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 병소의 경피적 흡인 생검 시 기흉 발생 관련 요인
Related Factors of Pneumothorax after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34 no.3, 2011년, pp.203 - 208  

이보우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배석환 (건양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진용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철웅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조범상 (충북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유세종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황지혜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폐 병소의 경피적 흡인 생검을 시행하는데 있어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 일개 대학병원에서 2007년 8월부터 2008년 5월까지 국소적인 폐 병소를 보인 25~85세 사이의 1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병변의 위치, 병변의 크기, 병변의 깊이, 성별, 나이, 생검 시간, 생검횟수로 나누어 기흉 발생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위치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우하엽에서 27.3%, 우상엽 24.3%, 좌하엽 15%, 좌상엽 12% 순으로 나타났다. 병변의 크기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0~2.0 cm에서 24.0%, 2.1~4.0 cm에서 18.2%, 4.1 cm 이상에서 20.0%였다. 병변의 깊이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0 cm에서 6.7%, 0.1~2.0 cm에서 24.2%, 2.1 cm 이상인 경우가 26.8%였다. 성별에 따른 기흉의 발생은 남성 21.7%, 여성 17.1%로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기흉 발생은 40세 이하가 25%, 41~50세가 11.7%, 51~60세가 14.3%, 61~70세가 24.1%, 70세 이상이 24.1%로 나타났다. 생검에 걸리는 시간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0~10.0분에서 3.8%, 10.1~20.0분에서 18.9%, 21분 이상에서 40%였다. 생검 시행 횟수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4회 이상에서 28.6%, 2회 이하에서 20.5%, 3회에서 17.4%로 각각 나타났다.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생검에 걸리는 시간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시간이 길수록 기흉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factors for affecting pneumothorax in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of lung lesions. This research were conducted at University Hospital in Daejeon from August 2007 to May 2008. Total 104 patients between the ages of 25~85 who had focal lung lesions were grou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T와 투시영상을 결합시킨 CT 투시영상은 이전 검사 장비보다 발달된 것으로 생검 바늘이 폐 병변에 도달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기에 조직 채취시간이 CT 유도하 검사보다 빨라 조직 진단율을 높이고 기흉을 포함한 합병증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일개 대학병원에 내원하여 CT 투시영상 유도하에 18게이지 자동 절단 생검침을 이용하여 경피적 폐 생검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기흉 발생율 및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보다 안전한 시술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 병소의 경피적 흡인 생검술은 어떠한 경우에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가? 폐 병소의 경피적 흡인 생검술은 여러 가지 흉부 병소의 진단에 있어서 비교적 간편하고, 합병증 발생률과 사망률이 적은 안전한 검사로 알려져 있어 폐 병변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2). 주로 굴곡성 기관지경 및 기관 지브러쉬법 등에 의하여 도달하기 힘든 기관지외 폐문 종격동 병소, 전이성 폐암을 의심하는 경우, 특히 병변이 작고 폐의 말초부에 위치할 경우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3).
경피적 흡인 생검은 언제, 누구에 의해 최초로 시도되었는가? 경피적 흡인 생검은 1883년 Leyden이 최초로 시도하였지만 투시영상을 이용한 생검은 1966년 Dahlgren이 처음으로 시도하였다4). 이후 폐병변의 조직학적 검사를 위한 경피적 생검술은 장비 발전과 더불어 비교적 정확하고 안전성이 입증된 진단법으로 초음파, 투시영상, CT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경피적 흡인 생검이 시행되었고 진단율과 합병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폐 병소의 경피적 흡인 생검술이 폐 병변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폐 병소의 경피적 흡인 생검술은 여러 가지 흉부 병소의 진단에 있어서 비교적 간편하고, 합병증 발생률과 사망률이 적은 안전한 검사로 알려져 있어 폐 병변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2). 주로 굴곡성 기관지경 및 기관 지브러쉬법 등에 의하여 도달하기 힘든 기관지외 폐문 종격동 병소, 전이성 폐암을 의심하는 경우, 특히 병변이 작고 폐의 말초부에 위치할 경우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문찬, 이종호, 남윤철: 최신 CT영상기술학, 청구문화사, 2005 

  2. 김선미, 전석철, 배오근 등: 흉부 세침흡인생검 1000 예의 진단성적 및 합병증,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1, 897-900, 1994 

  3. Jereb M: The usefulness of needle biopsy in chest lesions of different sizes and locations,Radiology, 134, 13-15, 1980 

  4. 이수환, 최필엽, 김지양 등: 자동생검총을 이용한 CT 유도 하 흉부 경피 생검의 합병증 및 진단 성적,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5, 195-200, 1996 

  5. Cox JE, Chiles C, McManus CM, Aquino SL, Choplin RH: Variables affecting risk of pneumothorax in transthoracic needle aspiration biopsy, Radiology, 212, 165-168, 1999 

  6. 박재성, 백상현, 차장규 등: CT 유도하의 경피적 폐 생검: 임상적 의의 및 합병증에 관한 연구, 순천향의대논문집, 9(2), 147-153, 2003 

  7. 이경환, 임효근, 김은아, 윤규섭, 배상훈, 신형식: 생 검총을 이용한 영상유도하의 경피 생검.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1, 125-130, 1994 

  8. Laurent F, Latrabe V, Vergier B, Casola G: Percutaneous CT-guided biopsy of the lung comparison between aspiration and automated cutting needle using a coaxial technique, Cardiovasc Intervent Radiol, 23, 266-272, 2000 

  9. Takugi Y, Shigeharu L, Takharu K, Osamu T, Tsunchiko N: Combining fine-needle aspiration and Cor biopsy under CT fluoroscopy guidance: A better way to treat patients with lung nodules, A.JR, 180, 811-815, 2003 

  10. Westott JL: Direct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of localized pulmonary lesions: Results in 422 pations, Radiology, 137, 31-35, 1980 

  11. 이창호, 박경주, 박동원, 정경일, 서정호: 흉부 경피 적 세침 흡인술에서의 기흉 발생 요인: CT 폐기종 지수와 폐기능 검사의 비교,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7, 845-851, 1997 

  12. Fish GD, Stanley JH, Miller KS, Schabel SI: Postbiopsy pneumothorax: estimating the risk by chest radiography and pulmonary function test, AJR, 150, 71-74, 1988 

  13. Jane P, Jo-Anne O, Elizabeth A, et al.: Factors influencing pneumothorax in emphysema, Mayo Clin Proc, 45, 481-487, 1970 

  14. 최천웅: 경피폐세침흡인생검의 진단 유용성 및 합병 증 발생에 관한 연구, 경희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