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규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천연물과,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을 저해하는 펩타이드를 결합한 소재를 고체상 합성법으로 제조하였다[1,2]. Tyrosinase 활성 억제 효능이 있는 천연유래물질을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중에서 상업화 된 물질 17종에 대해 Mushroom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그 중 caffeic acid, coumaric acid를 선별하였다. 펩타이드는 $\alpha$-MSH 분비를 억제하며, tyrosinase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melanostatin을 선정하였으며[3-5], PLG-$NH_2$ (Proline-Leucine-Glycine-$NH_2$) 중에서 유도체화 수율의 저하 원인으로 예상되는 Proline (Pro)의 서열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변경하면서 선별된 천연물인 coumaric acid와 caffeic acid에 도입하였다. 또한 최종물질의 원가를 고려하여 acid-amide 형태를 acid형태로 전환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이들 펩타이드 유도체들에 대해서 B16F1 melanoma cell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여 유도체화된 물질이 기존의 천연유래물질이나 펩타이드에 비하여 높은 저해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rivatives of a novel natural compunds, melanostatin (PLG-$NH_2$) were prepared by solid phase synthesis[1,2] and assayed to evaluate their melanogensis inhibitory activity. Also, a small library (natural compound-XLG-$NH_2$, natural compound-X LG-OH) was prepared with same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유도체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선정된 펩타이드의 서열 중에 천연유래물질이 도입되는 쪽인 N 말단의 Proline (Pro)를 다른 구조가 간단한 아미노산으로 바꾼 형태의 작은 library를 제조하였다. C-말단 부분도 amidation을 진행하지 않은 acid 형태로 유지한 library도 제조하였으며, 준비된 각각의 유도체에 대하여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새로운 미백 소재로 가장 개발 가능성이 높은 유도체를 찾고자 하였다.
  • 결론적으로 미백기능을 갖는 천연유래물질과 펩타이드의 유도체화를 통해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천연유래물질의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oumaric acid와 caffeic acid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펩타이드의 결합을 통해서 더욱 강력한 미백 소재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백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에 일반적인 유기물질 대신에 천연유래물질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물질을 결합하여 미백 효능의 상승효과를 발휘하면서도 안정성이 높은 인체에 안전한 신규 미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유래물질의 탐색하였고, 이 중에서 선정된 caffeic acid와 coumaric acid에 미백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를 도입한 유도체를 합성하고 합성된 유도체의 미백 활성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특히 최근 들어서는 기존에 상용화가 가장 많이 되어 있는 티로시나제의 저해라는 하나의 미백 기작[8,9]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작을 연구하고 적용하려는 경향이 늘고있다. 이는 기존에 상용화된 미백 소재들의 한계가 점차 드러남에 따라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이를 극복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멜라닌 형성을 촉진시키는 자외선, 사이토카인 및 호르몬 등의 영향을 감소시키거나[10], 티로시나제의 전사를 조절하는 멜라닌 생성 전 단계[11-16], 생성된 멜라닌이 멜라노좀의 형태로 각질형성 세포에 전달되는 멜라닌의 전달 단계 등을 조절하는 소재[17,18] 등 여러 가지 다른 기작을 조절하는 소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미백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에 일반적인 유기물질 대신에 천연유래물질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물질을 결합하여 미백 효능의 상승효과를 발휘하면서도 안정성이 높은 인체에 안전한 신규 미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유래물질의 탐색하였고, 이 중에서 선정된 caffeic acid와 coumaric acid에 미백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를 도입한 유도체를 합성하고 합성된 유도체의 미백 활성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합성의 용이성과 합성 유도체의 원가를 고려하여 미백효능이 알려진 펩타이드 중에서 가장 짧은 서열을 가지고 있는 펩타이드 중에 하나인 melanostatin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은 무엇인가? 멜라닌은 적갈색 또는 흑갈색의 고분자 화합물로서 멜라닌 세포 내의 멜라닌 소포체 소기관에서 합성되며, 이는 인접 각질형성 세포에 전달되어 피부의 색을 나타내게 된다. 과색소침착은 이러한 멜라닌의 축적이 과다하게 나타나는 피부에서 나타나며, 기미, 주근깨 등으로 피부에 나타나기도 한다[6].
펩타이드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가? 하지만 안정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피부에서 쉽게 분해되어 활성을 잃는 단점이 있다[22]. 이러한 쉽게 분해되는 펩타이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C 말단을 amidation하거나 N 말단을 작은 유기물질로 capping 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 되고 있다[23].
화장품 및 의약품 업계에서 주목하는 펩타이드는 어떤 단점을 지니고 있는가? 펩타이드는 생체친화적이며 매우 높은 활성을 가지기 때문에 차세대 신소재로 화장품 및 의약품 업계에서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안정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피부에서 쉽게 분해되어 활성을 잃는 단점이 있다[22]. 이러한 쉽게 분해되는 펩타이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C 말단을 amidation하거나 N 말단을 작은 유기물질로 capping 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 되고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 Kim, J. Choi, J. K. Cho, S. Y. Kim, and Y. S. Lee, Solid-phase synthesis of kojic acid-tripeptides and thei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storage stability, and toxicity,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4, 2843 (2004). 

  2. D. S. King, C. G. Fields, and G. B. Fields, A cleavage method which minimizes side reactions following Fmoc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Int. J. Pept. Protein Res., 36, 255 (1990). 

  3. T. K. von Almen, G. A. Olson, and R. D. Olson, Behavioral effects of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release-inhibiting factor-1,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7(2), 257 (1983). 

  4. WO2007137015A2, Dermatological uses of tri-, tetra-, penta-, and polypeptides 

  5. A. M. Lopez-Contreras, J. H. Martinez-Liarte, F. Solano, P. Samaraweera, J. M. Newton, and J. T. Bagnara, The amphibian melanization inhibiting factor (MIF) blocks the alpha-MSH effect on mouse malignant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9(6), 311 (1996). 

  6. K. Schallreuter, A. Slominski, J. M. Pawelek, K. Jimbow, and B. A. Gilchrest, What controls melanogenesis?, Exp. Dermatol., 7, 143 (1998). 

  7. A. Perez-Bernal, M. A. Munoz-perez, and F. Camacho, Management of facial hyperpigmentation, Am. J. Clin. Dermatol., 1(5), 261 (2000). 

  8. Y. J. Kima and H. Uyamab, Tyrosinase inhibitors from natural and synthetic sources:structure, inhibition mechanism and perspective for the future, Cell. Mol. Life Sci., 62, 1707 (2005). 

  9. S. Parvez, M. Kang, H. Chung, C. Cho, M. Hong, M. Shin, and H. Bae, Survey and mechanism of skin depigmenting and lightening agents, Phytother. Res., 20, 921 (2006). 

  10. D. Kim, S. Park, S. Kwon, K. Li, S. Youn, and K. Park, (-)-Epigallocatechin-3-gallate and hinokitiol reduce melanin synthesis via decreased MITF production, Arch. Pharm. Res., 27(3), 334 (2004). 

  11. S. Boonanuntanasarn, G. Yoshizaki, and T. Takeuchi, Specific gene silencing using small interfering RNAs in fish embryo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10, 1089 (2003). 

  12. J. W. Wiechers, A. V. Rawlings, C. Garcia, C. Chesne, P. Balaguer, J. C. Nicolas, S. Corre, and M.-D. Galibert, A new mechanism of action for skin whitening agents: binding to the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Int. J. Cosmetic Sci., 27, 123 (2005). 

  13. K. Sato, H. Takahashi, R. Iraha, and M. Toriyama,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expression by acetylsalicylic acid in murine B16 melanoma, Biol. Pharm. Bull., 31(1), 33(2008). 

  14. J. Koo, H. T. Kim, H. Yoon, K. Kwon, I. Choi, S. H. Jung, H. Kim, B. Park, and J. Park, Effect of xanthohumol on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 Exp. Mol. Medicine, 40(3), 313 (2008). 

  15. K. Sato and M. Toriyama, Depigmenting Effect of Catechins, Molecules, 14, 4425 (2009). 

  16. K. Ohguchi, C. Nakajima, M. Oyama, M. Iinuma, T. Itoh, Y. Akao, Y. Nozawa, and M. Ito,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the peel of Japanese Persimmon (Diospyros kaki 'Fuyu') on melanin biosynthesis, Biol. Pharm. Bull., 33(1), 122 (2010). 

  17. K. V. Bossche, J. Naeyaert, and J. Lambert, The quest for the mechanism of melanin transfer, Traffic, 7(7), 769 (2006). 

  18. R. E. Boissy, Melanosome transfer to and translocation in the keratinocyte, Experimental Dermatology, 12, 5 (2003). 

  19. S. Bonettoa, I. Carlavan, and D. Baty, Isolation and agonist peptides to the human melanocortin 1 receptor, Peptides, 26, 2302 (2005). 

  20. C. Haskell-Luevano, J. R. Holder, E. K. Monck, and R. M. Bauzo, Characterization of melanocortin NDPMSH agonist peptide fragments at the mouse central and peripheral melanocortin receptors, J. Med. Chem., 44, 2247 (2001). 

  21. M. Tsatmali, J. Ancans, and A. J. Thody, Melanocyte function and its control by melanocortin peptides, J. Histochem. Cytochem., 50(2), 125 (2002). 

  22. L. H. Brinckerhoff, V. V. Kalashnikov, L. Thompson, G. V. Yamshchikov, R. A. Pierce, H. S. Galavotti, V. H. Engelgard, and C. L. Slingluff, Terminal modifications inhibit proteolytic degradation of an immunogenic MART-1(27-35) peptide: implications for peptide vaccines, Int. J. Cancer, 83, 326 (1999). 

  23. M. F. Powell, T. Stewart, L. Otvos, L. Urge, F. C.A. Gaeta, A. Sette, T. Arrhenius, D. Thomson, K. Soda, and S. M. Colon, Peptide stability in drug development. II. Effects of single amino acid substitution and glycosylation on peptide reactivity in human serum, Pharm. Res., 10, 1268 (1993). 

  24. D. I. Jang, B. G. Lee, C. O. Jeon, N. S. Jo, and J. S. Koh, Melanogenesis inhibitor from paper mulberry, Cosmet. Toiletries, 112(3), 59 (1997). 

  25. A. Andrawis and V. Kahn, Effect of methimazole on the activity of mushroom tyrosinase, Biochem. J., 235, 91 (1986). 

  26. E. Kaiser, R. L. Colescott, C. D. Bossinger, and P. Cook, Color test for detection of free terminal amino groups in the solid-phase synthesis of peptides, Anal. Biochem. 34, 595 (1970). 

  27. Synthetic Peptides: A User's Guide (G.A. Grant, ed.),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