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역할 자신감에 대한 영향요인 비교
Comparative Study on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7 no.3, 2011년, pp.181 - 189  

정성석 (전북대학교 통계학과) ,  정경화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mot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145 mothers between 2 and 5 days postpartum.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을 고려하여 아이의 건강상태 및 양육 스트레스 등의 외생변수를 배제한 산욕초기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역할 자신감을 확인하고자 한다. 건강한 만삭아를 출산하고 의료기관에 재원중인 초산모와 경산모를 대상으로 모성역할 자신감에 대한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산모의 모성역할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 중재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욕 초기 초산모와 경산모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자존감, 사회적 지지, 분만 전 태아애착, 모성역할 자신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모성역할 자신감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모성역할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초산모의 모성역할 자신감의 영향요인은 사회적 지지, 자존감, 분만형태였으며 경산모의 모성역할 자신감에 영향요인은 아기의 성별, 분만 전 태아애착 정도, 교육수준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산욕초기 모성역할의 전환 과정을 경험하는 초산모와 경산모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분만 전 태아애착, 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를 토대로 모성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비교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
  • 본 연구는 산욕초기 초산모와 경산모를 중심으로 일반적 특성, 분만 전 태아애착, 자존감, 사회적 지지, 모성역할 자신감과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3%의 비율과 유사하였다(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0).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토대로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역할 자신감의 차이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산욕초기 초산모와 경산모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분만 전 태아애착 정도, 자존감, 사회적 지지, 모성역할 자신감을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모성역할에 대한 영향요인을 비교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체 출산아 중 90%가 만삭아인 점(Koo et al., 2006)을 고려하여 아이의 건강상태 및 양육 스트레스 등의 외생변수를 배제한 산욕초기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역할 자신감을 확인하고자 한다. 건강한 만삭아를 출산하고 의료기관에 재원중인 초산모와 경산모를 대상으로 모성역할 자신감에 대한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산모의 모성역할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 중재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산율이 낮아지는 원인은? 19명으로 급격히 감소하여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국가들 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치이다(OECD, 2007). 출산율이 낮아지는 데에는 결혼 연령의 고령화, 독신율의 증가, 아이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 증가 등과 같은 사회구조적인 문제 이외에도 과거에 비해 모성역할을 과소평가하는 여성의 인식의 변화를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OECD, 2007).
모성역할이란? 모성역할이란 어머니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아기의 요구에 따른 행위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Mercer, 2004). 모성역할은 출산 후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받아들임으로써 가족의 상호작용이 나타나게 되고 각자의 역할을 인식하면서 시작되며(White, Wilson, Elander, & Persson, 1999), 생애주기에 걸쳐서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강화된다(Mercer, 2006).
모성역할을 갖추는데 어려움을 갖는 산모가 유발할 수 있는 문제는? 모성역할은 출산 후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받아들임으로써 가족의 상호작용이 나타나게 되고 각자의 역할을 인식하면서 시작되며(White, Wilson, Elander, & Persson, 1999), 생애주기에 걸쳐서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강화된다(Mercer, 2006). 어머니로서의 역할 전이에 어려움을 갖는 산모는 약물남용(Ehrmin, 2001), 아동의 성장장애, 행동 장애 및 인지발달 장애(Belsky & Fearon, 2004)를 유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Akour, N. A. (2008). Knowing the fetal gender and its relationship to seeking prenatal care: Results from Jordan.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12, 787-792. 

  2. Belsky, J., & Fearon, R. M. (2004). Exploring marriage-parenting typologies and their contextual antecedents and developmental sequela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6, 501-523. 

  3.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4. Cranley, M. (1981).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0, 281-284. 

  5. Ehrmin, J. (2001) Unresolved feelings of guilt and shame in the maternal role with substance-dependent African American wome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3, 47-52. 

  6. Emmanuel, E. N., Creedy, D. K., St John, W., & Brown, C. (2011). Maternal role development: The impact of maternal distress and social support following childbirth. Midwifery, 27, 265-272. 

  7. Grace, J. T. (1993). Mothers' self-reports of parenthood across the first 6 months postpartum.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6, 431-439. 

  8.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0, December 22). 2009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March 18, 2011, from http://www.hira.or.kr/cms/ rc/rce_news/1202246_8269.html 

  9. Holditch-Davis, D., Miles, M. S., Burchinal, M. R., & Goldman, B. D. (2011). Maternal role attainment with medically fragile infants: Part 2. Relationship to the quality of parenting.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34, 35-48. 

  10. Jang, I. S., & Chung, Y. K. (2003). A development of the social network model for the maternal role of first-time moth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 50-60. 

  11. Kiehl, M., & White, M. A. (2003). Maternal adaptation during childbearing in Norway,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7, 96-103. 

  12. Kim, H. K., & Jeong, I. S. (2007).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25-134. 

  13. Koo, Y. H., Kim, S. K., Shim, J. Y., Won, H. S., Lee, P. R., & Kim, A. (2006). Analysis of preterm birth rate based on Birth Certificate Data: From 1995 to 2003. Korean Journal of Obstetric and Gynecology, 49, 1855-1865. 

  14. Kronborg, H., Vaeth, M., Olsen, J., Iversen, L., & Harder, I. (2007). Effect of early postnatal breastfeeding support: A cluster-randomized community based trial. Acta Paediatrica, 96, 1064-1070. 

  15. Lee, H. K. (1994). A comparison of primiparous and multiparous mothers on maternal role strain and maternal role attain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 241-250. 

  16. Lee, S. G. (2005). Effects of eco-systemic factors on peer violence at middle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hild Welfare, 19, 141-170. 

  17. Lhila, A., & Simon, K. I. (2008). Prenatal health investment decisions: Does the child's sex matter? Demography, 45, 885-905. 

  18. Lowerdermilk, D. L., & Perry, S. E. (2007). Maternity & Women's Health Care. St. Louis, MO: Mosby Elsevier. 

  19. Lucas, F. W. (2010). Pregnant women of Mexican descent: Constructions of motherhood. Social Work in Health Care, 49, 946-962. 

  20. Mercer, R. T. (2004). Becoming a mother versus maternal role attai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6, 226-232. 

  21. Mercer, R. T. (2006). Nursing support of the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5, 649-651. 

  22. OECD. (2007, November 1). Can policies boost birth rates? Retrieved March 2, 2011, from http://www.oecd.org/dataoecd/6/57/39970765.pdf 

  23.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Suh, M. J. (1990).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tate of adaptation of the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 88-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