법, 화학수소화합물 저장법이 있다. 이중에서 화학수소화합물 저장법은 높은 에너지 밀도 및 저장이 용이하고 생성 수소의 순도가 높으며 제어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화학 수소화합물중 NaBH 4 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소 함량(10.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에는 압축수소 저장법, 액체수소 저장법, 금속 수소화물 저장법, 화학수소화합물 저장법이 있다. 이중에서 화학수소화합물 저장법은 높은 에너지 밀도 및 저장이 용이하고 생성 수소의 순도가 높으며 제어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소형/이동용 연료전지 시스템을 무인항공기에 적용한 외국의 사례는? 특히 외국에서는 소형/이동용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에 이미 착수하여 제품화를 이루고 있으며 성능향상 및 신뢰도를 입증하기 위하여 무인항공기에 적용하고 장시간 체공 기록을 경쟁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2003년에 미국 에어로바이런먼트(Aerovironment)사가 액체수소저장방법을 사용 하는 PEM연료전지 시스템으로 시험비행에 성공한 이후 2007년에는 화학수소화합물인 수소화붕 소나트륨(NaBH 4)을 수소 저장방법으로 사용하는 PEM연료전지 시스템을 무인기에 탑재하여 시험 비행에 성공하였다. (1,2) 또한 싱가폴의 Horizon Fuel cell사에서도 소형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였고 독일의 항공우주연구소(DLR)에서 개발한 무인항공기 ‘Hyfish‘에 적용되어 시험비행에 성공한바 있다. 이후 지속적인 연구결과 상용 제품인 ’AEROPAK‘을 개발하여 세계 각 나라의 항공우주연구소에서 소유하고 있는 소형 무인항 공기에 적용하며 시험비행을 수행하고 있다 (3,4) . 국내에서는 2007년 카이스트에서 50 W급 연료전지 무인항공기 연구를 시작 (5) 으로 KIST와 한국항 공대학교, 조선대에서 소형 수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 (6,7,8)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eun-Bae Kim, "Technical Trends for Fuel Cell Aircraft",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Vol 7, Issue 2, 2009, pp. 85-105 

  2. AeroVironment's unmanned aircraft achieves record flight. Fuel Cell Bull, Vol 8, 2007 

  3. Moaad Yacoubi, Christophe Lemone, Antoine Bourguignon and Patrick Hendrick, "Study of the propulsion system of a VTOL MUAV using fuel cells", 9th National Congress on Theoretical and Applied Mechanics, Brussels, 9-10-11, May 2012 

  4. "PRODUCTS-AEROPAK Fuel Cell Propulsion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Horizon Energy Systems, Web. 12 Feb. 2012 

  5. T.G. Kim, H.C. Shim, S. J. Kwon, "Small Fuel Cell System as a Power Sour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07 KSPE Spring conference, 2007, pp.733-734 

  6. Ji-seok Hong, Jin-Gu Park, Hong-Gye Sung, Seock-Jae Shin, Suk-Woo Nam, "Hydrogen generation control of PEMFC propulsion system for UAV," 2010 Asia-Pacifi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erospace Technology, 2010. 

  7. Kyunghwan Kim, Taegyu Kim, Kiseong Lee, Sejin Kwon, "Fuel cell system with sodium borohydride as hydrogen sour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96, Issues 21, 1 November 2011. pp.9069-9075 

  8. Taegyu Kim, Sejin Kwon, "Design and development of a fuel cell-powered small unmanned aircraft",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7, 2012, pp.615-622 

  9. Sun Ja Kim, Jaeyoung Lee, Kyung Yong Kong, ChangRyul Jung, In-Gyu Min, Sang-Yeop Lee, Hyoung-Juhn Kim, Suk Woo Nam, Tae-Hoon Lim, "Hydrogen generation system using sodium borohydride for operation of a 400W-scale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stack", Journal of Power Sources 170, 2007, 412-418, 2007 

  10. S.U. Jeong, R.K. Kim, E.A. Cho. H.-J. Kim, S.-W. Nam, I.-H. Oh, S.-A. Hong, S.H. Kim, "A Study on hydrogen generation from NaBH4 solution using the high performance Co-B catalyst", Journal of Power Souces, Vol. 144, Issue 1, 1 June 2005, pp.129-134 

  11. Jin-ho Kim, "A study on the Hydrogen Storage/Production from Hydrolysis of Sodium Borohydride and Development of Direct Borohydride Liquid Fuel Cell", 2004, Ph.D thesis, KAIST 

  12. Kreevoy MM, Jacobson RW, "The rate of decomposition of $NaBH_4$ in basic aqueous solution", Ventron Alembic 15, 1979, pp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