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of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and Directio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2, 2014년, pp.173 - 183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강희선 (중앙대학교 간호대학) ,  박소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and identify necessary core nursing skills in this practicum area. Moreover, one syllabus and evaluation sheets for women's health nursing clinical practicum at one university were reviewed. Methods: A surve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습목표 1(모성/여성건강간호학 지식을 바탕으로 간호 실무에 적용한다)을 달성하기 위해 교수는 학생에게 모성/여성 건강간호 대상자 간호를 위한 간호지식과 기술을 사전학습 내용으로 공지하여 자율적으로 학습하게 하였다. 또한 대상자 간호에 필요한 교육 주제에 대해 교과서와 참고문헌을 통해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교육 자료를 작성하고 이를 발표하게 하였다. 평가방법은 퀴즈시험을 통해 대상자 간호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습득 정도를 평가하고, 교육자료 평가 체크리스트를 통해 학생들이 발표할 때 교육내용의 정확성과 합리적 근거, 발표자의 태도 및 전달방식의 효율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 92였다. 또한 해당 전공 핵심간호술기 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요구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 간호대학(간호학과)에서 모성/여성건강간호학 교과목을 담당하는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모성/여성건강 간호학 실습교육의 운영 실태 및 요구도와 전공 핵심간호술기를 파악하기 위해 횡단적 조사연구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성/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육에 대한 운영실태와 전공 핵심간호술기(안) 및 학회차원의 실습교육 지원에 대한 필요도를 조사하고, 인증평가를 마친 일개 대학의 실습교육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모성/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육의 운영실태와 전공 핵심간호술기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여 모성/여성 건강간호학 실습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여성건강간호학회 차원의 지원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변화하는 보건의료현장과 간호교육과정의 요구에 부응한 실습운영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각 대학의 모성/여성건강간호학 이론 및 실습교과목을 담당하는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실습교과목의 운영 실태를 처음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모성/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과목에 포함되어야 할 전공 핵심간호술기의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일개 간호대학의 실습 교과목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심기본간호술의 훈련은 무엇을 기초로 하는가? 또한 핵심기본간호술을 평가하는 목적은 졸업시점의 간호학생들이 상황에 적합한 핵심기본간호술을 수행하는 역량을 평가하기 위함이다[1]. 핵심기본간호술의 훈련은 기본간호학실습을 기초로 하고 전공실습 교과목에서 그 술기를 관찰하고 수련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져야 하나 각 대학마다 실습교과목의 학점, 학습목표, 실습지도 및 평가방법이 다양하고, 또한 병원 현장에서 적절한 실습장소 부족, 실습 현장의 지도와 감독의 질 저하 등으로 현장실습을 통한 간호술기의 훈련과 역량 함양은 매우 어려운 상태이다[2].
학생간호사는 대상자 접근을 통한 간호사정 및 간호문제 확인을 통한 간호중재의 제공이 어렵게 되었고 술기 수행의 기회까지 감소하고 있는 배경은? 하지만 자연분만을 경험하는 대상자를 관찰할 기회는 적어지고 있는 반면 고위험 임산부의 증가로 인해 임신과 분만 중에 의료적 처치가 증가하고, 제왕절개분만을 하는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시간이 늘고 정상 분만을 하는 여성의 간호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또한 병원을 이용하는 대상자의 인권 존중과 사생활 보호 및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학생간호사는 대상자 접근을 통한 간호사정 및 간호문제 확인을 통한 간호중재의 제공이 어렵게 되었고 술기 수행의 기회까지 감소하고 있다[3].
학생간호사들의 직접간호 수행 기회는 극히 제한적인 이유는? 분만이나 수술을 받는 대상자를 위한 직접간호 수행 기회는 극히 제한적이고 간호사가 제공하는 간호과정을 관찰하는 것이 대부분이다[4]. 특히, 분만실 실습의 경우는 대상자와 가족의 사생활 보호 요구로 인해 대상자에게 접근하는 것과 분만진행에 대한 관찰도 제한되어 있어 학생들은 분만과정에 참여하여 진통관리와 같은 산부 간호를 제공하기 어렵다. 언제 출산할 것인가에 대한 정확한 분만시간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실습 기간 중에 출산과정을 관찰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더구나 남학생의 경우 분만의 단순 관찰 기회조차 얻기 어렵고 일부에서는 분만실 실습 자체를 금지하는 기관도 있어[5], 의학 및 간호학교육 현장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방법을 활용하기도 한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ore basic nursing skill items; 2012 [cited 2012 May 1] Available from http://www.kabon.or.kr/HyAdmin/upload/goodFile/120120 319112302.pdf 

  2. Song J, Kim M. Study on clinical education for nursing in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2):251-264. 

  3. Lee SO, Eom M, Lee JH. Use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7;13(1):90-94. 

  4. Kim YM, Chun NM, Lee EH, Cho IS, Ahn S, Kim JI, et al. Student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nursing practice in women's health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7(3):225-242. 

  5. Kim MH. A study of male students experience majoring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4;10(2):183-193. 

  6. Chung CW, Kim HS, Park YS.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 based education on maternity nursing.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1;8(2):86-96. 

  7. Park JH, Jung E, Ko JK, Yoo HB. Delivery training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using birth simulator.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8;51(9):950-956. 

  8. Kim YH, Hwang SY, Lee AY. Perceived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1): 37-46. 

  9. Carlson S, Kotz WJ, Van Rooyen D. Experience of final year nursing students in their preparedness to become registered nurses. Curationis. 2005;28(4):65-73. 

  10. Cowin LS, Johnson M, Craven RG, Marsh HW. Causal modeling of self-concept,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of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8;45(10):1449-1459. 

  11. Kim HY, Ko E, Lee ES.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competence in maternity nursing practicu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4):312-320. 

  12. Kim SA, Lee SK, Chae HJ.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and simulation- based practice for obstetrical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3):180-189. 

  13. Lee, WS, Kim M. 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 based training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4):433-443. 

  1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Outcome 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aculty Workshop; 2013 July 1-2; Daejeon, Korea. Seoul: Author; 2013 Jun. 58 p. 

  15. Kim HS.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for clinical education in health and nursing department. Seoul: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2013 Report No.: 2013-8. 

  16. Cant RP, Cooper SJ.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 66(1):3-15. 

  17. Song YA, Son, YJ.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for core skill of maternity nursing.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2013;16(1):37-44. 

  18. Lee SE. Evaluation of the standardized patients (SP) managed instruction for a clinical maternity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1): 14-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