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백지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작용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ngelica dahurica Root after Different Condition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1, 2008년, pp.133 - 138  

주은영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  김남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지의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알아보고자 MAE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에너지 강도와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백지 추출물의 수율, 총 폴리페놀의 함량 및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능을 측정하였다. 추출수율은 물을 용매로 30분간 추출한 240 W 추출물이 11.77mg%이었으며, 120W 추출물에서도 11.42 mg%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은 240W 30분간 추출된 에탄을 추출물이 32.36mg/g를, 동일한 조건의 물 추출물은 31.77mg/g의 폴리페놀을 함유하였다. 전자 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240W 30분 에탄을 추출물이 83.55%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120W 5분 물 추출물이 82.49%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칠청능 측정 결과에서는 120W 15분 에탄을 추출물이 14.16%였으며, 120W 5분 물 추출물이 13.2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추출수율과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최적의 추출조건을 예측하면, 240W에서 30분간 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이 효과적인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과 SOD유사활성 등의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추출조건을 예측하여 보았을 때, 물을 용매로 에너지 강도는 120W에 5분간 추출하는 가장 효율적인 추출 조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ngelica dahurica roots after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with different levels of energy (120, 240W) and extraction time (5, 10, 15 and 30 min).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was 11.77 mg% in water at 240W for 30 min followed by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백지의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추출방법보다 추출효율 및 에너지 효율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MAE 추출장치로 에너지 강도와 추출시간을 상이하게 하여 물과 70%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하고, 각 추출물에 대한 추출수율, 총 폴리페놀의 함량 및 전자공여능과 SOD 유 사활 성능을 측정하여 MAE 추출공정의 최적 추출특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won, J.H., Kim, K.G. and Lee, G.D. (2000)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under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 for soluble ginseng compon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17-124 

  2. Pare, J.R.J., Sigoun, M. and Lapointe, J. (1991) Microwave assisted natural products extraction. US Patent 5., 002. Various international counterparts. 26, 784 

  3. Giese, J. 1992. Advances in microwave food processing. Food Technol., 46, 118-123 

  4. Pare, J.R.J., Belanger, M.R. and Stafford, S.S. (1994) Microwave-assisted process(MAPTm): a new tool for the analytical laboratory. Trends Anal. Chem., 13, 176-184 

  5. Schiffmann, R.F. (1992) Microwave processing in the U.S. food industry. Food Technol., 46, 50-56 

  6. Lee, S.B., Lee, G.D. and Kwon, J.H. (1999)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soluble ginseng components using microwave extraction system under press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409-416 

  7. Kim, H.K., Kwon, Y.J., Kwak, H.J and Kwon, J.H. (1999) Oleoresin content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fresh garl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29-335 

  8. Kim, H.S. and Choi, H.J. (1990) Studies on essential oils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III). Kor. J. Pharmacogn., 21, 121-125 

  9. 구본홍. (1994) 동의보감 한글완역본(허준 저). 대중서관, p.300, 1420 

  10. Kimura, T., But, P.P.H., Guo, J.X. and Sung, C.K. (1996) International collation of traditional and folk medicine: Part 1. World scientific, Singapore, p.117-118 

  11. Joo, E.Y. and Kang, W.J. (2005)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Angelica dahurica Root. Korean J. Food Preserv., 12, 476-481 

  12. Kim, S.H., Kang, S.S. and Kim, C.M. (1992) Coumarin glycosides from the roots of Angelica dahurica. Arch. Pharm. Res., 15, 73-77 

  13. Kwon, Y.S. and Kim, C.M. (1992) Coumarin glycosides from the roots of Angelica dahurica. Kor. J. Pharmacogn., 24, 221-224 

  14. Baek, N.I., Ahn, E.M., Kim, H.Y. and Park, Y.D. (2000) Furanocoumarins from the root of Angelica dahurica. Arch. Pharm. Res., 23, 467-470 

  15. Ryu, S.Y., Kim, J.C., Kim, Y,S., Kim, H.T., Kim, W.K., Choi, G.J., Kim, J.S., Lee, S.W., Heor, J.H. and Cho, K.Y. (2001) Antifungal activities of coumarins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and Angelica dahurica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Kor. J. Pestic. Sci., 5, 26-35 

  16. Wang, N.H., Yoshiazaki, K. and Baba, K. (2001) Seven new bifuranocoumarins, dahuribirin A-G, from Japanese Bai Zh. Chem. Pharm. Bull., 49, 1085-1088 

  17. Jin, M.H., Jung, M.H., Lim, Y.H., Lee, S.H., Kang, S.J. and Cho, W.G. (2004) Promoting synthesis of collagen from Angelica dahurica root. Kor. J. Pharmacogn., 35, 315-319 

  18. Shin, K.H., Kim, O.N. and Woo, W.S. (1988) Effect of the constituents of Angelica dahurica Radix on hepatic drug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Kor. J. Pharmacogn., 19, 19-27 

  19. Kim, D.K., Lim, J.P., Yang, J.H., Eom, D.O., Eun, J.S. and Leem, K.H. (2002)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from the roots of Angelica dahurica. Arch. Pharm. Res., 25, 856-859 

  20. Kim, C.M., Kwon, Y.S. and Choi, S.Y. (1995) Antithrombotic effect of the BuOH soluble fraction of Angelica dahurica root. Kor. J. Pharmacogn., 26, 74-77 

  21. Pae, H.O., Oh, H.C., Yun, Y.G., Oh, G.S., Jang, S.I., Hwang, K.M., Kwon, T.O., Lee, H.S. and Chung, H.T. (2002) Imperatorin, a furanocoumarin from Angelica dahurica (Umbelliferae), induces cytochrome c-dependent apoptosis in human promyelocytic leukaemia, HL-60 cells. Pharmacol. Toxicol., 91, 40-48 

  22. Lechner, D., Stavri, M., Oluwatuyi, M., Pereda-Miranda, R. and Gibbons, S. (2004) The anti-staphylococcal activity of Angelica dahurica. Phytochemistry, 65, 331-335 

  23. Schinella, G.R., Tournier, H.A., Prieto, J.M., Rios, J.L., Buschiazzo, H. and Zaidenberg, A. (2002) Inhibition of Trypanosoma cruzi growth by medical plant extracts. Fitoterapia, 73, 569-575 

  24. Lee, Y.S., Jang, S.M. and Kim, N.W.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Angelica dahurica roo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0-26 

  25. AOAC. (200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apter, 45, 21-22 

  2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7.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8. Kim, M.H., Kim, M.C., Park, J.S., Kim, J.W. and Lee, J.O. (200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plants used as tea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2-18 

  29. Moon, J.S., Kim, S.J. and Park, Y.M. (2004) 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Preserv., 11, 201-206 

  30. Kim, H.J., Kwon, Y.J., Kim Y.E. and Nahmgung, B. (2004)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1, 88-93 

  31. Lim, J.D., Yu, C.Y., Kim, M.J., Yun, S.J., Lee, S.J., Kim, N.Y. and Chung, I.M. (2004) Comparis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191-2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