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통한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 Using Smart Phone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8 no.3 = no.81, 2011년, pp.377 - 392  

이은희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오늘날 점차 확장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한 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았으며, 특히 관련 연구나 서비스 제공이 미흡한 공공도서관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스마트 폰을 통해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함께 e-Contents 서비스에 대한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이 기존 정보서비스의 혁신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정보서비스에 대한 또 하나의 접근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users view information services that use today's rapidly expanding smart phones and what their demands are. The research focus is specifically on public libraries where related studies or the provision of services is still lacking. For this study, users of public lib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서관이 스마트폰을 통해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가 필요하며 이것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웹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와 이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기반 요소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애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웹 중 선호하는 형태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이용자 입장에서 일회적인 정보 요구 해결이 아닌 지속적인 정보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서비스에 대한 재접근의 편리성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며 이러한 이유로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는 이용자 요구를 바르게 인식하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비로소 의미 있는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진다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통한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앞으로 이 서비스의 가능성 및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 오늘날에는 스마트폰 가입자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많은 이용자들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웹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보급 및 이용이 활발해지고 있는 오늘날의 상황을 인식하고 모바일 서비스의 의미를 협의의 모바일 서비스에서 더욱 한정하여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웹을 통해 제공되는 도서관 정보서비스로 정의하고자 한다.
  •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매체는 크게 물리적인 도서관 공간에 존재하는 사서와 PC의 웹사이트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 새로운 매체인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세 가지 중 각 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데 가장 편리한 것은 무엇인지 이용자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표 12>와 같이 공공도서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서비스에 대해 스마트폰이 가장 편리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스마트폰을 통한 e-Book 이용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았다.
  •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도서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 상황에 주목하여 이와 관련한 이용자의 요구 및 인식을 알아보았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및 관련 연구가 부족한 공공도서관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비록 많은 이용자들이 스마트폰을 기존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연장으로 인식하더라도 스마트폰의 이동성 및 멀티미디어적 특성은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새 장을 열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용자의 확장된 시각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일부는 설문조사 결과에서처럼 스마트폰을 통한 새로운 정보서비스를 기대하지 않고 있었다.
  • 이용자들이 공공도서관 웹사이트에서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웹사이트에서 e-Book, 온라인 정보봉사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용자들이 자료검색, 이용안내와 같은 기능을 주로 이용한다는 것은 이용자에게 도서관 웹사이트가 주체적 서비스 제공매체보다는 도서관 이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돕는 보조적 매체로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도서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 상황에 주목하여 이와 관련한 이용자의 요구 및 인식을 알아보았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및 관련 연구가 부족한 공공도서관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urray가 주장한 내용은 무엇인가? Bridges와 Rempel과 Griggs(2010)는 스마트폰이 속도나 용량, 화면 크기 등 제약을 가지고 있어 도서관에서 제공 중인 모든 서비스를 수용하기 어려우므로 이용자 요구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Murray(2010)도 이와 같은 이유로 도서관이 모바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도서관의 미션이나 중점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가 무엇인가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 스마트폰을 통한 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요구를 알아본 결과는? 연구를 위해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스마트 폰을 통해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함께 e-Contents 서비스에 대한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이 기존 정보서비스의 혁신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정보서비스에 대한 또 하나의 접근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Bridges와 Rempel과 Griggs는 어떤 주장을 하였는가? 현재 국내 및 국외 모두 스마트폰을 활용한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Bridges와 Rempel과 Griggs(2010)는 스마트폰이 속도나 용량, 화면 크기 등 제약을 가지고 있어 도서관에서 제공 중인 모든 서비스를 수용하기 어려우므로 이용자 요구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Murray(2010)도 이와 같은 이유로 도서관이 모바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도서관의 미션이나 중점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가 무엇인가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대근, 태지호. 2010. 스마트폰 이용자의 매개 경험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19: 373-394. 

  2. 김병환. 2010. 모바일 대학도서관 구현을 위한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설계.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3. 김승열. 2010. 모바일 웹 vs 모바일 앱 전망. Mobile web 2.0 forum issue report. 

  4. 이지혜. 2005.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5.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 2009년 무선인터넷이용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6. Baumann, Michael. 2010. "ALA report: Libraries gear up for mobile." Information Today, 27(8): 29-30. 

  7. Bridges, Laurie, Hannah Gascho Rempel and Kimberly Griggs. 2010. "Making the case for a fully mobile library web site: from floor maps to the catalog." Reference Services Review, 38(2): 309-320. 

  8. Burnette, Peg. 2011. "Mobile technology and medical libraries: Worlds collide." The Reference Librarian, 52(1): 98-105. 

  9. Cummings, Joel, Alex Merrill and Steve Borrelli. 2010. "The use of handheld mobile devices: their impact and implications for library services." Library Hi Tech, 28(1): 22-40. 

  10. Iwhiwhu, Basil Enemute, Josiah Oghenero Ruteyan and Aroghene Eghwubare. 2010. "Mobile phones for library services: Prospects for delta state university library, Abraka." Library Philosophy and Practice, APR: 1-8. 

  11. Jacobs, Michelle Leigh. 2009. "Library and the mobile revolution: remediationrelevance." Reference Services Review, 37(3): 286-290. 

  12. Karim, Nor Shahriza Abdul, Siti Hawa Darus and Ramlah Hussin. 2006. "Mobile phone applications in academic library services: a students' feedback survey." Campus-Wide Information Systems, 23(1): 35-51. 

  13. Kim, Bohyun and Marissa Ball. 2011. "Mobile use in medicine: Taking a cue from specialized resources and devices." The Reference Librarian, 52(1): 57-67. 

  14. Mills, Keren. 2009. "M-Libraries: Information use on the move." Arcadia Project Report. 

  15. Murray, Lilia. 2010. "Libraries 'Like to move it, move it'." Reference Services Review, 38(2): 233-249. 

  16. Peters, Thomas A. 2011. "Left to their own devices: The future of reference services on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devices." The Reference Librarian, 52(1): 88-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