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4, 2011년, pp.498 - 515
이희천 (환경부 국립생태원 건립추진기획단) , 황인천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임동옥 (호남대학교 생물학과) , 정철운 (국립공원관리공단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
The flora of Juwangsan National Park was surveyed. The field works was done for seven times from March to October 2008. Endangered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Juwangsan National Park were found to be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 OHBA,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 K...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본 연구에서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주왕산국립공원 일대의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주왕산국립공원 일대의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주왕산국립공원지역에서 확인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종은 둥근잎꿩의비름, 망개나무, 깽깽이풀, 노랑무늬붓꽃과 가시오갈피나무, 솔나리, 연잎꿩의다리 7분류군 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88분류군으로 V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깽깽이풀, 망개나무, 솔나리 등 8과 9분류군, IV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승마, 회리바람꽃, 돌마타리 등의 4과 5분류군, III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애기석위, 가침박달, 등칡 등 16과 18분류군, 2등급으로는 백작약, 나도바람꽃, 개불알꽃 등의 14과 18분류군, 1등급은 늦고사리삼, 홀아비꽃대, 백선 등 30과 3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 식물종은 호랑버들, 검팽나무, 할미밀망, 노랑갈퀴, 정영엉겅퀴 등의 총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나도닭의덩굴, 다닥냉이, 족제비싸리, 컴프리, 수박풀 등의 총 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 |
주왕산국립공원은 식물구계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 주왕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기후지역상 온대중부에 위치하고, 식물구계학적으로는 남부아구에 속한다(Lee and Yim, 1978). 주왕산국립공원 일대의 식물상은 Yang(1962)이 경북 식물 조사보고서에서 처음으로 주왕산의 식물상을 목록으로 제시 하였으며, 이후 Lee and Oh(1985)는 96과 290속 491종을 보고하였으며, 주요식물로 망개나무, 솔나리, 둥근잎꿩의비름, 구와꼬리풀 등을 언급하였다. | |
주왕산(720.6m)국립공원은 몇 번째로 국립공원에 지정되었는가? | 주왕산(720.6m)국립공원은 태백산맥의 거의 끝자락인 한반도의 중동부인 북위 36° 19′~ 36° 27′, 동경 129° 04′~ 129° 14′에 위치하고,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청송군과 영덕군에 걸쳐있으며 1976년 3월 30일 12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공원 면적은 105.597㎢에 달한다. |
BGCI(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2001) Botanic Garden Agenda for Plant Conservation. London: 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DuMond, D.M.(1973) A guide for the selection of rare, unique and endangerd plants. Castanea 38: 387-395.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ed. Park, C.-W.)
Given, D.R.(1994) Principles and practices of plant conservation. Timber Press, Portland.
Good, R.(1953) The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2nd ed. London.
Hyun, J.O.(2001) Categorization of the threatened plant species in Korea. Soon Chun Hyang Univ., Doctor's thesis, 288pp. (in Korean)
Kim, C.H.(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1. Selection of Plant Taxa -. Korean J. Environ. Biol. 18: 163-19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Kim, J.S., Y.H. Shon, D.H. Lee and J.C. Choi(2000) Conservation Biology. Science Book Publishing, Seoul, 348pp. (in Korean)
Kim, M.Y.(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408pp. (in Korean)
Kim, M.Y. and Y.M. Jeong(1999) The flora of Juwangsan National Park(Chongsong and Near Mountain. pp. 47-14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Kim, Y.S., G.H. Kang and D.G. Park(1995) Floristic Study on Chuwa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8: 81-9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Korea Forest Service(1997) Illustrated Rare and Endangered Species in Korea. Pocheon. 255pp.
Korea National Arboretum.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Gyeonggi, 534pp. (in Korean)
Korea National Park Authority(1997) The Natural Resources Survey of Juwangsan National Park. pp. 57-63. (in Korean)
Korean Fern Society(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399pp. (in Korean)
Lee, T.B.(1983)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in Korea. Bull. Kwanak Arboretum: 71-113
Lee, H.C.(2008) A Categorization of Target Plant Species for Conservation of Naejangsan(Mt.) National Park in Korea. Chonbuk National Univ., Ph.D. thesis, 123pp. (in Korean)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80pp. (in Korean)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I, II. Hyangmunsa, Seoul, 990pp. (in Korean)
Lee, W.T(1996) Coloure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BOOK, Seoul, 624pp. (in Korean)
Lee, W.T. and Y.J. Yim(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 Jour. Pl. Tax 8: 71-8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Lee,Y.N. and Y.C. Oh(1985) An investigation on flora of Chuwangsan National Park. The Report of the KACN. 23: 37-6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Lim, D.O. Y.S. Kim and I.C. Hwang(2005) Floristic Characteristics and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9(2): 112-11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Lim, D.O. Y.S. Kim and I.C. Hwang(2006) Flora and Conservation of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20(2): 130-14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Lim, D.O. Y.S. Kim and H.C. Lee(2008)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2(2): 138-14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Ministry of Environment(2006) The investigation guide for specially designated species by floristic region.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Incheon, 76pp. (in Korea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 A Guide of National Park Natural Resources Survey.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Seoul, 575pp. (in Korean)
Park, S.H., J.H. Shin, Y.M. Lee, J.H. Lim and J.S. Moon(2002)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o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Korea National Arboretum, 184pp. (in Korean)
Yim, K.B., Y.S. Kim, S.H. Chun, S.H. Kim and H. Kim(1994) Conservation Status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Tokyu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7: 112-11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