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집단급식소 내 식기류 및 집기류의 미생물학적 분석 및 위해요인 평가
A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Hazard Factor Evaluation of Food Utensils and Fixtures of Food Service Operations in School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7 no.5, 2011년, pp.376 - 386  

박성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홍성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이하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김철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김수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김성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고광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al hazards posed by food utensils and fixtures in food service operations at selected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Methods: We collected 200 samples of utensils and fixtures including cups, spoons/chopsticks, food tra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A구의 5개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집단급식소를 이용하는 학생들이 주로 접하게 되는 컵, 수저, 식판 및 책상 등 4종류의 식기 및 집기류에 대한 미생물 오염양상을 파악하고, 종업원 1명당 학생 수 및 주기적 위생교육의 실시여부 등 각 집단급식소의 위생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한 조사를 병행하여 각 식기류 및 집기류의 미생물 오염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학교 집단급식소에 있어서의 미생물적 위해요인 및 중요관리점을 제시하고 향후 환경보건학적 진단에 있어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근래에 학교 집단급식소의 위생실태 조사 및 집단급식소의 식기류 및 집기류에 대한 오염사례가 계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집단급식소의 미생물 오염도 분석 및 오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해요인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 A구의 5개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컵, 수저, 식판 및 책상 등 4종류의 식기 및 집기류를 대상으로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으며, 학교 급식 위생관리지침서에 의거하여 각 학교 영양사와의 개별면접 및 급식소 관찰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미생물 분석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각 급식소의 공통적 위해요인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시에 많은 인원을 배식하는 학교 급식은 무엇을 유발할 수 있는가? 그러나 우리나라의 집단급식의 경우 수요의 급증으로 인하여 양적으로는 급격히 확대된 반면 급식시설의 환경 미비 및 위생관리 소홀, 저급 식재료 납품문제 등으로 인하여 많은 사회적인 비판을 받고 있으며,4,5) 특히 동시에 많은 인원을 배식하는 학교 급식의 특성상 한 번의 유해미생물 오염으로도 대규모의 식중독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5) 실제로, 2006~2010년간 시설별 식중독 발생현황에 의하면 학교의 식중독 발생건수는 기업체 및 가정보다 확연히 높으며, 2010년에는 총 38건의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여 3,390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등6) 학교급식소에서의 식중독 발생이 계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급식소에서의 식중독 발생이 계속적으로 일어남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어떻게 학교 급식의 질 관리를 수행하고 있는가? 5) 실제로, 2006~2010년간 시설별 식중독 발생현황에 의하면 학교의 식중독 발생건수는 기업체 및 가정보다 확연히 높으며, 2010년에는 총 38건의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여 3,390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등6) 학교급식소에서의 식중독 발생이 계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전 교육인적자원부)는 2002년부터 학교급식품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과학적인 위생관리 체계인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를 도입하고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을 도입하는 등 학교 급식의 질 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나, 실무 적용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도출 되고 학교 구성원이나 일반 대중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지 못하는 등 아직까지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7)
서울 A구의 5개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영양사와의 개별면접 및 급식소 관찰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미생물 오염도 분석결과와 비교한 결과는 무엇인가? 05) A, D 및 E교의 일부 시료에서는 즉시 조치가 필요할 정도의 미생물이 검출되었다. 또한 관찰조사 및 인터뷰 결과와 미생물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조리종사자 1인당 고객수 및 정기적 위생교육 실시 여부, 소독기 운영시간의 3개 변수가 각 집단급식소의 미생물 오염도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들이 직접 접하는 식기류 및 집기류의 미생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침을 바탕으로 한 HACCP 기준을 지키는 한편으로 각 집단급식소 내에 있는 여러 위해요인들을 분석 하여 시정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JG. A Surve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 Kor J Env Health. 2003; 29(2): 87-93.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Current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s in 2010. Available: http://www.mest.go.kr/ web/1111/ko/board/ view.do?bbsId150&modeview &board- Seq23282 [accessed 20 July 2011]. 

  3. Korea Human Rights Foundation. The Present Status of student rights since 2008. Available: http://www.humanrights.or.kr/bbs/bbs/board.php?bo_table bbs3&wr_id37&sfl&stx&sstwr_datetime&sodasc&sopand&page3 [accessed 23 July 2011]. 

  4. Kim KY, Nam MJ, Nam BR, Ryu HJ, Heo RW, Shim WB et al.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to Secure Safety of Food Service in University. J Fd Hyg Safety. 2010; 25(1): 49-58. 

  5. Song IS, Chae IS. The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in Jeju. Korean J Nutr. 208; 41(8): 870-886. 

  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The System of Food Poisoning Statistics, 2010. Available: http://e-stat.kfda.go.kr/ [accessed 20 June 2011]. 

  7. Hwang SS, Chon MY, Kim JM, Choi SH, Lee JA, Yoo IY et al. Hygiene.Safety and HACCP system by Management Type of School Food Service.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08; 15(3): 372-382. 

  8. Mokhtari A, Jaykus LA. Quantitative Exposure Model for the Transmission of Norovirus in Retail Food Preparation. Int J Food Microbiol. 2009; 133(1-2): 38-47. 

  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Current Status of Sanitation of Food Courts, 2011. Available: http://www.kfda.go.kr/index.kfda?mid56&seq14940& cmdv [accessed 19 June 2011]. 

  10. Jeong DK, Lyu ES. The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Environments and Facilities at Food Service Operation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 Soc Food Sci Nutr. 2002; 31(2): 216-220. 

  11. Torrence ME, Isaacson RE. Microbial Food Safety in Animal Agriculture: Current Topics. Wiley- Blackwell; 2003. p.275-280 

  12. Park JY, Kim JS, Nam BR, Kim JG. A Study on the Hand 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s of Food-service Employees and the Load of Index Microorganisms on the Hands. J Env Health Sci. 2010; 36(2): 95-107. 

  1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Guidelines of Sanitation Management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2010; 3: 1-130 

  14.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Available: http://www.fda.gov/Food/ScienceResearch/LaboratoryMethods/BacteriologicalAnalyticalManualBAM/default.htm [accessed 30 June 2011]. 

  15. Marchesi JR, Sato T, Weightman AJ, Martin TA, Fry JC, Hiom SJ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Useful Bacterium-Specific PCR Primers That Amplify Genes Coding for Bacterial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ol. 1998; 64(2): 795-799. 

  16. Sites JE, Walker PN, Burke A, Annous B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ilot Scale Enhanced Biosafety Level Two Containment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duce Disinfection Technologies. Applied Biosafety. 2008; 13(1): 30-44. 

  17. Harrigan WF, McCance ME. The examination of food processing plant. In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London, England; 1976. p.231-236 

  18. Ehrlich R, Miller S, Walker RL. Relationship Between Atmospheric Temperature and Survival of Airborne Bacteria. Appl Microbiol. 1970; 19(2): 245-249. 

  19. Jawad A, Heritage J, Snelling AM, Gascoyne-Binzi DM, Hawkey PM. Influence of relative humidity and suspending menstrua on survival of Acinetobacter spp. on dry surfaces. J Clin Microbiol. 1996; 34(12): 2881-2887. 

  20. Park SH, Lim YH.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jeon and Ch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2): 234-242. 

  21. Kim JG, Park JY, Kim JS. A Comparison of Microbial Load on Bare and Gloved Hands among Food Handlers. J Environ Health Sci. 2011; 37(4): 298- 305. 

  22. Park HJ, Bae HJ.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Hygiene by the Customer Hands in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7): 940-944. 

  23. Kjolen H, Andersen BM. Handwashing and disinfection of heavily contaminated hands-effective or ineffective? J Hospital Infect. 1991; 21(1): 61-70. 

  24. Park JY, Kim JS, Kim JG. A Study in the Hand Washing Awareness and Practive of Food-service Employees and the Load of Index Microorganisms on the Hands. J Environ Health Sci. 2010; 36(2): 95-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