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우울 및 고립감의 관계
The Association among Activity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Isolation in Disabled People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4 no.1, 2011년, pp.5 - 12  

최영순 (국민건강보험공단) ,  김현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영희 (혜천대학 간호과) ,  임재란 (대전보건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among of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depression and isolation in disabled people.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761 disabled people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과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제한과 우울 및 고립감과의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있는 장애인의 실태를 파악하고, 특히 우울과 고립감의 감소를 위한 간호제공을 위한 기틀을 발견하고, 장애인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하는 체계적이고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계획 및 중재전략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국단위 표본을 활용하여 포괄적인 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 도구적 일상생활동작과 우울, 고립감과의 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전국단위의 장애인 실태조사는 보건소 및 다양한 지역사회시설, 장애를 가진 노인간호시설 등에서 장애인 대상의 재활 및 건강증진 사업을 하고자 할 때 장애인의 개별적인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계획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우울 및 고립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과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제한과 우울 및 고립감과의 연구를 통하여 장애인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하는 체계적이고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계획 및 중재전략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 장애인의 경우 고립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는데 장애인의 고립감에 대한 심층적인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고립감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를 통해 우울의 감소를 가져와 긍정적인 재활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표본을 활용한 장애인 대상의 연구로서 장애인의 긍정적인 재활을 위한 간호중재시 일상생활동작,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증진, 우울, 고립감의 감소를 통해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재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들 수 있다.
  • 특히 영구적인 장애를 가지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에 비해 일상생활동작 및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제한 및 장애가 있게 되고, 이러한 상황은 신체적 정서적으로 고립, 외로움, 소외감을 발달시키고, 인지기능, 신체기능을 저하시키며,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발달시키게 되므로(Bak, 2006; Cacioppo & Hawkley, 2009)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재활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생활동작 및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우울 및 고립감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어떤 동작에 제한을 받게 되는가? 장애란 “개인의 연령과 성별에서 기대되는 사회적 역할 즉 자기관리, 사회적 관계 및 경제적인 활동 등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활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Lee & O, 1999). 따라서 장애인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목욕, 옷입기, 화장실 이용과 같은 일상생활동작(Activity of Daily Living)에 제한이 있게 되고, 나아가 가사, 취미, 사회활동 등 도구적 일상생활동작(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에도 제한을 받게 된다.
장애란? 인구의 노령화, 산업재해,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사고, 치료가 불가능한 새로운 질병 등으로 장애 인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장애란 “개인의 연령과 성별에서 기대되는 사회적 역할 즉 자기관리, 사회적 관계 및 경제적인 활동 등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활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Lee & O, 1999). 따라서 장애인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목욕, 옷입기, 화장실 이용과 같은 일상생활동작(Activity of Daily Living)에 제한이 있게 되고, 나아가 가사, 취미, 사회활동 등 도구적 일상생활동작(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에도 제한을 받게 된다.
일상생활동작(ADL), 도구적 일상생활동작(IADL) 수행능력과 우울정도가 연관이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이러한 일상생활동작(ADL), 도구적 일상생활동작(IADL) 수행능력의 제한 및 장애는 장애인의 우울과 무력감을 높이고 나아가 장애인의 삶의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Bak, 2006; Cho, Ko, & Kim, 2003; Lee & O, 1999). 선행연구에 의하면 일상생활동작 및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제한은 우울을 증가시키며, 일상생활동작 및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정도는 낮아진다(Bak, 2006; Hairi, Bulgiba, Cumming, Naganathan, & Mudla, 2010; Kim, 2006; Kim et al., 2009; Lee & O, 1999; Srivastava, Taly, Gupta, & Murali,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S. T. (2008). A study of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tors on the reducement of disabled people's alie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2. Bak, H. K. (2006). The relationship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 risk indicator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9(2), 134-144. 

  3. Byun, Y. C. (2009).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vilities, 2008,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4. Cacioppo, J. T., & Hawkley, L. C. (2009). Perceived social isolation and cognition. Trends Cognition Sciences, 13(10), 447-454. 

  5. Chang, M., Phillips, C., Coppin, A. K., van der Linden, M., Ferrucci, L., Fried, L., & Guralnik, J. M. (2009). An association between incident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over 3 years of follow-up among older women: the women's health and aging study, Aging Clinical Experimental Research, 21(2), 191-197. 

  6. Cho, B. H., Ko, M. H., & Kim, S. Y. (2003). A study on stroke patient's ADL, depress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6(1), 51-60. 

  7. Chon, K. K., & Rhee, M. K. (1992).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A preliminary study,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2, 437-445. 

  8.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 1-11. 

  9. Hairi, N. N., Bulgiba, A., Cumming, R. G., Naganathan, V., & Mudla, I. (2010).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hysical disability and functional limitation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people in rural Malaysia, a middle income country. BMC Public Health, 18(10), 492-505. 

  10. Han, J. Y. (2009). The relationship of sport club participation with depression and social/emotional isola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8(2), 1227-1237. 

  11. Harry, V., & Fran, G. (1987). Measuring the emotional/soci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Journal of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2(2), 257-270. 

  12. Kim, H. S., Hwang, Y. O., Yu, J. H., Jung, J. H., Woo, H. S., & Jung, H. S. (2009).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3), 41-53. 

  13. Kim, M. H. (2006).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poststroke hemiplegi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4), 911-927. 

  14. Kwon, B. S., & Park, H. S. (2005).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of female adults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1), 169-192. 

  15. Lee, H. B.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suicide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of School of Korean Christian University, Seoul. 

  16. Lee, H. J., & Khang, S. K.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ors, psychosocial resources, and depression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ental Health & Social Work, 33, 193-217. 

  17. Lee, J. Y. (2002).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18. Lee, M. J., & O, Y. T. (1999). The correlation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depression level in persons with cerebral pals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7(1), 46-55. 

  19.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es. (2009).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Seoul. 

  20. Park, M. H. (2008).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on the feeling of social isolation and the stress cop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21. Park, Y. H., & Khang, H. S.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isolation in older adult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5), 712-719. 

  22. Paul, C., Ayis S., & Ebrahim, S. (2006). Psychological distress, loneliness and disability in old age. Psychology, Health & Medicine, 11(2), 221-232. 

  23. Radloff, L. (1977). The CES-D scale: A new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24. Seeman, M. (1975). Alienation Studi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1, 91-123. 

  25. Shin, E. K. (2009). A study on the stress, depression, personal value perception affecting human rights of self-advocacy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family fun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3), 597-616. 

  26. Srivastava, A., Taly, A. B., Gupta, A., & Murali, T. (2010). Post-stroke depression: Prevalence and relationship with disability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nnual of Indian Academy of Neurology, 13(2), 123-127. 

  27. Vincenzi, H., & Grabosky, F. (1989). Measuring the emotional social aspects of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In M. Hojar, & R. Crandall(Eds), Loneliness. Newburry Park: Sage Publication. 

  28. Yu, S. J., Kim, H. S., Kim, K. S., & Baik, H. G. (2001).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self-help management program by strengthening self-efficacy of post stroke elderly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4(2), 187-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