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간재활 프로그램이 산업재해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Day Care Rehabilitation Program on Physical and Emotional Function of Patients with Job-related Injury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4 no.1, 2011년, pp.54 - 61  

김미란 (대전산재병원) ,  소희영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ay care rehabilitation program managed by nurses on physical and emotional function of patients with job-related injuries. Method: A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irty patients participat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업재해로 급성기 입원 치료가 끝난 후 통원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주간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체적 ․ 정서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군 사전, 사후 유사 실험 설계 연구이다. 급성기 산재병원에서 주간보호재활센터 운영이 처음이고 신체, 정서적 기능을 탐색하기위한 이 연구가 초기연구이므로 대조군을 둘 수 없는 단일군 유사실험 연구이다.
  • 이와같이 본 프로그램은 재활간호 및 상담, 물리․작업치료, 심리치료로 구성하여 재활 팀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지지와 함께 가족의 지지를 이끌어 내며 환자들 간의 유기적 관계형성, 긍정적 자아 형성을 도와 가족 및 사회 속에 통합 되도록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이 좋은 산재병원의 주간재활 프로그램이 산재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사회복귀에 기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자는 재활의학 전문의에 의해 의뢰된 환자 중 면담을 통하여 주간재활 프로그램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에 동의한 사람을 선정하였다. 신체기능 평가는 연구자와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가 평가하였으며 정서기능 평가는 임상심리사와 연구자가 함께 수행하였다.
  • 산업재해 환자를 대상으로 주간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 전ㆍ후의 신체적 운동기능, 일상생활동작과 정서적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며,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갖는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산재병원의 재활간호사로서 급성기 치료가 끝난 산재환자에게 재활 팀과 함께 산재환자의 주간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신체적 기능 뿐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의 복귀에 필요한 심리적인 적응을 돕고자 시도하였다. 재활간호사는 주간재활 프로그램의 운영을 책임지며, 프로그램내에서 훈련을 통하여 산재장애인의 최대한 신체, 심리적 기능을 극대화하고 자가관리 능력을 함양해 주며, 그 외에 바른 자세유지, 피부 통합성관리, 배설 관리, 만성질환 관리, 약물복용 등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을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재환자의 부적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재활 프로그램이 필요한가? 산재환자는 불의의 사고로 인한 신체적 손상에 대해 심리적 불안과 사회적응 곤란으로 요양 장기화와 직장 복귀에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조기 재활중재가 중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심리안정 기능을 강화하여 재활 접근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재활프로그램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산재 장애인에게 있어 필수적인 재활서비스는 이들의 능력을 극대화시켜 산재 이전의 기능회복과 심리적 부적응 상태로부터 탈피하는데 역점이 맞추어져야하고(Kim, Lee, & Ha, 2001), 산재 장애인 재활정책의 방향은 산재이후 이들이 사회에 통합될 수 있도록 접근해야 한다.
직장으로 복귀하지 못한 산재 근로자는 어떤 문제가 있는가? 산업재해로 인한 신체 기능의 손실은 운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동작도 제한적이어 근로자가 재해 발생이전의 가정, 직장, 사회에서 수행하던 역할이 제한되고 사회관계의 손실을 초래하여 재해자의 사회복귀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특히 직장으로 복귀하지 못한 산재 근로자는 경제적인 어려움과 사회관계의 단절로 사회로부터 소외되는 현상마저 보이고 있으며, 이들이 갖게 되는 부정적인 심리반응은 큰 사회문제가 될 수 있다(Jeong, Park, Koo, & Roh, 2003). 산재장애인은 갑작스런 신체기능의 상실 및 역할제한에서 오는 심한 우울(Derevery & Tullis, 1983; Eun, 1999)과 높은 불안을 보이는데(Cha & Park, 1986; Chang, Choi, Kang, & Park, 2009), 이러한 심리, 사회적 어려움 때문에 장애의 회복이나 재활의 기회를 상실할 수 있다.
산업재해로 인한 신체 기능의 손실은 근로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산업재해로 만성적인 신체증상이나 영구적인 기능 손실이 초래될 경우 이로 인한 고통은 근로자와 가족의 삶 전체를 변화시킨다. 산업재해로 인한 신체 기능의 손실은 운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동작도 제한적이어 근로자가 재해 발생이전의 가정, 직장, 사회에서 수행하던 역할이 제한되고 사회관계의 손실을 초래하여 재해자의 사회복귀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특히 직장으로 복귀하지 못한 산재 근로자는 경제적인 어려움과 사회관계의 단절로 사회로부터 소외되는 현상마저 보이고 있으며, 이들이 갖게 되는 부정적인 심리반응은 큰 사회문제가 될 수 있다(Jeong, Park, Koo, & Roh,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61-571. 

  2. Carr, J. H., Shepherd, R. B., Nordholm, L., & Lynne, D. (1985).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65, 175-180. 

  3. Cha, B. S., & Park, J. G. (1986). Mental health status among users of medical facilities in mining a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19(2), 233-243. 

  4. Chang, C. M., Choi, N. H., Kang, H. S., & Park, S. H. (2009). The level of impacts of event,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injured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2), 234-242.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Second Ed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6. Derevery, V. J., Tullis, W. H. (1983). Delayed recovery in the patient with a work compensable injury.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25(11), 829-835. 

  7. Eun, B. K. (1999).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laborers from industrial acci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8. Hahn, H. M., Yum, T. H., Shin, Y. W., Kim, K. H., Yoon, D. J, & Chung, K. J. (1986).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5(3), 487-502. 

  9. Han, Y. A. (2004). Analysis of in daily activities,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hemiparesis patients due to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Wonju. 

  10. Jeong, W. M., Park, C. Y., Koo, J.. W., & Roh, Y. M. (2003). Predictors of return to work in occupational injured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5(2), 119-131. 

  11. Kang, M. S., & Yang, J. H. (2005).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MMAS, functional fitness and blood lipid profile in chronic female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4(5), 837-848. 

  12.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11), 69-75. 

  13. Kim, J. Y., Lee, E, J., & Ha, E. H. (2001).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3(2), 141-151. 

  14. Kim, M. H. (2006).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poststroke hemiplegia.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4), 911-927. 

  15. Kim, S. J. (200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for rehabilitation services of persons with occupational inju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6.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0). Stat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Retrieved March 25, 2011, from http://oshri.kosha.or.kr/board 

  17. Ko, S. H., & Lee, M. H. (2002). The need for rehabilitation day care center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9(2), 114-128. 

  18. Lee, H. J., & Yi, M. S. (2006). Adjustment of middle-aged people with hemiplegia after a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5), 792-802. 

  19. Lee, S. J. (2000). An application effect of rhythmic movement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 Lim, I. S., & Jeon, W. C. (2003). The effects of aquatic training on physical function,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 blood lipid in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2(4), 647-654. 

  21. Lim, Y. H., Suh, I. S., & Chung, S. H. (2010). Effects of surgery information service one-day surgery patients' anxiety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1), 1-10. 

  22. Mahoney, F. I., &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23. Park, E. K. (2000). Effects of the dance therapy on the mental health of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14(1), 95-103. 

  24. Park, G., & Shin, S. J. (2010).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atigue in the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3(1), 23-31. 

  25. Park, S. (1997).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of disabled workers due to industrial injury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6. Shah, S., Vanclay, F., & Cooper, B. (1989).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2(8), 703-709. 

  27. Shin, H. C., Kim, W. G., & Kang, J. I. (2005). The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 for motor control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7(3), 377-390. 

  28. Spielberger, C. D. (1975). Anxiety; state-trait process: stress and anxiety. New York: John Wiley & Sons. 

  29. Sok, S. Yang, K. S., Kim, K. B. (2006). The effect of morning stretching on depression and motivation of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7(4), 573-681. 

  30. Suh, M. J., Kim, K. S., Kim, I. J., Cho, N. O., Choi, H. J., & Jeong, S. H. (2001). The need for rehabilitation day care program service of stroke survivor's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4(2), 207-218. 

  31. Yoo, M. S., Lee, H. J., & Yoon, J. A. (2009).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nursing intervention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women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radi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2), 157-1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