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효능 연구
Whitening Effects of Angelica dahurica Radix Ethanol Extrac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9, 2011년, pp.4038 - 4045  

김필순 (대구한의대 한방피부미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melan-a cell, 브라운 기니피그 및 HMB-45 염색을 사용하였다. melan-a 세포에 시료를 6.25, 12.5, 25, 50, ${\mu}g/m{\ell}$ 농도로 처치하여 세포 생장율의 변화 관찰 및 멜라닌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brown guinea pig (450~500 g)등 부위에 1500 mJ/$cm^2$ 광량의 ultraviolet B조사로 유발시킨 인공색소반 (${\Phi}$ 2 mm)에 1일 2회, 주 5일, 매회 30 ${\mu}{\ell}$씩 총 5주간 시료를 도포하여 주 1회 육안적 변화를 관찰 하였고, 실험 5주째 되는 날 실험동물은 염산 케타민으로 마취 후 시료를 도포한 인공색소반 부위를 biopsy punch로 절취하여 HMB-45 염색으로 멜라닌소체 내 glycoprotein(gp100) 단백질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 하였다. 세포생장율 측정에서 시료처치 6.25~50 ${\mu}g/m{\ell}$에서의 세포생장율은 높았고, 멜라닌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에서는 시료처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멜라닌합성 및 수지상 돌기가 적게 관찰 되었다. 동물 실험 육안적 관찰에서 시료 도포군이 용매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색소침착 정도가 확연하게 밝아졌고, gp100 단백질의 조직학적 관찰에서 시료 도포군은 gp100 단백질 발현 정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며, 영상분석에서도 시료 도포군이 용매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p<0.001)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현미경 관찰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백지 에탄올추출물은 우수한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whitening Effects of Angelica dahurica Radix Ethanol Extract (ADEE), we used melan-a cell line, brown guinea pig, and HMB-45. We treated with ADEE of 6.25, 12.5, 25, and 50 ${\mu}g/m{\ell}$ concentra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ADEE on cell viability and on mor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지 에탄올추출물이 세포수준에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동물 시험에서의 미백효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확인된 바가 없어 본 실험에서는 백지 에탄올추출물을 도포 전과 도포 5주 후의 brown guinea pig 피부 멜라닌 색소침착 변화 정도 및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FDA 공인 제품인 hydroquinone과 비교 관찰하기 위하여 육안적 관찰을 하였다.
  • 본 연구는 백지 에탄올추출물을 사용하여 세포독성 및 멜라닌세포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멜라닌합성 억제 정도를 분석하고 brown guinea pig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효과를 검증하여 화장품 천연물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은 어디에 존재하며, 어떤 역할을 하나?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생화학적이고 물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중의 하나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2]. 그 중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인간의 피부색을 결정짓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멜라닌세포내 멜라노좀에서 합성된다. 멜라닌 과립을 포함하고 있는 멜라노좀은 멜라닌세포의 수지상 돌기 끝부분으로 이동하여 각질세포의 세포질 내로 전달되며, 멜라닌은 각질세포의 핵 주위에 축적하게 된다[3].
피부는 무엇이며,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이러한 환경에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과 광노화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색소침착이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피부착색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생화학적이고 물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중의 하나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2]. 그 중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인간의 피부색을 결정짓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멜라닌세포내 멜라노좀에서 합성된다.
Melan-a 세포에 대한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세포독성 확인 및 실험에 실시한 MTT assay법은 무엇인가? Melan-a 세포에 대한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세포독성 확인 및 실험에 사용할 시료의 농도 범위 결정을 위해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MTT assay법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시약이 세포내로 흡수된 후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on)의 succinate dehydrogenase에 의해 formazan을 형성하는데 이 물질의 세포내 축적은 미토콘드리아의 활성, 넓게는 세포의 활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세포생장율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세포 생장율에 미치는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영향을 측정한 결과, 측정농도 100 ㎍/㎖에서 세포생장률이 68%로 나타나 melan-a 세포에 대한 백지 에탄올추출물의 최대허용농도는 50 ㎍/㎖로 확인되었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Y. Matsumura, and H. N. Ananthaswamy, "Toxic effects of ultraviole radiation on the skin",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Vol. 195, pp. 298-308, 2004. 

  2. G. P. He, et al., "In vivo measurement and mapping of skin redox stress induced by ultra violet light exposure",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Vol. 36, no. 5, pp. 665-672, 2004. 

  3. S. H. Jung, et al., "Inhibitory Effects of fucoidan on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Journal of Life Science, Vol. 19, no. 1, pp. 75-80, 2009. 

  4. K. H. Jang, and S. S. Roh, "Depigmentation activity of many herb",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vol. 13, no. 2, pp. 289-302. 2004. 

  5. E. K. Sung, et al, "The investigation of the melanocytes in a cultured skin equivalent model",Korean Journal of Anatomy, Vol. 33, no. 1, pp. 89-97, 2000. 

  6. B. B. Fuller, et al., "Regulation of catalytic activity of prxisting tyrosinase in Black and Caucasian human melanocyte cell cultures", Experimental Cell Research, Vol. 262, pp.197-208, 2001. 

  7. N. Agar, and A. R. Young, "Melanogenesis: a photoprotective response to DNA damage?", Mutation Research, Vol. 571, no. 1, pp. 121-132, 2005. 

  8. K. Wakamatsu, et al., "Usefulness of 4-amino-3-hydroxy-phenylalanine as a specific marker of pheomelanin", Pigment Cell Research, Vol. 15, pp. 225-23, 2002. 

  9. A. Slominski, et al., "Melanin pigmentation in mammalian skin and its hormonal regulation". Physiological Reviews, Vol. 84, no. 4, pp. 1155-1228, 2004. 

  10. S. Briganti, et al., "Chemical and instrumental approaches to treat hyperpigmentation", Pigment Cell Research, Vol. 16, no. 2, pp. 101-11, 2003. 

  11. K. Maeda, and M. Hatato, "Involvement of photooxidation of melanogenic precursors in prolonged pigmentation induced by ultraviolet A",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Vol. 122, pp. 503-509, 2004. 

  12. J. Cabanes, et al.,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how binding inhibitor of cathecilase activity of tyrosinase", Journal of Pharmacology, Vol. 46, no. 12, pp. 982-985, 1994. 

  13. T. Aburjai, and F. M. Natsheh, Plants used in cosmetics", Phytotherapy Research, Vol. 17, no. 9, pp. 987-1000, 2003. 

  14. H. Y. Lee, "Study for effect of natural product extracts on skin malanogenesis inhibition", Ph.D. dis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9. 

  15. E. Y. Joo, and W. J. Kang,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Angelica dahurica root",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ol. 12, no. 5, pp. 476-481. 2005. 

  16. H. S. Kim, and H. J. Chi, "Studies on essential oils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 (III)",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Vol. 21, no. 2, pp. 121-125, 1990. 

  17. C. M. Kim, et al., "Antithrombotic effect of the BuOH soluble fraction of Angellica dahurica root",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Vol. 26, no. 1, pp. 74-77, 1995. 

  18. D. Lechne, et al., "The anti-staphylococcal activity of Angelica dahurica", Phytochemistry, Vol. 65, no. 3, pp. 331-335, 2004. 

  19. M. H. Jin, et al., "Promoting synthesis ofcollagen from root",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Vol. 35, no. 4, pp. 315-319, 2004. 

  20. Y. S. Lee, et al.,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roo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36, no. 1, pp. 20-26, 2007. 

  21. J. L. Bolognia, et al., "Hairless pigmented guinea pigs: a new model for the study of mammalian pigmentation", Pigment Cell Research, Vol. 3, pp. 150-156, 1990. 

  22. H. J. Choi, et al. "Deoxypodophyllotoxin reduces skin pigmentation of brown guineapigs", Planta Medic, Vol. 70, pp. 378-380, 2004. 

  23. M. Tobiishi, et al., "Pigmentation in intrinsically aged skin of A1 guinea pigs", Pigment Cell Research, Vol. 17, no. 6, pp. 651-65, .2004. 

  24. J. T. Ko, et al., "Effect of Scirpi rhizoma Ethanol Extract on Skin Whitening in an Animal Model of Brown Guinea Pig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Vol. 24, no. 3, pp. 219-229, 2009. 

  25. D. W. Provance, et al., "Cultured melanocytes from dilute mutant mice exhibit dendritic morphology and altered melanosome distribution",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Vol. 93, no. 25, pp. 14554-14558, 1996. 

  26. K. H. Son,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depigmenting efficacy in the skin and the search for depigmenting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Ph.D. dis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7. 

  27. K. Nakazawa, et al.,"Modulation of normal human melanocyte dendricity by growth promoting agents", Pigment Cell Research, Vol. 6, no. 6, pp. 406-416, 1993. 

  28. B. A. Gilchrest, et al., "Mechanisms of ultraviolet light-induced pigmentation",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Vol. 63, no. 1, pp. 1-10, 1996. 

  29. M. Seiji, et al., "Subcellular localization of melanin biosynthersi",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Vol. 100, pp. 497-533, 1963. 

  30. M. V. Sheffield, et al., "Comparison of five antibodies as markers in the diagnosis of melanoma in cytologic preparation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Vol. 118, no. 6, pp. 930-936, 2002. 

  31. B. R. Smoller, et al., "HMB-45 recognizes stimulated melanocytes", Journal of Cutaneous Pathology, Vol. 16, pp. 49-53, 1989. 

  32. P. S. Kim, and Y. C. Kim, "The Whitening Effect of Angelicae dahuricae Radix Water Extract in Brow Guinea Pig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Vol. 35, no. 5. pp. 417-42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