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최대 가능 태풍강도 추정 및 이에 따른 폭풍해일고 양상 모의
Estimation of Maximum Typhoon Intensity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Simulation of Corresponding Storm Surge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5 no.4, 2012년, pp.292 - 301  

윤종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재해재난연구센터) ,  전기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재해재난연구센터) ,  심재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재해재난연구센터) ,  박광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재해재난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의 온도 상승은 태풍의 대형화와 강도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태풍발생에 있어서의 열역학적 최대한계이론을 적용하여 미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해수온도의 상승과 기온의 수직성층분포 변화를 고려한 동북아 해역의 지역별 가능 최대태풍의 강도를 추정하였다. IPCC 4차 보고서[2007]에 제시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으며 각 시나리오에 따라 추정된 태풍의 최대 가능 강도의 결과는 최저중심기압 및 최대풍속공간분포로 제시하였는데,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더 큰 최대 가능강도가 추정되었다. 또한 각 시나리오에 따른 최대 가능강도를 가지는 가상태풍에 의한 폭풍해일고를 수치모의 하였다. 가상태풍의 경로에는 태풍 Maemi(2003)를 따라 적용하였다. 산출된 폭풍해일고의 결과는 최대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경우, 태풍 Maemi를 모의한 경우에 비해 지역에 따라 약 29~110 cm(36~65%)의 해일고 상승이 나타났으며, 특히 마산에서는 기존의 재귀년도 200년 폭풍해일고를 최대 19cm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ise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s a global warming enhance overall typhoon activity. We assumed that there exist thermodynamic limits to intensity that apply in the absence of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torms and their environment. The limit calculations depend on SST and atmosph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후변화가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지는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과거에 비해 더 강력한 해안재난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방재시설과 방재대책의 수립을 위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향후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연안침수예상도 등의 재해도를 작성하는데 있어서도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고자 한다.
  • 이러한 가능 최대태풍의 실제 발생 확률은 매우 낮지만 연안에 위치한 발전소 등의 주요 시설물의 설계에는 방재차원에서 이러한 극한 요소까지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래의 가능 최대 태풍강도가 적용된 태풍이 내습할 경우, 얼마나 큰 폭풍해일고가 분포하게 될 지를 수치모델로 모의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폭풍해일에 의한 피해를 준 태풍 Maemi를 기준으로 폭풍해일고를 산정하고, 태풍 Maemi의 경로와 앞에서 제시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20C3M, 1PCTTO 2X, 1PCTTO 4X에 따른 최대강도가 적용된 태풍특성(최저중심기압)을 기존의 태풍 정보에 조합하여 가상태풍을 선정하고, 이에 따른 폭풍해일고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발생에 있어서 열역학적 최대 한계이론을 적용한 강도한계치 추정 모델을 이용하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미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동북아 해역의 지역별 가능 최대태풍의 강도를 추정하였다. 각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태풍의 가능 강도는 최저중심기압 및 최대풍속의 공간분포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세계적인 기후변화가 진행된 배경은 무엇인가? 온실효과에 따른 지구온난화로 전세계적인 기후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 보다는 겨울철 기온 상승이 뚜렷하고 최고기온보다는 최저기온 상승이 두드러진 현상을 보이고 있다[최광용 등, 2008].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의 온도 상승은 무엇의 원인이 되는가?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의 온도 상승은 태풍의 대형화와 강도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태풍발생에 있어서의 열역학적 최대한계이론을 적용하여 미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해수온도의 상승과 기온의 수직성층분포 변화를 고려한 동북아 해역의 지역별 가능 최대태풍의 강도를 추정하였다.
태풍의 강도 변화에 따른 연안 항만에서의 재해대책 수립 문제가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2008]). 태풍은 연안역에 재해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는데, 태풍 시 발생하는 고파랑과 해일에 의해서 연안 저지대에 침수범람 피해가 발생되고 각종 연안구조물에 피해가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태풍의 강도 변화에 따른 연안 항만에서의 재해대책 수립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ister, M., Emanuel, K.A., 2002, "Low frequency variability of tropical cyclone potential intensity. 1. Interannual to interdecadal variability", J. Geophys. Res., 107(D24), 26(1-15). 

  2. Cardone, V.J., Cox, A.T. Greenwood, J.A. and Thompson, E.F., 1992, "Upgrade of Tropical Cyclone Surface Wind Field Model", CERC-94-14, U.S. Army Corps of Engineers. 

  3. Chen, C., Cowles, G. and Beardsley, R.C., 2004, An unstructured grid, finite-volume coastal ocean model: FVCOM user manual, 1st ed., Tech. Rep. 04-0601, 183 pp., School of Mar. Sci. and Technol., Univ. of Mass., Dartmouth. 

  4. Chen, C., Beardsley, R.C. and Cowles, G. 2006, "An unstructured grid, finite-volume coastal ocean model (FVCOM) system", Oceanography, 19(1), 78-89. 

  5. Choi, G.Y., Kwon, W.T., Boo, K.O. and Cha, Y.M. 2008, "Recent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J.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43, No.5, 681-700. 

  6. Emanuel, K.A., 1986, "An air-sea interaction theory for tropical cyclones", Part I J. Atmos. 42, 585-604. 

  7. Emanuel, K.A., 1994, Atmospheric Convection. Oxford Univ Press, New York, 580. 

  8. Emanuel, K.A., 1995, "Sensitivity of tropical cyclones to surface exchange coefficients and a revised steady-state model incorporating eye dynamics", J. Atmos. 52, 3969-3976. 

  9. Emanuel, K.A., Sundararajan, R. and Williams, J., 2008, "Hurricanes and global warming: Results from downscaling IPCC AR4 simulations", Bull. Amer. Meteor. Soc. 89, 347-367. 

  10. Hur, D.S., Yeom, G.S., Kim, J.M., Kim, D.S. and Bae, K.S., 2006a, "Estimation of Storm Surges on the Coast of Busan", KSOE, Vol.20, No.3, 37-44. 

  11. Hur, D.S., Yeom, G.S., Kim, J.M., Kim, D.S. and Bae, K.S., 2006b, "Storm Sur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ocal Peciliarity in Gyeongnam Coast", KSOE, Vol.20, No.3, 45-53. 

  12. Hur, D.S., Lee, H.W., Lee, W.D. and Bae, K.S., 2008, "Storm Surge Height on Busan and Gyeongnam coastal region by an Attack of Super-Typhoon", J. Korean Soc. Coastal and Ocean Eng., Vol.20, No.1, 128-136. 

  13. IPCC, 2007, Climate Change : The physical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1-996. 

  14. JTWC(Joint Typhoon Warning Center), http://metocph.nmci.navy.mil/jtwc.php/. 

  15. Kang, J.W., Park, S.J. and Park, M.W., 2008, "Rising Tendencies of both Tidal Elevation and Surge Level at the Southwestern Coast", J. Korean Soc. Coastal and Ocean Eng., Vol.20, No.1, 14-24. 

  16. Kang S.W., Jun, K.C., Park, K.S. and Han, S.D., 2009, "Storm Surge Hindcasting of Typhoon Maemi in Masan Bay, Korea", J. Marine Geodesy, 32, 1-14. 

  17. Kwon, J.I., Lee, J.C., Park, K.S. and Jun, K.C., 2008, "Comparison of Typhoon Wind Models Based on Storm Surge Heights Induced by Typhoon Maemi", Asia-Pacific J. Atmospheric Sciences, 44, 443-454. 

  18. Large, W. and Pond, S., 1981, "Open Ocean Momentum Flux Measurements in Moderate to Strong Winds", J. Phys. Oceanogr. 11, 324-336. 

  19. Lee, J.C., Kwon, J.I., Park, K.S. and Jun, K.C. 2008, "Calculations of Storm Surges, Typhoon Maemi", J. Korean Soc. Coastal and Ocean Eng., Vol.20, No.1, 93-100. 

  20. Matsumoto, K., Takanezawa, T. and Ooe, M., 2000, "Ocean Tide Models Developed by Assimilating TOPEX/POSEIDON Altimeter Data into Hydrodynamical Model: A Global Model and a Regional Model Around Japan", Journal of Oceanography, 56, 567-581. 

  2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Development of Storm Surge and Tsunami Prediction System and Estimation of Design Water Level for major ports in Korea, 143. 

  22.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5, Design Standards of Harbor and Fishing Port(I)(항만 및 어항 설계 기준(상)), 159. 

  23. Song, K.S. and M.B. Ha, 2007, "Disaster Measures for SUPER typhoon(SUPER 태풍에 대비한 재난 대책)", 도로,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9, No.3, 106-114. 

  24. Thompson, E.F. and Cardone, V.J., 1996, "Practical modeling of hurricane surface wind field", J.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122(4), 195-205. 

  25. WDC(World Data Center for Climate, Hamburg), http://cerawww.dkrz.de/WDCC/ui/Index.js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