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AMP 신호전달과정을 통한 신규 천연유래물질 펩타이드 유도체의 미백 효능 연구
Whitening Efficacy Study of Natural Compounds-Peptide Derivatives via cAMP Signaling Pathway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7 no.3, 2011년, pp.275 - 282  

이혜숙 (애경산업(주) 중앙연구소) ,  신경훈 (애경산업(주) 중앙연구소) ,  류근석 (애경산업(주) 중앙연구소) ,  지경엽 (애경산업(주) 중앙연구소) ,  조인식 (애경산업(주) 중앙연구소) ,  김한영 (애경산업(주)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C1R의 길항제 역할을 하는 펩타이드와 tyrosinase를 저해하는 효능을 가지는 천연유래 물질을 유도체화하여 신규 미백소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기작에 의한 미백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cAMP 신호전달 과정을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총 24종의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cAMP assay의 결과를 통해 11종의 유도체를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유도체에 대하여 멜라닌 형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여 본 평가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RW를 서열에 포함하는 펩타이드 유도체가 특별히 멜라닌 형성 억제 효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AMP assay는 MC1R의 antagonist라는 특정 타겟 물질을 디자인한 소재의 스크리닝 방법에는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미백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저해 시험과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vel whitening agents were prepared using peptide-Natural origin compound derivatives. The peptide could be an antagonist of MC1R and Natural origin compound were well-known material as a Tyrosinase inhibitor. We also suggest the new assay method which could evaluate the Antagonistic effectivene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는 이번 논문에서 새로이 제조된 펩타이드 유도체를 활용하여 개발된 평가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미백효능을 가지는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를 선별하고자 한다.
  • 이번 연구에서는 MC1R의 antagonist 효능을 가지는 펩타이드 서열을 활용하여 미백 효능을 가지는 새로운 유도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MC1R의 antagonist 효능을 가지는 펩타이드로는 α-MSH의 핵심서열을 활용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MC1R의 antagonist 효능을 가지는 펩타이드 서열을 활용하여 새로운 유도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α-MSH의 핵심서열로 알려져 있는 HFRW를 기본으로 하여[17] 그와 유사한 아미노산으로 일부를 대체하거나 순서를 변경하여 caffeic acid와 coumaric acid를 결합하여 펩타이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 이에 우리는 지난 연구에서 α-MSH 자체의 발현을 억제하여 tyrosinase의 발현을 저해하는 기작을 접목한 신규한 미백소재를 개발하여 발표하였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yrosinase의 발현과 관련된 MC1R은 무엇인가? Tyrosinase의 발현은 MC1R의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MC1R은 MC2R, MC3R, MC4R, MC5R과 함께G-protein-coupled receptor (GPCR)에 속하는 수용체로서, cAMP pathway를 자극시킨다. 따라서, cAMP assay는 타겟 물질이 agonist 혹은 antagonist의 성질을 갖는 지 확인하는 데 적용될 수 있으며, 우리는 MC1R의 antagonist 효능을 갖는 신규 미백소재를 효과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cAMP를 이용한 평가법을 도입하여 시료를 스크리닝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천연물 펩타이드 유도체들의 미백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무엇을 이용하였는가? 합성한 24종의 천연물 펩타이드 유도체가 미백제로서의 효능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B16F1 murine melanoma cell을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B16F1 murine melanoma cell에 펩타이드 유도체 50 µM와 α-MSH 1 µM를 3일간 처리한 후에 세포를 수득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흡광도로 측정하여 구하였다.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은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하는가? 멜라닌형성세포에서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하는 물질중의 하나는 roopiomelanocortin (POMC)의 분해산물인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이 있다. 멜라닌 생성 과정에서 α-MSH는 멜라닌형성세포에 존재하는 melanocortin receptor 1 (MC1R)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2] G-protein을 통해 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키고, 이 효소는 adenosine triphosphate(ATP)를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로 전환시킨다[3]. 이 cAMP는 protein kinase A (PKA)를 활성화시키고, PKA는 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을 인산화시켜 활성화시킨다[4–7].그 다음에 CREB는 microphthalmia transcription factor(Mitf)의 M promoter에 있는 cAMP responsive element (CRE) domain에 결합하고[8–10], Mitf의 발현이 증가함으로써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1과 TRP-2의 발현이 증가한다[6,11,12]. 발현이 증가된 tyrosinase는 멜라닌 합성의 속도결정단계인 초기반응에 작용하는 효소로서, tyrosine을 3,4-dihydroxyphenylalanine (DOPA)로 전환하는 tyrosine hydroxylase활성과 DOPA를 DOPAquinone으로 산화하는 DOPA oxidase활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 Schallreuter, A. Slominski, J. M. Pawelek, K. Jimbow, and B. A. Gilchrest, What controls melanogenesis?, Exp. Dermatol., 7, 143 (1998). 

  2. R. D. Cone, D. Lu, S. Koppula, D. I. Vage, H. Klungland, B. Boston, W. Chen, D. N. Orth, C. Pouton, and R. A. Kesterson. The melanocortin receptors: agonist, antagonist, and the hormonal control of pigmentation, Recent Prog. Horm. Res., 51, 287 (1996). 

  3. S. Im, O. Moro, F. Peng, E. E. Medrano, J. Cornelius, G. Babcock, J. J. Nordlund, and Z. A. Abdel-Malek. Activation of cyclic AMP pathway by a-melanotropin mediates the response of human melanocytes to ultraviolet B radiation, Cancer Res., 58, 47 (1998). 

  4. C. Bertolotto, P. Abbe, T. J. Hemesath, K. Bille, D. E. Fisher, J. P. Ortonne, and R. Ballotti. Microphthalmia gene product as a signal transducer in cAMP-induced differentiation of melanocytes, J. Cell. Biol., 142, 827(1998). 

  5. E. R. Price, M. A. Horstmann, A. G. Wells, K. N. Weilbaecher, C. M. Takemoto, M. W. Landis, and D. E. Fisher, $\alpha$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signaling regulates expression of microphthalmia, a gene deficient in Waardenburg Syndrome, J. Biol. Chem., 273, 33042 (1998). 

  6. R. Busca and R. Ballotti,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3, 60 (2000). 

  7. M. Tachibana, MITF: a stream flowing for pigment cells, Pigment Cell Res., 13, 230 (2000). 

  8. C. Bertolotto, R. Busca, P. Abbe, K. Bille, E. Aberdam, J.-P. Ortonne, and R. Ballotti, Different cis-acting elements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RP1 and TRP2 promoter activities by cyclic AMP: pivotal role of M boxes (GTCATGTGCT) and of microphthalmia, Mol. Cell. Biol., 18, 694 (1998). 

  9. E. R. Price, H.-F. Ding, T. Badalian, S. Bhattacharya, C. Takemoto, T.-P. Yao, T. J. Hemesath, and D. E. Fisher, Lineage-specific signaling in melanocytes. c-Kit stimulation recruits p300/CBP to microphthalmia, J. Biol. Chem., 273, 17983 (1998). 

  10. S. Shibahara, K. Takeda, K. Yasumoto, T. Udono, K. Watanabe, H. Saito, and L. Takahashi,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ultiplicity in structure, function, and regulation, J. Invest. Dermatol. Symp Proc., 6, 99 (2001). 

  11. T. Kobayashi, W. D. Vieira, B. Potterf, C. Sakai, G. Imokawa, and V. J. Hearing, Modulation of melanogenic protein expression during the switch from eu- to pheomelanogenesis, J. Cell. Sci., 108, 2301 (1995). 

  12. C. Sakai, M. Ollmann, T. Kobayashi, Z. Abdel- Malek, J. Muller, W. D. Vieira, G. Imokawa, G. S. Barsh, and V. J. Hearing, Modulation of murine melanocyte function in vitro by agouti signal protein, EMBO J., 12, 3544 (1997). 

  13. K.-H. Shin, J. H. Lee, G. S. Ryu, K. Y. Jee, S. N. Park, J. I. Kim, I. S. Cho, and H.-Y. Kim, Preparation of natural compounds-tripeptides derivatives and their melanogensis inhibitory activity,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6(3), 233 (2010). 

  14. T. K. von Almen, G. A. Olson, and R. D. Olson, Behavioral effects of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release-inhibiting factor-1,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7(2), 257 (1983). 

  15. WO2007137015A2, Dermatological uses of tri-, tetra-, penta-, and polypeptides. 

  16. A. M. Lopez-Contreras, J. H. Martinez-Liarte, F. Solano, P. Samaraweera, J. M. Newton, and J. T. Bagnara, The amphibian melanization inhibiting factor (MIF) blocks the alpha-MSH effect on mouse malignant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9(6), 311 (1996). 

  17. T. Brzoska, T. A. Luger, C. Maaser, C. Abels, and M. B?hm, $\alpha$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nd related tripeptides: biochemistry, antiinflammatory and protective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and future perspectives for the treatment of immune- mediated inflammatory diseases, Endocrine Reviews, 29(5), 581 (2008). 

  18. S. Froidevaux and A. N. Eberle, Homologous regulation of melanocortin-1 receptor (MC1R) expression in melanoma tumor cells in vivo, J Recept Signal Transduct Res., 22(1-4), 111 (2002). 

  19. V. J. Hruby, G. Han, and M. E. Hadley, Design and bioactivities of melanotropic peptide agonists and antagonist: Design based on a conformationally constrained somatostatin template, Letters in Peptide Science, 5, 117 (1998). 

  20. T. Takuji, S. Chikara, O. Kenkichi, and S. Keikichi,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inhibitor and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Europ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umber EP 0 389 950 A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