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시간 근로와 산업재해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Working Hours and Industrial Accident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3 no.1, 2014년, pp.39 - 46  

이주영 (근로복지공단 동해산재병원) ,  최은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임성호 (한국노동조합총연맹) ,  김형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hours and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disasters based on manufacturing businesses that are members of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Methods: Repliers were managers of the safety & health department in the union, and 215 surveys ou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2년 한국노동조합총연맹에 가입된 제조업 사업장을 대상으로 장시간근로가 산업재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조업 사업장에서 장시간 근로가 산업재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주당 평균 근로시간이 52시간 미만인 경우와 52시간 이상인 경우를 구분하여 산업재해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52시간 이상인 경우에서 산업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2.
  •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에 가입된 제조업 사업장을 대상으로 장시간 근로가 산업재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이다.
  • , 2008)가 있으나, 실제 근로시간을 파악하여 장시간근로와 산업재해와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사업장에 대한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장시간근로가 산업재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당 근로시간이 긴 경우에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보고 내용은? 주당 근로시간이 긴 경우에는 주관적 피로호소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는 보고가 있고(Park, Kim, & Cho, 1999), 근로시간이 연장되면 수면부족 ‧ 졸음 ‧ 피로 ‧ 제품의 불량률 상승 등을 일으키며, 유해물질에 대한 직업적 노출 시간을 늘리게 되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유해하다는 보고가 있다(Beaumont, Batejat, Coste, & Doireau, 2005).
연장근로와 휴일근로가 병행되면서 근로자들의 실근로시간은 나타내는 내용은?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은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사업규모에 따라 연차적으로 주 40시간 근로제가 실시되었다(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 하지만 법정근로시간의 단축에도 불구하고 사업장에서는 연장근로와 휴일근로가 병행됨으로써 근로자들의 실근로시간은 2008년 2,057시간, 2009년 2,074시간, 2010년 2,111시간 등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에는 OECD 국가 평균인 1,692시간과 비교할 때 연간 419시간, 즉 2.
우리나라는 여전히 장시간 근로를 하는 근로자들이 많은 실정은 나타내는 통계청의 자료분석 내용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여전히 장시간 근로를 하는 근로자들이 많은 실정이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분석해 보면 우리나라에서 주 52시간을 초과하여 장시간 근로를 하는 근로자는 2011년에 380만명에 이르러 전체 근로자 1,740만명의 21.8%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2012). Jung, Kim, Jhang, Yi, Kim과 Lee (2005)의 연구에서도 법정근로시간이 주 40시간으로 단축된 이후 실근로시간은 주당 평균 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aumont, M., Batejat, D., Coste, O., & Doireau P. (2005). Recovery after prolonged sleep deprivation: Residual effects of slow-release caffeine on recovery sleep, sleepiness and cognitive functions. Neuropsychobiology, 21 (1), 16-27. 

  2. Hanecke, K., Tiedemann, S., Nachreiner, F., & Grzech-sukalo, H. (1998). Accident risk as a function of hour at work and time of day as determined from accident data and exposure models for the German working popul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24 (3), 43-48. 

  3. Hong, S. J., Jeon, M. J., & Kim, C. Y. (2011). The actual state of industrial accidents in small-medium manufacturing industri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1), 93-103. 

  4. Hossain, J. (2004).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 of sleep and performance in daytime versus nighttime sleep in extended-hours shift-workers at an underground min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6 (3), 212-226. 

  5. Hwang, S. J. (2011). Improvement of labor standard act article. 59 and reduction of long work hour. Bimonthly Labor Journal of FKTU Research Center, 8, 73-92. 

  6. Johnson, J. V., & Limpcomb, J. (2006). Long working hours, occupational health and the changing nature of work organization.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9, 921-929. 

  7. Jung, H. S., Kim, W. Y., Jhang, W. G., Yi, Y. J., Kim, J. Y., & Lee, B. I. (2005). A Study on impacts of shortened work hours on industrial accidents.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8. Jung, J. Y., Choi, J. W., Yoon, S. J., & Lee, J. Y. (2002). Study on application of industrial accident loss cos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Symposium (pp. 79-80). 

  9. Kim, S. T., Park, W. S., Ahn, J. U., Jeon, B. Y., & Jung, J. H. (2001). Socio-economic effects of working hour reduction. Gwangju: Korea Labor Institute. 

  10. Kim, W. Y., Jung, H. S., Jhang, W. G., & Yi, K. H. (2008). Reduction of working hours and the change in the occupational accident rat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7 (4), 79-90. 

  11. Kim, Y. S. (2011). The effect of 40-hour work week system on leisure life of workers.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17 (1), 37-71. 

  12. Lee, K. H., & Song, M. K.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system of work place and the incidence of industrial accident.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Symposium. (pp. 51-59). 

  13. Lee, K. S., Kim, H. S., Chang, S. H., Choi, K. H., Oh, W. K., Choi, J. W., et al. (2006). Relationship between injury occurrence and workplace organization in small-sized manufacturing factori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8 (2), 72-86. 

  1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 The Labor Standard Act. 

  1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2).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1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3). 2012 Status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 

  1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http://nicework.kr/bbs/board.php?bo_tableb13 

  18. OECD (2011). Employment Outlook. 

  19. Park, J. S., Kim, Y, H., & Cho, Y. S. (1999), Effect of long work hours on cardiovascular function. Ulsan: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08). Long working hour labor status and improvement - Focusing manufacturing. Seoul: Author. 

  21. Shin, I. C. (2010). Understanding industrial accidents and prevention education in electronical manufactur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2. Sim, K. S. (2004). Study on the influences upon job performance by the changes of leisure activities resulted from 5-day workweek:Based upon the cases of administrative staffs in college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3. Sokejima, S., & Kagamimori, S. (1998). Working hours as a risk factor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Japan: Case-control. British Medical Journal, 371, 775-780. 

  24. Statistics Korea. (2012).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Daejeon: Author. 

  25. Uehata, T. (1991). Long working hours and occupational stressrelated cadiovascular attacks among middle-aged workers in Japan. Journal of Human Ergology, 20, 147-153. 

  26. Yoon, J. D., & Han, C. H. (2007).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revitalization plan of the honorary industrial safety inspector system: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Labor Institute, 7 (2), 159-1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