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눈질환자의 퇴원 후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Telephone Consultation Algorithm for Patient Discharged with Ophthalmic Diseas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3, 2011년, pp.336 - 348  

이현정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  박현애 (서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done to develop a telephone consultation algorithms and practice guidelines for patient discharged with ophthalmic diseases. Methods: The ophthalmic problems of the patients were identified and expert knowledge on managing the problems was acquired. Algorithm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화 상담으로 눈 질환 퇴원 후 증상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주 증상을 규명하여 주 증상 관리를 위한 예비 알고리즘 및 실무 지침을 개발한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및 수정 과정을 거쳐 눈질환자의 퇴원 후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알고리즘과 실무지침을 개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안과병동에 근무하고 있는 경력 간호사들의 전문지식이 반영된 눈질환자의 퇴원 후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알고리즘 및 실무지침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2010년 5월 15일부터 2010년 8월 31일까지 S시에 소재한 S대학교병원 안과병동에서 이루어졌으며 전문가 즉, 안과병동 경력 간호사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고 간호사 면담 및 설문조사에 대한 자발적 동의를 받았다.
  • 간호사 설문조사로 합의가 어려운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2차로 경력 간호사 면담과 안과 전문의 1인의 자문을 받아 환자에게 신체적 위해나 고통이 없도록 의학적으로 안전한 내용을 도출할 때까지 논의한 후 전원의 합의가 이루어질 때 예비 알고리즘과 실무지침을 결정하였다. 또한 이미 설문조사에서 80% 이상의 합의가 이루어진 항목도 안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의학적으로 안전한 내용인지 검토 받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라 알고리즘과 실무지침을 수정, 보완하였다.
  • 더욱이 바쁜 현장의 간호업무는 전화 triage를 시행하는 간호사의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문제해결 과정을 방해하여 환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눈 질환 퇴원 환자의 증상을 관리하는 간호사의 전화상담 실무지침서로 사용하고, 환자의 필수적인 정보 수집에 따른 올바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며, 일관성 있는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알고리즘과 실무지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 그 예로, 녹내장 치료 안약의 부작용이 의심되는 녹내장 환자의 경우, 녹내장 치료제는 정상 안압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므로 부작용이 있더라도 그대로 점안하면서 빠른 시일 내에 안과 외래를 방문하여 다른 안약으로 처방을 변경 받도록 환자에게 조언해야 한다는 의견과 부작용이 나타난 경우에는 안약 점안을 일단 중지하고 병원에 내원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서로 대립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는 간호사의 잘못된 투약 관련 지시가 환자의 직접적인 눈 상태 악화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간호사의 의사결정이 추후 법적인 문제로 발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과 전문의에게 자문을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다빈도 수술 순위 20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이 시행되고 있는 수술은 무엇인가? 최근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전체 인구에서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백내장과 같은 노인성 눈 질환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들 대부분이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아 그에 따른 합병증으로 망막 질환의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9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질환 별 다빈도 수술 순위 20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이 시행되고 있는 수술이 백내장 수술로 한 해 약 20만 명이 이 수술을 받고 있으며 이는 전체 수술의 18% 정도를 차지한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
전화 상담을 의뢰하는 눈질환자를 정확히 사정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안내하는 것이 안과 근무 간호사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왜 그러한가? 특히 눈질환자의 경우 적절한 처치를 적시에 제공하지 않으면 시력이 손상될 수도 있고 손상된 시력을 되돌릴 수가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화문의에 대해 간호사의 정확하고 빠른 대처가 요구된다. 시력 장애가 발생하면 환자들은 독립심과 자긍심을 상실하게 되어 불안감을 느끼며 매우 당황하게 된다(Lee et al., 2010).
간호사들이 퇴원 환자와 가족들이 의뢰하는 전화상담으로 인하여 겪게 되는 부정적인 경험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전화상담 과정에서 간호사들이 전문적 지식에 근거하여 환자 문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할 경우에는 환자의 만족도가 증가하지만, 전화문의를 적절하게 관리하지 못할 경우 환자의 건강문제 악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전화상담으로 인해 간호사들이 시간 소모, 좌절, 업무량 과다, 전화 상담에 대한 자신감 저하 등의 부정적인 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Jang, 1999; Kang et al., 1996;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idgeman, T., Flores, M., Rosenbluth, J., & Pierog, J. (1997). One emergency department's experience: clinical algorithms and documentation.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3, 316-325. 

  2. Dong, S. L., Bullard, M. J., Meurer, D. P., Blitz, S., Holroyd, B. R., & Rowe, B. H. (2007). The effect of training on nurse agreement using an electronic triage system. Canadi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9(4), 260-266. 

  3.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2008). Counseling booklet in first aid. Seoul: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4. Greenberg, M. E. (2009) Comprehensive model of the process of telephone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12), 2621-2629. 

  5. Jang, H. S. (1999). A study of telephone advice and nursing intervention in a general hospital outpatient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Seoul. 

  6. Kang, H. J., Han, K., J., Choe, M. A., Park, S. H., Kim, Y. M., Kwon, W. K., et al. (1996). An investigational study on telephone calls to the pediatric nursing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1), 112-126. 

  7. Kang, S. J. (2001). The effects of phone counseling on maternal role in primiperous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7(4), 405-420. 

  8. Kanski, J. J. (2005). Clinical ophthalmology (Trans. Jin, G. H., Park, I. G., Yoo, S. Y., Nam, U. H., Kwak, H. U.). Seoul: Jungdam Publishing Company. 

  9. Kim, J. J., Noh, Y. J., Choi, Y. H., & Kim, M. J. (2000). Medical surgical nursing. Seoul: Hyunmoonsa. 

  10. Kim, K. J., Lee, H. Y., Goh, G. J., Kim, J. H., Wang, M. J., Choi, G. O., et al. (2001). Manual of emergency care. Seoul:Hyunmoonsa 

  11. Kim, K. J., Lee, H. Y., Kim, G. B., Wang, M. J., Park, K. S., Shon, I. A., et al. (1998). Emergency nursing: A physiologic and clinical perspectives. Seoul: Hyunmoonsa 

  12. Ko, Y. M. (2006). A study of thesaurus based ontology. Information Management, 5, 5-22. 

  13. Korean Academy of Home Care Nursing. (2005). Stress in home health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 experiences of telephone consult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2(2), 33-44. 

  14. Lee, E. O., Choi, M. A., Park, S. Y., Lee, S. O., Song, M. S., Kim, D. S., et al. (2002). Medical surgical nursing. Seoul: Shinkwang Publishing Company. 

  15. Lee, H. J., & Park H. A. (2009). Telephone inquiries to the ophthalmology nursing units and nursing interventions through telephone consultation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5(2), 157-167 

  16. Lee, H. Y., Choi, C. J., Park, O. J., Kim, K. S., Choi, K., O., Kim K., S., et al. (2010). Adult health nursing(6TH ed.). Seoul: Soomoonsa. 

  17. Lee, J. H. (2007). A clinical-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nursing process for the major signs and symptoms see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18. Lee, S. K., Song, M. R., Kwon, E. G., Yu, H. A., Lee, S. S., Jung, J. Y., et al. (2002). The development of a telephone triage protocol for outpatient department(OPD) nurses: for patients with chest pa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8(1), 73-88. 

  19. Letourneau, M. A., MacGregor, D. L., Dick, P. T., McCabe, E. J., Allen, A. J., Chan, V. W., et al. (2003). Use of a telephone nursing line in a pediatric neurology clinic: one approach to the shortage of subspecialist. Pediatrics, 112(5), 1083-1087. 

  20.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21.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 2008 statistics of major surgery.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2. Nauriqht, L. P., Moneyham, L., & Williamson, J. (1999). Telephone triage and consultation: an emerging role for nurses. Nursing Outlook, 47(5), 219-226. 

  23. Park, M. O. (2009). Development of a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pre & post-operative care of gastric cancer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24. Wahlberg, A. C., Cedersund, E., & Wredling, R. (2003). Telephone nurses' experience of problems with telephone advice in Swede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2(1), 37-45. 

  25. Yang, J. J. (200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algorithm for emergency nursing care of dyspnei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Gwangju. 

  26. Yoon, D. H., Lee, S. W., & Choi, E. (2005). Ophthalmology. Seoul: Ilchokak.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