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의 여성건강간호학 임상실습 경험 및 만족도 조사
Studen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Nursing Practice in Women's Health Nursing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7 no.3, 2011년, pp.225 - 242  

김윤미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전나미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이은희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조인숙 (인하대학교 간호대학)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간호대학) ,  허명행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이숙희 (서영대학교 간호과) ,  이혜경 (강원대학교 간호대학) ,  정재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강남미 (건국대학교 간호대학) ,  김혜원 (관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udents' experiences of performanc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nursing practice in Women's health nursing. Methods: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04; 89,; and 82 nursing activities with 12; 10; and 7 domains for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모성/여성건강간호학 실습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실습항목에 따른 수행도와 만족도를 기술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서울, 인천, 충남, 강원, 전남의 간호학과 590명 학생의 모성/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육의 지침을 수립하는데 기반이 되고자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여성건강간호학 임상실습 간호행위를 분만실은 104개 항목, 12개 범주, 산과 병동은 89개 항목, 10개 범주, 부인과 병동은 82 개 항목, 7개 범주로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와 3년제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시에 분만실, 산과, 부인과 병동에서 경험하는 실무 항목별 실습 경험 현황과 이에 따른 간호학생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시에 임상에서 경험하는 실무 항목별 실습 경험 현황과 이에 따른 간호학생들의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이론과 실습 간의 괴리감 및 문제점을 도출해 냄으로써 향후 임상실습을 담당하는 교수와 실무교육자들이 여성건강간호학 임상실습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예를 들면, 유치도뇨 수행의 경우 제왕절개술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임신성 고혈압 환자의 고위험 산모간호를 위해서도 수행될 수도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사에 포함되지 않은 임상적 맥락 정보 대신 각 실습 내용을 임상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목적으로 분류하여 빈도분석하였다. 두번째는 본 연구의 실습 만족도의 자료분석 틀이 실제 여성 건강 간호 영역 전체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 교육의 일차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과학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실무 학문이므로 간호 교육의 일차적인 목표는 간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각 분야에서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무역량을 함양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대학에서는 이론 수업과 임상간호실습을 병행하여 바람직한 간호사를 배출하기 위한 교과과정을 운영해 왔다.
대학의 간호학 실습 과정이 불만을 사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대학의 간호학 실습 과정은 현실적으로 간호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학생, 간호사, 임상 실무교육자 및 대상자로부터 불만을 사고 있다. 간호학생은 이론과 임상의 차이를 실감하여 당혹감과 혼란스러움을 경험하는 등(Kim & Kim, 2009; Shin, 1996) 실습 관련 교과 내용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저 출산 경향으로 인하여 여성건강간호학 실습의 기조를 이루는 분만실이나 산과 실습에서 요구되는 사례를 적절하게 실습하지 못하고 실습기간을 마칠 수밖에 없는 형편에서 학생들의 불만의 소리는 더 욱 커지고 있는 형편이다. 또한 간호사는 간호 현장에서 학교 교육과 임상실무 간의 커다란 격차에 적응하지 못하고 간호직을 떠나는 경우가 빈번하며(Ji, 2009), 수간호사와 같은 임상 실무 교육자는 본 업무 외에 부수적으로 주어지는 학생실습 지도를 담당하면서 다양한 학교와 학년이 한 실습지에서 실습교육을 해야 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버겁고, 학교는 학생을 방치하는 느낌이 들며, 임상과 학교가 분리되어 있어 실습교육 전담자의 필요성이 절실하고 실습교육의 질적 성장이 불가피함을 지적해 왔다(Jeong, 2003).
간호학 임상실습과 관련된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에 간호학생 실습을 담당하는 대학에서는 갓 졸업한 신규간호사가 간호교육의 일차적인 목표인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고 임상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실무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임상실습 교과 과정의 재정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기초연구가 부족하며 특히 여성건강간호학 실습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지금까지 간호학 임상실습과 관련된 연구를 보면 4년제 간호대학을 중심으로 모성간호학 실습교육 방법이나 평가 방법 등의 현황조사(Kim & Park, 2006),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체험(Shin, 1996),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만족도, 자기효능감 등을 알아보는 연구(Kim, 2009), 기본간호학이나 아동간호학 실습 현황에 대한 연구(Kang & Kong, 1997; Kwon, 2002; Yang, 2005)가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는 간호교육을 담당하는 교수나 현장의 간호사가 간호학 실습 전반에 관하여 임상에서 필요한 실무 항목별로 필요성을 확인하거나, 학생들의 경험, 태도 및 만족도를 파악하는데 그쳤고, 상당수가 기본간호 실습 경험에 초점을 두었거나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날로 발전하는 여성건강간호학 실무에 대한 실습교육의 세부 현황을 파악하거나 문제점을 알아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Han, Park, & Cho, 2000; Park, 1993; Yoo, Yoo, Park, & So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ang, K. S., & Kong, E. S. (1997). A study on the content of fundamentals of Nursing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1), 83-95. 

  2. Cho, M. H., & Kwon, I. S. (2007).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143-154. 

  3. Choi, H. S. (2011). Number of Newborns Rises as Economy Picks up. Retrieved August 1, 2011, from http://biz.chosun. com/site/data/html_dir/2011/07/26/2011072600215.html 

  4. Han, K. S., Park, E. H., & Cho, J. Y. (2000). An inquiry into subjectivity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ttitud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3), 682-693. 

  5. Jeong, J. I. (2003). Head nurses experience connectedly with clinical practice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4(1), 88-102. 

  6. Ji, E. O. (2009). A study on field adaptation of new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Kim, B. H., Kim, S. Y. J., Lee, J. S., Tak, Y. R., Kim, H. S., Choi, E. S., et al. (1998). Clinical competency for directing of registered Nurses' national 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4), 1075-1087. 

  8. Kim, I. O., & Park, C. S. (2006). Current status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maternity nursing in Korea. -four-year course nursing school centere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1), 12-21. 

  9. Kim, J. S., Sun, J. J., & Kim, H. S. (2009).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Qualitative Research, 10(1), 63-76. 

  10. Kim, M. H. (2004). A study of male students experience majoring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0(2), 183-193. 

  11. Kim, Y. H. (2009). Relationship of self efficacy, self-directedn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3), 307-315. 

  12. Kwon, I. S. (2002). An analysis on clinical education of pediatric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d Health Nursing, 8(3) 344-356. 

  13. Lee, K. H., & Lee, Y. S. (Eds.). (2010). Maternity & women's health nursing. Seoul; Hyunmoonsa. 

  14. Lee, S. E. (2001). A study on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 direction for clinical education: Focused on maternity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2), 333-348. 

  15. Lim, N. Y., Kang, H. S., Suh, M. J., Yi, Y. J., Kwon, S. B., Kim, D. O., et al. (2004). Comparison on perceived importance and frequency of Nurse's role behaviors between medical and surg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2), 124-137. 

  16. Park, S. J. (1993).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 clinical education: Q 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4), 544-554. 

  17. Shin, K. R. (1996).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discovery of meaning in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8(1), 156-168. 

  18. Shon, Y. H., Kang, H. S., Park, Y. S., Han, H. J., Kwon, S. B., Cho, K. S., et al. (2006). Comparison of student nurses graduating from a junior college or a university on observation and performance of nursing ro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2), 172-181. 

  19. Yang, J. H. (2005). The experience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Qualitative Research, 6(2), 51-64. 

  20. Yoo, M. S., Yoo, I. Y., Park, Y. O., & Son, Y. J. (2002). Comparison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3), 327-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